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력
혈통
변화
공학
변천
유전공학
유전공학연구소
뉴스
"
유전
"(으)로 총 6,318건 검색되었습니다.
개 사이에도 독감 대유행 덮칠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6.05
유전
자 서열을 분석한 결과, 북미와 유럽, 아시아의 다양한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유전
자들이 섞여 있음을 확인했다. 사스트레 박사는 “개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최근 10년 사이 상호작용해 급격하게 돌연변이를 일으키기 시작했다”며 “대변이가 일어나 판데믹이 덮치기 전에 조치를 ... ...
유방암 치료에 희소식...면역항암제 가능성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18.06.05
탐지기를 쥐어주는 식이다. 면역세포를 꺼내 암세포를 찾는 ‘안테나’ 분자를 갖게
유전
자를 수정한 뒤 다시 환자의 몸 속에 넣는 ‘키메릭 항원수용체 T세포(CAR-T)’ 요법이 대표적이다. 2013년 5월 14일 안젤리나 졸리는 미국 뉴욕타임스에 '나의 의학적 선택(My Medical Choice)'라는 제목으로 ... ...
[과학사진관] 숨바꼭질은 인내심이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6.04
제대로 식물세포에 도입되었는지 확인하려면 형광단백질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원하는
유전
자를 형광단백질과 함께 식물세포로 도입해 관찰하는 것이다. 모든 조치를 취한 뒤 공초점 현미경(Confocal microscopy)으로 식물조직 관찰에 나섰지만 여전히 방해요인이 남아있다. 식물세포로부터 나오는 ... ...
식물 에너지 통로 조절 단백질 발견…열매 생산성 40% 증대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8.06.04
분배) 능력과 생산성 사이의 연관성을 최초로 증명한 것”이라며 “줄기 단백질과 목표
유전
자들의 체관 발달 조절은 지구 식생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관다발 식물의 진화에 결정적인 기능을 했을 것으로 보인다. 기후 변화에 따른 식물 생산성 저하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 ...
조류인플루엔자(AI) 국제 공동연구로 예측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6.04
아시아 각국 연구기관과 협력해 주요 AI 발생지의 시료를 확보하고, 이들 사이의
유전
적 특성 차이를 밝혀 AI 변이 지도(아틀라스)를 구축하는 게 목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변이 분석 연구’ 계획을 4일 발표했다. AI는 국경을 ... ...
젊은이의 흰머리,
유전
자 돌연변이 탓
과학동아
l
2018.06.04
면역계의 과도한 활성에 관여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해리스 교수는 “사람도 MITF
유전
자에 변이가 생기면 바이러스 감염에 과잉 면역반응이 일어나고 흰 머리가 날 수 있다”며 “이 연구결과를 활용해 피부 자가면역질환인 백반증과 피부색소세포가 일으키는 피부암인 흑색종의 원인을 밝힐 ... ...
각막 3D 프린팅 세계 최초 성공, 시각장애인에 ‘빛’
동아사이언스
l
2018.06.04
뉴캐슬대 제공 눈의 덮개와 같은 각막은 간, 심장 등 장기와 달리 기증자와 혈액형 등
유전
적 요인이 달라도 생물학적 거부반응을 일으키지 않는다. 이 때문에 누구나 각막을 기증할 수 있지만 세계적으로 1500만 명에 이르는 수요에 비해 기증자는 턱 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각막 하나의 기본 ... ...
공룡인가, 도마뱀인가.... 2억 4000만 년 전 도마뱀
동아사이언스
l
2018.06.03
연구팀이 이탈리아 알프스 산맥에서 발견했다. 연구팀은 고해상도 미세초점 단층촬영과
유전
자 분석을 이용해 연령을 측정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조하면 된다. ☞ 알프스산에서 2억 4000만년전 도마뱀 조상 찾았다 ☞doi:10.1038/s41586-018-0093-3 Tiago R. Simões et al (2018), The origin of ... ...
[표지로 읽는 과학] RNA 전사체가 좌우하는 세포의 운명
동아사이언스
l
2018.06.02
목표”라며 “(새로운 분석법으로) RNA 전사체 데이터를 분석해 전체 배아세포 간
유전
자 변화와 발현 흐름을 파악하면 향후 고등생물의 발달 과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리처드 하랜드 교수는 리뷰 논문을 통해 “각각의 전사체를 연구하기 위해 개별 실험도 진행해야 ... ...
알프스산에서 2억 4000만년전 도마뱀 조상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5.31
Museum 제공 연구팀은 찾은 화석을 대상으로 고해상도 미세초점단층촬영(microfocus-CT)과
유전
분석을 실시했고 이를 기존 이궁류 파충류 화석의 자료와 비교했다. 그 결과 2003년 이탈리아에서 발견됐던 이공류 파충류인 메가치레라 와치레리(Megachirella wachtleri)보다 계통학적으로 앞서 ... ...
이전
439
440
441
442
443
444
445
446
4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