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까닭
사유
근거
동기
원인
사연
연고
d라이브러리
"
이유
"(으)로 총 11,28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힉스에서 새로운 물리학까지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최종이론과는 거리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힉스 입자의 발견에 과학자들이 열광하는
이유
는 그 자체가 ‘세상은 무엇으로 만들어졌을까’라는 2500년도 넘는 인CERN류의 수수께끼에 일차적인 종지부를 찍었기 때문이다. 이는 과학사, 아니 인류 역사의 일대 사건으로 기록될 만하다. 또한 힉스 ... ...
고압송전탑 밑에 살면 정말 암에 걸릴까?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데 수조 원의 비용이 든다.고압송전선 갈등의 근본
이유
는?고압송전선을 계속 건설하는
이유
는 우리나라가 전기의 ‘대량 생산, 대량 송전’을 지향하고 있기 때문이다. 전기생산량이 월등한 원자력발전소는 대규모 냉각수가 필요하기 때문에 해안가에 짓는다. 여기서 생산한 전기를 도시 등 ... ...
아무거나 중독이라 말하지 말라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정상적인 사회생활도 불가능했다. 그러나 2000년대까지 물질 중독과 도박 중독이 같은
이유
때문일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못했다. 도박 중독과 물질 중독 환자의 뇌가 비슷한 활동을 보인다는 것은 2005년에야 비로소 밝혀졌다. 독일 함부르크대 크리스티안 뷔셸 교수팀이 ‘네이처 뉴로사이언스’에 ... ...
PART1. 단언컨대 사람도 겨울잠 잘 수 있다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많이 들고, 먹을 만한 식물도 줄어들기 때문에 잠을 자는 게 더 유리하다.그런데 숨은
이유
가 하나 더 있다. 바로 ‘안 잡아먹히기 위해서’다. 겨울잠을 자는 포유류는 곰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소형 포유류다. 포식자보다는 잡아먹히는 피식자 신세가 많다. 춥고 배고파 번식을 하기도 어려운 겨울에 ... ...
PART2. 화성여행의 비결은 겨울잠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들어오면 면역계가 반응해 체온이 1~2℃ 상승한다. 감기에 걸렸을 때 머리에서 열이 나는
이유
가 이것이다. 열은 괴롭지만 우리 몸은 덕분에 낫는다. 그런데 겨울잠을 잘 때는 병원체를 투입해도 체온이 올라가지 않는다. 면역계가 작동하지 않기 때문이다. 대신 각성기가 되면 정상적으로 면역반응이 ... ...
남녀의 뇌는 왜 다를까?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여자는 TV를 보면서 친구와 수다도 떨고 동시에 요리도 하는데, 왜 남자는 한 번에 한 가지 일에만 집중할 수 있을까. 생물학적으로 정말 다른 구조일까. 여자와 남자가 이렇게 다른 것은 뇌 연결구조가 다르기 때문이라는 논문이 12월 2일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실렸다.미국 펜실베니아대 ... ...
자유탐구 완전 정복, 섭섭박사가 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24호
것도 정말 잘하는구나~! 그런데 평생을 연구했던 다 빈치가 결국 하늘을 나는 데 실패한
이유
가 뭔지 궁금하지 않니?다 빈치가 하늘을 나는 물체에 작용하는 힘을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이야. 하늘을 날기 위해서는 중력을 이길 수 있는 양력이 있어야 해. 양력이란 움직이는 물체가 수직으로 받는 ... ...
“화성, 기다려!” 21번째 탐사선 발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23호
바로 덮친 탓이라고 보고 있지만, 확실한
이유
는 아직 모르고 있어요. 메이븐은 이
이유
를 정확히 알아내기 위해 내년 9월부터 1년 간 화성 궤도를 돌며 여러가지를 조사할 예정이랍니다 ... ...
무한도전 & 무한변신 미래 디스플레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22호
비슷하지. 그래서 오래 보고 있으면 모르는 사이에 우리 눈을 피곤하게 만든단다.이런
이유
로 각광받는 디스플레이가 있어. 바로 전자종이야. 전자종이는 종이의 글을 보듯 태양이나 형광등 같은 빛의 반사를 이용해 화면을 볼 수 있거든. 전자종이는 화면이 한 번 바뀌면 전기를 쓰지 않고 계속 ... ...
아이손, ‘혜성’처럼 나타났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22호
태양 반대쪽으로 뻗는답니다.아이손은‘ 태양최접근혜성’이다아이손이 매우 밝은
이유
는 태양에 매우 가까이 다가가는 ‘태양최접근혜성’이기 때문이에요. 아이손이 태양에 가장 가까워졌을 때의 거리는 약 180만㎞! 지구와 태양사이의 거리인 1억 5000만㎞의 10분의 1 정도밖에 안 되는 거리죠 ... ...
이전
442
443
444
445
446
447
448
449
4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