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운반
전송
수송
정보전달
정보
정보전달매체
매체
뉴스
"
전달
"(으)로 총 4,868건 검색되었습니다.
신용카드보다 얇은 배터리 나왔다
2015.03.17
약물
전달
패치와 하나로 합쳐 만든 초박형 배터리. - KA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신용카드보다 얇고 자유롭게 구부릴 수도 있는 초박형 배터리를 개발했다. 무선 충전도 가능하기 때문에 스마트폰을 비롯한 각종 휴대용 전자기기의 성능개선에 큰 도움을 줄 원천 기술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KAIST ... ...
SF로 포장해 철학으로 버무린 로봇 영상물
2015.03.15
어떻게 움직이고 반응하는지 그 단편적인 정보만 알 수 있다. 복잡한 기억과 경험을 모두
전달
하는 건 물리적으로 불가능해 보인다. 하물며 컴퓨터로 만들어진 로봇의 두뇌를 사람과 구분하지 않고 똑같은 절차를 통해 의식을 복사해 내는 모습에선 헛웃음이 나왔다. 개인적으로 이 영화가 ... ...
수 만 가지 음식, 맛은 비밀은 어디서 오는 걸까
2015.03.15
중요한 것은 성분보다 자극을 주는 리듬이며, 맛의 쾌락은 결국 뇌에서 나오는 쾌락
전달
물질인 ‘도파민’ 분출량에 비례한다는 것. 또 뇌가 생성된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진화학을 통해 인간이 어떤 음식을 먹어왔는지를 살핀다. 책의 말미에선 많은 사람들이 좋아하는 음식, 아이스크림이나 ... ...
고혈압 치료법 단초, 국내 연구진이 밝혔다
2015.03.13
처음으로 밝혀냈다고 12일 밝혔다. 지금까지 Rgs2 단백질은 사람의 몸속에서 신호
전달
을 담당하는 ‘G단백질’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었다. Rgs2 단백질이 쉽게 분해 되는 사람은 G단백질이 제 역학을 하지 못해 결국 혈압을 낮추지 못하고 고혈압이 생겼던 것이다. 그러나 Rgs2 단백질이 ... ...
습한 곳에 가면 저절로 분리막 만들어져
2015.03.11
물질을 넣자 전기는 기공을 통해
전달
되지만 열은 절연성질의 고분자에 막혀
전달
되지 않았다. 일반적인 전기전도성 물질은 열전도성도 좋은데, 김 교수팀이 전기는 잘 통하되 열은 전도되지 않는 소자를 만든 것이다. 김 교수는 “합성 고분자를 습한 곳에 두는 것만으로 대면적의 ... ...
유·무선 인터넷 더 안전하게 사용한다
2015.03.11
보안성을 높인다. 또 데이터를 전송할 때 끊어서 보내거나 특정한 경로를 통해서만
전달
하게 만드는 방식도 적용했다. 연구진은 이 기술을 이용하면 스마트폰 인터넷 사용에서 발생하는 보안 문제도 한층 강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박 연구원은 “정부기관이나 금융기관의 전산망 보안을 한층 ... ...
동물실험 대체할 바이오칩 개발 가능해졌다
2015.03.10
인체조직을 재현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신장과 폐, 피부 등의 인체조직에 영양소를
전달
하고 물질교환 통로 역할을 해 주는 기저막을 똑같이 만드는 기술도 해결해야 하는 숙제였다. 연구진은 나노섬유를 만들 때 사용되는 전기방사법을 응용해 독성이 없는 성체 적합 고분자 물질로 나노섬유 ... ...
그래핀이 안 된다면 이 물질로?
2015.03.08
반도체를 대체할 신소재로 급부상했다. 그래핀은 현존하는 물질 중 열과 전기를 가장 잘
전달
하지만 전기 흐름을 제어하는 반도체적 성질이 부족해 상용화가 더딘 상황이다. 연구팀은 화학적 합성법을 통해 탄소와 질소가 일정한 비율로 섞인 새로운 2차원 구조체(C2N-h2D)를 개발했다. 이 ... ...
갤럭시s6 탁자에서 충전?… 앞으론 자동충전 세상온다
2015.03.05
같은 원리가 적용됐다. 온라인 전기자동차는 전송거리를 늘리는 대신 대용량 전기를
전달
하기 유리하도록 ‘자기공진형상화기술(SMFIR)’을 개발했다. KAIST는 한국철도연구원과 공동으로 지난해 시속 300km급 차세대 고속열차에 이 기술을 적용해 테스트를 마쳤다. 조동호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 ...
열렸다 닫혔다 마법의 ‘나노 통로’
2015.03.04
크기를 수 십~수 백 nm로 변화시키면 DNA나 단백질 같은 작은 생체분자를 포집하거나
전달
하는 분야에 응용할 수 있다. 밴드 형태로 만들어 상처 난 곳에 붙이면 약물이 나노 통로의 양쪽 끝부분에서 서서히 빠져나와 체내로 흡수된다. 문 연구원은 “재료 표면을 플라스마로 처리하는 시간을 조절해 ... ...
이전
439
440
441
442
443
444
445
446
4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