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작은"(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 광결정으로 전자종이와 잠자리 눈 센서 만든다과학동아 l2010년 01호
- 뽑은‘주목해야 할 논문’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최근에는 머리카락 굵기보다 작은 인조 잠자리 눈을 개발하기도 했다. 지름이 1μm인 유리구슬을 물속에 분산시킨 뒤 크기가 40μm 정도인 기름방울을 넣자 물과 기름이 밀어내는 힘에 의해 유리구슬이 기름방울의 표면으로 이동했다.또 유리구슬이 ... ...
- 2030년 한반도 하늘과 땅 손금 보듯 살핀다과학동아 l2010년 01호
- 지상을 감시할 수 있는 레이더(SAR)를 싣는다. 앞으로 도입될 군사위성은 그보다 더 작은 물체를 알아볼 수 있는 능력을 갖출 것으로 예상된다.정체불명의 인공위성을 미사일과 레이저로 물리칠 수 있는 작전 능력을 보유하는 것도 추진된다. 우주작전은 우주 감시 체계를 통해 파악한 우주정보를 ... ...
- 동식물의 즐거운 새해맞이 잔치과학동아 l2010년 01호
- 감이 다홍빛으로 예쁘게 물들었다. 물까치는 식성이 좋아 물고기나 개구리, 지렁이 같은 작은 동물 외에 벼, 콩, 옥수수 같은 농작물도 먹는다. 이날은 특별히 사람이 선물한 과일(까치밥)을 먹고 있다.베스트 드레서는 무엇을 먹을까. 혹시라도 음식을 흘려 옷이 망가질까 겁이 나 굶고 있을까. 까만 ... ...
- 밤에 더 빛나는 구름과학동아 l2010년 01호
- 사실 정도가 파악됐다. 적도 부근의 열을 고위도로 밀어 올리는 편서풍파동(행성파)이 작은 곳에서는 야광운이 사라진다는 사실도 알아냈다. 미국 햄프턴대 제임스 러셀 박사는 “야광운이 먼지 입자와 수증기가 대기 중으로 올라가 차가운 대기 중간층과 만나 얼음이 되면서 형성됐을 가능성이 ... ...
- 소라에 ‘전세’ 사는 육지소라게와 ‘바다 밤톨’ 성게과학동아 l2010년 01호
- 그래서 먹이나 짝을 놓고 싸움이 벌어졌을 때, 더 큰 집을 차지하고 있다는 이유만으로도 작은 게가 큰 게를 쫓을 수 있다. 하지만 천적을 만났을 때는 껍데기 안으로 쑥 들어가 커다란 집게발로 입구를 가린다. 집게발이 몸을 보호하려고 집을 닫는 대문인 셈이다. 큰그림 보러가기 큰그림 ... ...
- 발견 400주년 목성 4대 위성과 그 형제들과학동아 l2010년 01호
- 발견된 ‘S/2003 J2’로 평균 공전 반지름이 3029만km나 된다. S/2003 J2는 반지름이 1km로 매우 작은 위성이다.정규위성의 기원은 태양계 형성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태양 주위의 먼지와 가스로 이뤄진 초기 태양계 원반에서 각 행성들은 각자 소용돌이 모양으로 돌면서 만들어지는데, 이때 목성 ... ...
- ‘똑똑한 하천’ 스마트 리버를 아시나요?과학동아 l2010년 01호
- 번번이 다른 SOC 사업에 밀려온 게 사실이다.“이들 하천에 도입될 스마트 기술은 이미 작은 규모에서는 실행되고 있습니다. 바로 청계천이죠.”청계천은 2007년 6km 구간에 무선통신망 인프라와 3차원 지리정보 시스템, 통합 서비스 운영 시스템이 설치됐다. 그 결과 수질과 수위를 실시간으로 ... ...
- CSI 수사체험 ‘지문을 찾아라’과학동아 l2010년 01호
- 걷다 보면 ‘바닥 시멘트 주의’라는 글씨와 함께 들어가지 못하도록 끈으로 일종의 작은 바리케이트를 쳐놓은 것을 볼 기회가 가끔 있다. 아마도 시멘트로 골목길 바닥을 보수한 모양이다. 그런데 재밌는 것은 꼭 누군가 아직 굳지 않은 시멘트를 밟고 지나간 흔적이 있다는 것. 누가 지나갔을까? ... ...
- 우르르쾅쾅! 바다 속 화산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1호
- 이 사진은 태평양 바닷속 1200m 아래에 있는 웨스트 마타 해저 화산이 폭발하는 모습이에요. 지난 5월 미국국립해양대기청 과학자들 이 잠수 로봇을 이용해 촬영한 것으로, 최근 ... 폭발 장면이 마치 불꽃놀이 같았다고 말했답니다. *화산 근처에서 발견된 심해 새우의 모습.(작은 사진 ... ...
- 도전! 지구 해설가, 어린이 도슨트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1호
- 꾸민 김영진 학예실장이에요. 도슨트가 되려면 관람객이 궁금해 할 수 있는 전시물의 작은 부분까지도 꼼꼼하게 관찰하는 능력과 성실함, 그리고 정확하게 정보를 전달하려는 책임감이 있어야 해요. 여러분도 이 점을 꼭 기억해 주세요. 우선 제 설명을 잘 들어 주세요. 지금부터 일일 ... ...
이전4454464474484494504514524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