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d라이브러리
"
작은
"(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현미경으로 살아 있는 나노세계를 보다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측정 시간은 10배나 빨랐다. 장비를 개선하거나 별도의 프로그램을 만들지 않고도
작은
아이디어를 적용함으로써 빛나는 성과를 얻을 수 있었다.낮은 에너지로도 선명한 결과 내는 2광자흡수 현미경최근 연구단은 ‘2광자흡수 현상’을 이용한 고분해능 현미경을 만들고 있다. 2광자흡수란 예를 들어 ... ...
복잡한 실험 분석은 내게 맡겨라 멘토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최소 10배에서 최대 230배까지 배율 조정이 가능하다. 측정 프로그램이 들어 있어 아주
작은
물체의 길이와 면적, 원주, 각도를 잴 수도 있다. 사진은 물론 동영상 촬영도 가능한 깜찍한 장치다 ... ...
종이컵에 컵슬리브 끼기까지 86년 걸려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주도로를 비롯해 자동차, 엘리베이터처럼 오늘날 문명을 이끈 명발명품은 아주
작은
동기에서 시작됐다. 바로 불편함에 대한 본능적인 거부감이다. 과학동아는 이달부터 4회에 걸쳐 일상생활에서 얻은 아이디어를 세계 최고의 발명품으로 성공시킨 숨은 비결과 전략을 알기 쉽게 설명한 ‘톡톡 튀는 ... ...
일상에서 출발해 큰 무대 누비다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없는 것을 실제 프로젝트에서 배우는 과정이 중요합니다.”김 교수는 연구원들에게 항상
작은
부분만 보지 말고 큰 그림을 볼 것을 당부하고 있다. 전체적인 구조를 알아야 어디에 가서든 리더십을 갖고 일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생활 속 창의성이 매우 중요한 분야다.“건축공학이라고 하면 ... ...
탄소 다이어트 집에서 따라하기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하지만 두 가정의 사례에서 공통적으로 드러났듯 대부분 생활 속
작은
변화가 탄소 배출 감소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한국환경산업기술원 탄소경영팀 서민석 연구원은 “모범 가정과 일반 가정이 사소한 생활습관에서 차이가 생긴다”며 “사소한 습관만 바꿔도 가정에서 ... ...
정자에 관한 색다른 보고서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게 아닌가 하고 ‘올바른 의심’을 했지. 하지만 많은 사람들은 날 수정과 무관한 그저
작은
벌레쯤이라고만 여겼어. 나를 발견하고도 100년 정도 흐른 뒤에야 이런 오해가 풀렸지. 내가 난자와 결합해 수정을 하는 생식세포라는 게 밝혀진 거야.나를 발견한 지 300년이 넘게 흘렀지만 여전히 나에 대한 ... ...
볼리비아 우유니 소금사막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제 배를 불린다. 안데스의 전령, 야마도 어디서든 풀만 보이면 고개를 숙인다. 몸집이
작은
여우도, 긴 털로 무장한 비스카차(토끼처럼 생긴 친칠라의 일종)도 저마다 칼바람을 이겨내며 먹이를 찾아 사막을 누빈다. 모두 최소한의 필요로만 삶을 꾸린다. 필요하지 않은 기능은 진작 퇴화했다. ... ...
표면장력 스파이더맨 납시오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모방해 새로운 접착장치(사진 속 원 안)를 개발했다. 이 장치는 한쪽 면에 수많은
작은
구멍이 뚫려 있는 판이 있다. 이 면 아래로는 구멍으로 물을 뿜어내는 전자장치와 물이 들어 있는 부분이 있다. 전자장치는 ‘전자삼투유동(electro-osmotic flow)’이라는 원리를 이용해 낮은 전압을 가해 구멍으로 ... ...
두 소행성 충돌이 낳은 우주방랑자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핵에서 나온 먼지와 자갈, 가스로 이뤄져 있으며 태양풍의 영향을 받고 있다. 아주
작은
먼지들은 가려져 있어 잘 보이지 않는 핵에서 떨어져 나온 것이다.과학자들은 이 혜성이 통상적인 혜성이 아니라 초속 25km로 날아가던 두 소행성이 충돌한 잔해일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 ...
자기조립물질이 경고하는 지구온난화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지구의 존속을 위해 모두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풍자했다.눈에 보이지 않는
작은
세상을 통해 세상의 이치를 전달하려는 노력이 새삼 경이롭다. 강 연구원의 작품은 과학저널 ‘사이언스’와 미국과학재단(NSF)이 선정한 ‘2009 국제 과학기술 시각화대회’ 사진 부문 1위에 뽑혔다. 올해로 일곱 ... ...
이전
441
442
443
444
445
446
447
448
4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