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력
혈통
변화
공학
변천
유전공학
유전공학연구소
뉴스
"
유전
"(으)로 총 6,318건 검색되었습니다.
유명여배우 떨게한 ‘BRCA1’
유전
자 막는 신약?... 유방암 임상서 효과 입증
동아사이언스
l
2018.05.01
2배 이상 좋다는 것”이라며 “신약물질이 약으로 시판될 경우 항암치료 전에 브라카
유전
자의 돌연변이 여부를 검사한 다음 약물를 선택해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임상실험을 담당한 찰스 스완튼 ICR 교수는 “신약 물질의 부작용도 거의 없는 걸로 확인됐다”며 “브라카 돌연변이를 ... ...
유전
자 가위로 바이러스 찾아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4.28
7일 사이언스에 게재했다. 이 내용이 사이언스 표지 논문으로 실린 것이다. 흔히 3세대
유전
자가위 기술로 널리 알려진 ‘크리스퍼-캐스9’은 문제가 생긴 목표 DNA 염기서열에 찾아가서 달라붙는 '가이드 RNA(크리스퍼)' 분자와 DNA를 자르는 가위효소 '카스9(Cas9)'가 짝을 이룬 복합체다. 연구팀이 ... ...
DNA서 염기 하나만 바꿔… 근위축증 앓는 생쥐 고쳤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4.28
생성해낼 수 있게 됐다. 김 단장은 “염기교정 가위를 동물의 성체에 처음 적용해
유전
질환을 근본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입증했다”며 “거꾸로 염기 하나를 바꿔 동물이 특정 질환을 앓도록 해 동물 질환모델을 개발하는 데도 활용 가능하다”고 밝혔다 ... ...
우울증 일으키는
유전
자 있다...44개 연관
유전
자 구역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18.04.27
본격적으로 연구하기 위한 첫 단추를 끼운 것”이라며 “이제 이런
유전
자 구역이 개인이 처한 환경적 요인이나 활동을 통해 어떻게 우울증을 일으키게 되는지 (보다 면밀히) 밝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 ...
정확도 1만 배! 합성 물질로 성능 개선한
유전
자가위 ‘크리스퍼’
동아사이언스
l
2018.04.26
사실을 이번 연구로 확인했다. -사진 제공 서울대 연구팀은 "크리스퍼 기술이 실제
유전
병 환자 치료에 활용되는 데 한 걸음 더 다가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암 진행 단계 확인 ‘지수’ 나왔다
과학동아
l
2018.04.25
캐롤린 허터 국립인간
유전
체연구센터(NHGRI) 박사는 “이번 연구결과는 다양한 암
유전
자를 유형별로 분석한 만큼 맞춤형 치료제 개발에 효과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doi:10.1016/j.cell.2018.03.03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흡은 어떻게 감정을 조절할까
2018.04.24
나중에는 그 소리만 들려줘도 공포반응(이 경우 몸이 굳는다)을 유발하는 현상이다. 광
유전
학 기법으로 후각망울(OB)의 후각감각뉴런을 13헤르츠 주기(굉장히 빠른 호흡에 해당)로 자극해도 변연계앞 전전두피질(pIPFC)은 이에 동조해 진동한다. 호흡 속도 정보가 후각계를 통해 전달됨을 입증하는 ... ...
‘바다의 유목민’ 바자우 족이 숨 오래 참는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18.04.24
데 반해 바자우 족은 약 170cm³로 1.5배가량 컸다. BDKRB2는 잠수 능력과 관계되는
유전
자로, 말초혈관을 수축시켜 뇌와 심장, 폐 등 중요한 장기의 조직에 더 많은 산소가 공급되도록 돕는다. 연구팀은 "인류의 문화와 인체 생물학이 수천 년에 걸쳐 공진화했음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말했다. ... ...
“DNA구조, ‘이중나선’만 있는 것 아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4.24
자라티 연구원은 “DNA를 읽어 단백질을 만드는 G1기에 iM DNA가 많다는 것을 볼 때, 다른
유전
자 지역이 활성화되는 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 된다”고 설명했다. 가반의학연구소 표적치료센터 다니엘 크리스트 연구디렉터는 “그동안은 iM DNA를 추적하기 위한 항체가 없어 연구가 더뎠는데 ... ...
[과학사진관] 낙엽 타는 밤마다 죽음이 향기로운 가을
동아사이언스
l
2018.04.23
있다. 제브라피시의 배아는 투명하다. 어미의 몸 밖에서 자라기 때문에 질병을 유발하는
유전
자를 조작하면 살아 있는 동물에서 일어나는 질병의 변화를 관찰할 수 있다. 제브라피시만이 갖고 있는 실험동물로서 이점이다. 지금까지 제브라피시에 대한 연구로 암, 당뇨병, 근육병 등의 질병을 깊이 ... ...
이전
443
444
445
446
447
448
449
450
4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