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번영
번성
번창
d라이브러리
"
성공]
"(으)로 총 6,471건 검색되었습니다.
빅뱅 신화에 도전하는 최신우주론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약 1백 50억년 전에 발생했던 빅뱅. 탄탄한 증거를 바탕으로 빅뱅이 최근 강력한 도전을 받고 있다. 절체불명의 진공에너지가 관측되고 또다른 막 우주가 주장되기 때문이다. 최신우주론을 만나보자.“태초에 무한하고 캄캄하며 텅빈 공간 카오스(혼돈)가 있었다. 뒤를 이어 넓은 가슴을 가진 대지( ... ...
완벽한 동반자의 길을 걷다 퀴리부인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소크라테스는 악처 때문에 철학자가 됐다는 이야기가 있다.그의 아내가 실제로 악처였는지는 알 수 없지만,이 이야기는 한사람의 인생에서 배우자의 역할이 얼마나 큰지 말해준다.과학의 미래를 함께 설계한 퀴리 부부는 어떤 생활을 했을까.서양 과학의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는 작업은 사실 아리 ... ...
가상현실 스튜디오에서 유럽 여행 만끽한다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SF 영화나 소설의 소재로 등장하는 가상현실은 많은 사람들이 경험해보고 싶어하는 첨단기술 중 하나다. 진짜보다 더 ‘진짜’같은 세계를 보여주는 기술. 가상현실은 어떤 학문이며, 기술적 구현 원리는 무엇일까.인공 두뇌를 가진 컴퓨터(AI)가 지배하는 2199년. 인간들은 태어나자마자 인공자궁 안 ... ...
새처럼 날개짓하는 초소형 비행기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새처럼 날개를 파닥거리며 나는 초소형 비행기가 국내에서 처음 개발됐다. 대전에 있는 벤처기업인 뉴로스(대표 김승우)가 최근 공개한 로봇새 ‘사이버드’다.초소형 비행기는 손바닥 안에 쏙 들어오는 아주 작은 비행기다. 미국 국방부를 비롯해 세계 각국에서 군사용, 산업용, 오락용으로 활발 ... ...
왜 생명과학자들은 바이러스를 연구할까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인간에게 질병을 주는‘독’과 같은 존재인 바이러스. 퇴치의 대상으로만 여겨졌다. 그러나 오늘날 생명과학자가 바이러스를 연구하는 까닭은 단지 질병퇴치뿐 아니라 분자생물학 발전과 유전자 치료에 바이러스가 큰 기여를 하기 때문이다.‘바이러스’하면 원래 의미보다 컴퓨터 바이러스를 먼 ... ...
2. 독성물 탐지하면 빛 발하는 미생물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하루 버려지는 하수는 약 1천만t. 1년이면 36억t이 되는 엄청난 수자원이다. 냄새나고 더러워보이는 이 하수를 생명의 물로 변화시킬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기적을 일으키는 첨단 기술인 물 재이용기술을 만나보자. ‘돈을 물 쓰듯이 한다’라는 말이 있다. 물이 소중한 자원임에도 불구하고 그 소 ... ...
지옥에서 발견한 오렌지색 하늘 - 금성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금성탐사는 화려한 화성탐사에 가려있었다. 미국은 쓰다 남은 탐사선을 보냈고 카메라조차 실지 않기도 했다. 반면 옛소련은 숱하게 지옥같은 표면에 착륙까지 시도했고 끝내 성공했다. 탐사선들이 벗겨나간 금성의 참모습을 2회에 걸쳐 살펴보자.우리가 뜨거운 금성의 모습을 받아들인 것은 그리 ... ...
왜 극저온 상태를 얻으려 할까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냉동인간, 대륙간 탄도 미사일, 초전도 자기부상 열차에 공통적으로 쓰이는 물질이 있다. 바로 냉동액체다. 극저온의 영역으로 들어가기 위해 냉동액체는 필수적이다.냉동액체가 열어준 극저온 세계를 체험해보자.만물의 비밀을 풀기 위해 과학자들은 우주가 갖는 한계를 뛰어넘는 환경을 실험실 ... ...
글 잘 쓰는 과학자가 성공할 확률 높다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세계 최고의 공과대학 MIT의 근처 서점에서 수십년 동안 가장 많이 팔린 책은 무엇일까. 뜻밖에도 작문 책이라고 한다. 우수한 공과대학 학생들이 왜 이토록 작문 책을 사보는 것일까. 직접 현장을 찾아가 그 내막을 알아보았다. 매사추세츠공대(MIT) 학생들이 가장 많이 지나다니는 보스턴시의 MIT ... ...
암소에서 뽑은 거미줄 섬유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캐나다 몬트리올에 위치한 생명공학회사 넥시아가 거미의 유전자를 암소, 햄스터 등의 포유동물 세포에 이식, 거미줄 섬유를 뽑아내는데 성공했다고‘사이언스’1월 18일자가 보도했다. 거미줄 섬유는 인공 섬유보다 질기고 내구성이 뛰어나 수술 봉합사 등 다용도의 기능성 섬유로 쓰일 수 있다. ... ...
이전
439
440
441
442
443
444
445
446
4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