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리
대표자
대표원
대신
정치 위원
대리자
사절
d라이브러리
"
대표
"(으)로 총 7,190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명을 살리는 바이러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시판할 예정이다.바이러스의 우수한 감염력은 생물학 연구에서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다.
대표
적인 예가 유전자의 기능을 규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술인 ‘RNA 간섭’(RNAi)이다. 기능을 알고 싶은 유전자의 RNA 조각을 합성해 세포 속에 집어넣으면 RNA 조각이 유전자의 기능을 억제하는데, 이때 ... ...
겨울철 불청객 감기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일반적으로 땀을 내는 한약을 복용하는 방법을 쓴다. 한약재로는 마황과 계지가
대표
적이다.마황은 환자가 땀을 흘리지 않을 때 쓰고, 계지는 땀이 나고 있을 때 사용한다. 감기에 들었을 때 매운 것을 먹거나 사우나에 들어가 땀을 내면 감기가 나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도 한의학에서 보는 감기 ... ...
오존 구멍 회복이 늦어진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넓으며 행동도 신속하다 조립 작업, 아크릴 용접 등에 이용된다 다중전이(多重轉移)의
대표
적인 것으로, 둘 이상의 광자를 동시에 홉수 · 방출하는 과정에 수반되는 전이 중성자 수송방정식에서 에너지에 관해서는 산발적인 몇개의 무리로 나누어 근사시키고, 공간적인 이동에 관해서는 픽의 ... ...
PART1 과학잡지가 바꾼 세상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과학 수준은 수준 높은 과학잡지에 의해 높아지는 것이 아닐까? 20회 생일을 맞는 한국의
대표
과학잡지 과학동아에 과학 한국의 희망찬 미래를 걸어본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2007년 4월 꿈은 이루어진다 PART1 과학잡지가 바꾼 세상 PART2 과학동아가 걸어온 2 ... ...
플라스틱으로 만든 나노 칵테일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기능이 생긴다. 전기를 흘려주면 빛을 내는 전기발광 고분자나 고분자 리튬 배터리가
대표
적이다.박 교수팀이 개발하고 있는 고분자 전기발광소자는 전기발광 고분자에 점토(실리케이트)를 섞은 소자다. 점토 사이에 전기발광 고분자를 층층이 넣어 50~100nm 두께로 만든 것이다.“고분자 전기발광 ... ...
뇌질환 유전자만 콕 집어낸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외부에서 넣어준 유전자가 기능을 보완해줘 질병을 극복할 수 있다. 이런 병 가운데
대표
적인 것이 바로 뇌암이다. 암을 억제하는 기능을 지닌 유전자가 기능을 상실하면 뇌암이 발생한다. 또 파킨슨병도 이렇게 발생하는 뇌질환에 해당한다.특정 유전자에 발생하는 돌연변이가 유전자의 기능을 ... ...
5. 나랏말씀이 두뇌에 좋아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공이 있다. 자연에 존재하는 수많은 소리와 움직임을 나타내는 의성어와 의태어가
대표
적인 예다. 개굴개굴이 겨울연가 인기 비결?지난해 필자와 공동연구팀은 사람들이 의성어나 의태어 단어를 보는 동안 대뇌 활성이 어떻게 이뤄지는지 규명하기 위해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 연구를 했다. ... ...
PART2 과학동아가 걸어온 20년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기치를 높인 두 대학을 과학동아는 기사로 격려하고 채찍질했다. 두 대학은 현재 한국을
대표
하는 명문 이공계 대학이 됐다. 1990~2000 달나라에 간 아인슈타인1990년대 들어 사회 현상을 과학과 결합하는 작업이 시작됐다. 1990년 2월호 특집으로 소개된 ‘교통문제 과학으로 푼다’는 기사가 초창기 ... ...
고르름 왜 보기 힘들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처마 위로 비둘기 한 마리가 힘찬 날갯짓을 합니다. 고드름은 추운 겨울에 볼 수 있는
대표
적인 현상으로, 옛날에는 고드름을 따서 칼싸움을 하고 놀기도 했지요. 하지만 아파트나 빌딩이 많은 도시에서는 고드름 보기가 여간 어려운 게 아니에요. 왜 그럴까요? 고드름은 지붕 위에 쌓인 눈이 녹아 ... ...
과학자와 예술가의 유쾌한 음모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지난 6월초 KIST에서 열린 작가와 과학자의 첫 만남은 작가의 작품성향을 공유하기 위해
대표
작을 보여주는 것에서 시작했다. 당시 참석자들은 서로 마음에 드는 상대를 골라 짝을 이뤘고 이 작가와 KIST마이크로시스템연구센터장 문성욱 박사도 한 팀이 됐다. 이 작가가 문 박사를 선택한 이유는 ... ...
이전
441
442
443
444
445
446
447
448
4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