d라이브러리
"정도"(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 흥부가 제비를 만난 건 우연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7호
- 곤충을 잘 잡아먹거든요. 둥지에서 새끼를 한창 기를 때는 제비 부모가 하루에 최대 400번 정도 먹이를 물어다 줘요. 제비는 곤충 여러 마리를 잡아서 이것을 으깨고 뭉쳐서 작은 덩어리를 만들어요. 이 덩어리를 한번 입 안에 넣고 둥지로 돌아오면, 곤충 여러 마리를 잡은 셈이지요. 그러므로 제비는 ... ...
- 성곽 길 따라 즐기는 수학데이트수학동아 l2015년 07호
- ‘1보’는 사람이 두 발을 모두 한 걸음씩 움직인 거리로 약 1.2m를 말합니다. 100보면 120m 정도가 됩니다. 실제로 성벽을 따라 걷다보면 구조물이 120보~140보(144m~168m)의 간격으로 배치돼 있는 것을 알 수 있어요.이를 화성 전체로 확대해, 성곽 위의 모든 공격시설을 중심으로 원 모양의 수비범위를 그려 ... ...
- 스티로폼 볼, 배터리로 다시 태어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열을 가해서 탄소 시트를 만들었는데, 이것은 보통 탄소 시트를 만들 때 흑연에 2200℃ 정도의 열을 가하는 것에 비해 훨씬 낮은 온도예요. 스티로폼을 재활용할 뿐만 아니라 탄소 시트를 만들 때 드는 화석 연료도 절감할 수 있게 된 거죠.게다가 스티로폼 볼로 만든 탄소 시트를 충전식 리튬 이온 ... ...
- 긁적긁적~! 가려움 극복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있는 상태예요. 피부가 마찰, 온도와 같은 아주 미세한 자극에도 가려움을 느낄 수 있을 정도로 매우 민감하지요. 따라서 가려움을 더 많이 느낄 수 있답니다.그래. 가렵다고 계속 긁으면 나의 소중한 피부가 망가진다 이거지! 앞으로 가렵다고 무조건 긁지 말고, 잘 씻고 보습제도 열심히 발라야겠어. ... ...
- Part 2 번개 사냥의 수학수학동아 l2015년 07호
- 쾅쾅! 예상대로 번개가 쩍쩍 갈라지고 있었다. 전 세계적으로 번개는 매년 약 2500만 번 정도 친다. 특히 대도시는 사람이 훨씬 더 많기 때문에 번개로 인한 피해도 많다. 사람이 감전되는 것은 물론, 변압기나 통신시설, 가전제품을 망가뜨리거나 불이 날 수도 있다. 만약 번개가 언제 어디서, 정확하게 ... ...
- [지식] 근의 공식과 평양냉면수학동아 l2015년 07호
- 시큼하고 달짝지근한 고깃집 냉면에 익숙한 사람이라면 아무 맛이 나지 않을 정도로, 평양냉면 육수는 순수하거나 혹은 밍밍한 맛이 납니다. 하지만 역시 꾸준히 먹다 보면, 그 쨍한 맛에 중독되기 시작합니다. 익숙하지는 않지만, 신비롭고 순수한 맛을 간직한 평양냉면으로 올 여름 더위를 풀어 ... ...
- [생활] 장바구니 속 신선한 수학 유통기한수학동아 l2015년 07호
- 다르다. 품질 지표별로 반응속도식을 2가지 경우로 모두 나타내 본 다음, 식이 적합한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결정계수★)의 값이 가장 큰 식을 최종 반응속도식으로 결정한다.결정계수★ 0과 1사이의 값으로 결정계수가 1에 가까운 반응식일수록 유효하다.반응속도상수는 시간에 따른 품질지표의 ... ...
- 평면적이지 않은 평면이야기수학동아 l2015년 07호
- 강력한 공유결합으로 이어져 있어 강철만큼 강하지만 고무줄처럼 탄력있어요. 빛이 수 nm 정도는 쉽게 통과하기 때문에 투명하기까지 해요, 더 빠른 컴퓨터보다 어디서나 쓸 수 있는 스마트폰이 필요한 시대에는 2차원물질이 안성맞춤인거죠.샌드위치처럼 겹치면 달라진다과학자들이 2차원물질을 ... ...
- 작은 세계와 큰 세계를 잇는 다리, 볼츠만 상수 KB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와 어떤 관계인지를 나타낸 식 S=kBlogW일 것이다. 볼츠만의 묘비에도 이 식이 새겨져 있을 정도다. 이 식의 오른쪽에 등장하는 W는 주어진 거시적인 상태에서 시스템이 가질수 있는 모든 미시적인 상태의 개수를 의미한다. 볼츠만의 도움으로 물리학자들은 “닫힌 시스템에서 엔트로피는 늘 ... ...
- PART2. 현실 닮아가는 가상현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걸리는 시간이 0.02초(20ms)다. 고개를 홱 돌 리면 뇌가 바뀐 시각정보를 인지할 때까지 이 정도 시 간이 걸린다. 한편 귀 속의 세반고리관에서도 몸의 위 치가 바뀌었다는 정보를 뇌로 전달한다. 만약 두 정보 가 일치하지 않으면? 뇌가 이상을 느껴 멀미가 발생 한다. 현재 HMD는 대부분 반응속도가 2 ... ...
이전4454464474484494504514524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