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운반
전송
수송
정보전달
정보
정보전달매체
매체
뉴스
"
전달
"(으)로 총 4,869건 검색되었습니다.
차가 막히는 이유? 옆차로에 끼어든 당신 때문
동아사이언스
l
2015.02.17
3번 차 운전자도 지체 현상 탓에 2번 차보다 속도를 줄여야 한다. 지체 현상이 뒤로 계속
전달
되면서 도로가 정체되고, 4번 차는 앞의 상황을 전혀 알지 못한 채 멈춰야 하는 일이 생긴다. 캐나다 앨버타대 모리스 플린 교수는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연구진과 함께 교통체증을 수학적으로 설명한 ... ...
이름은 들어봤나? ‘핫 전자’라고
2015.02.15
- IBS 나노물질 및 화학반응 연구단 제공 빛이나 열, 소리 등의 에너지가 금속 표면에
전달
되면 높은 운동에너지를 가진 전자인 ‘핫 전자’가 발생한다. 이렇게 생겨난 핫 전자 때문에 금속 표면에는 미량의 전류가 발생하지만 핫 전자가 수 펨토초(1펨토초는 1000조 분의 1초)만에 흩어져 ... ...
백설공주의 유전자를 찾을 수 있을까
2015.02.11
하고 없어지기도 합니다. 따라서 계절에 따라 바뀌는 정보(기억)를 저장하고 다음 세대로
전달
하는 일도 중요해졌습니다. 또 자주 물을 마시러 물가로 나오는 일은 위험하기 때문에 이런 위험을 피할 방법도 중요해졌습니다. istockphoto 제공 털이 있는 동물의 피부는 흽니다. 털이 가려주기 때문에 ... ...
“이거 하나면 간암 전이 막는다”
2015.02.11
순환하며 암을 전이하는 메커니즘을 연구하는 중에, 다른 막단백질(CD44)과 결합하면 신호
전달
체계가 활성화돼 암 세포가 스스로를 복제하면서 전이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실제로 생쥐에게 TM4SF5를 발현하는 세포를 5000개 정도 주사했더니 CD44도 함께 발현됐고 둘이 결합하면서 암덩어리를 ... ...
층간소음 원천봉쇄 가능해졌다
2015.02.11
작동시키게 했다. 이 장치는 내부에 채워진 액체를 진동시켜 소음 주파수가 아래층으로
전달
되는 것을 막는다. 실험 결과 이 장치를 시공했을 경우 층간소음이 최대 30% 감소되는 효과가 있었다. 기존 진동저감장치보다 효과가 3배 넘게 높아진 수치다. 연구팀은 기존 장치와 비슷한 효과를 ... ...
세상에서 가장 작은 공기방울 실시간 관찰 성공
2015.02.08
혈관을 막기 때문으로 추측된다”며 “나노공기방울에 대한 연구는 기체의 발생 및
전달
을 포함하는 다양한 자연현상과 생명활동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연구결과는 ‘네이처’의 자매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2일자에 실렸다. 나노공기방울을 관찰하는 과정에서 ... ...
발렌타인데이의 주인공 '초콜릿'의 상식 6가지
2015.02.06
카나비노이드(Cannabinoid)'라는 성분이 포함돼 있다. 초콜릿을 먹으면 세라토닌 같은 신경
전달
물질이 더 많이 분비되면서 기분을 좋게 한다. 이 때문에 초콜릿은 일시적으로 우울증 같은 기분을 가라앉힐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2010년 02월 11일자 , 변태섭 ... ...
이광종 감독 급성백혈병 진단…‘급성백혈병’ 증상과 경과는?
동아닷컴
l
2015.02.06
3일 축구협회에 급성백혈병 진단 사실을 알리면서 감독직을 수행하기 어렵다는 뜻을
전달
했고, 축구협회는 이날 기술위원회를 열어 신태용 코치를 후임으로 선정했다. 대한축구협회는 5일 기술위원회를 열어 “올림픽 축구대표팀을 이끌어온 이광종 감독이 급성백혈병으로 더는 감독직을 ... ...
와인밭 관리하기 힘드셨죠? ‘포도 로봇’ 쓰세요
2015.02.05
농부에게 알려 준다. 넓은 포도밭의 정보를 분석해 지도에 나타내고 이 정보를 무선으로
전달
해 어디서든 관리할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이번 프로젝트의 배경에는 유럽 포도 농가에서 농부의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젊은 농부를 끌어들이기 위해 농사와 관련된 로봇이나 신기술이 ... ...
이제는 적외선까지 3D로 감지
2015.02.02
것이다. 적외선은 빨간색 가시광선보다 파장이 길어 눈에 보이진 않지만 반사, 흡수,
전달
등이 가능하다. 기존 감지기는 미세한 온도차에 따른 적외선 에너지의 세기를 영상으로 재현하는 방식이었다. 하지만 적외선 에너지가 얼마나 많으며 어디로 가는 지 등을 정확히 알지 못한다는 문제가 ... ...
이전
441
442
443
444
445
446
447
448
4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