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옛일
과거사
기왕지사
jinan
d라이브러리
"
지난
"(으)로 총 9,141건 검색되었습니다.
한반도 호랑이 복원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반성한다면 답은 금세 나온다.한반도에 다시 야생호랑이가 뛰어다닐 방법은 없을까.
지난
12월 15일 ‘2010년 호랑이의 해’를 축하하며 열린 한 국제학술대회에서 야생동물보존협회 러시아 지부장인 데일 미켈 박사는 한 가지 아이디어를 냈다. 미켈 박사는 “가장 현실적이고 좋은 방법은 ... ...
한반도 상공 지킬 비밀 병기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필요할 때 언제든 위성을 만들어 쏘아 올릴 수 있는 능력을 먼저 확보해야 한다. 한국은
지난
8월 최초의 소형위성발사체 나로 호(KSLV-I)가 궤도 진입에 실패하면서 로켓발사에 실패했다. 핵심기술인 1단 액체로켓을 러시아 후루니체프사의 지원을 받아 그대로 도입하면서 국산화에도 실패했다. ... ...
사이언스誌 선정 10대 과학뉴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과총)가 뽑은 올해 10대 과학기술 뉴스 중 1위에 선정됐다. 나로 호는
지난
8월 25일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된 뒤 위성보호용 덮개(페어링) 한쪽이 정상적으로 분리되지 않아 과학기술위성 2호를 궤도에 진입시키지 못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페어링 분리에 실패한 원인을 아직 조사 ... ...
달리는 인간형 로봇 휴보2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로봇이 개발됐다. 국내 최초, 세계 3번째다. 휴보센터는 인간형 로봇 휴보2를 개발해
지난
11월 말 동아사이언스에 두 발로 달리는 모습을 최초로 공개했다. 이어 며칠 뒤인 12월 3일 지식경제부가 주최하는 ‘대한민국 로봇대상 및 로봇산업인의 밤’ 행사에 서 휴보2를 정식으로 소개했다. 이날이 ... ...
과학관이 살아 있다는 걸 보여주겠습니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전문 인력을 확충해 지속적으로 연구개발을 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이 관장은 “
지난
1년여 동안 많지 않은 직원들이 어려운 여건 가운데 고생을 많이 했다”며 “앞으로도 과학관 발전이라는 공동목표 아래 ‘우리 과학관은 국가가 선진국으로 가는 길을 지향한다’는 생각을 공유해 창의적 ... ...
호랑이, 넌 누구냐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있어 작고 낮은 주파수의 소리를 잘 감지할 수 있다.호랑이를 애완용으로 키울 수 있을까
지난
12월 8일에는 독일 함부르크의 한 서커스단에서 묘기를 부리던 호랑이 5마리가 조련사를 공격해 치명적인 상처를 입힌 사건이 있었다. 캐나다 벤쿠버 주도 오는 4월 1일부터는 호랑이나 사자 같이 몸집이 큰 ... ...
아라온 남극 향해 출항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첫 쇄빙연구선 아라온 호가
지난
12월 18일 남극으로 첫 항해를 떠났다.아라온 호는 1월 7일 뉴질랜드를 거쳐 같은 달 25일 남극대륙 남서 해안에 있는 케이프벅스에 도착해 지질 등에 대한 정밀 조사를 한다. 이 지역은 우리나라 제2 남극기지의 가장 유력한 후보지다. 정밀탐사가 끝나면 아라온 호는 ... ...
수성에서 발견된 ‘검은 물체’ 미스터리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수성 사진이 때 아닌 외계생명체 논란에 휩싸였다. 문제의 사진은 NASA가 최근 메신저가
지난
7월 촬영한 사진을 홈페이지에 올리면서 눈길을 끌기 시작했다.NASA 측은 사진 설명에서 “수성에서 촬영한 사진 오른쪽 아래 크레이터에 나타나는 괴상한 검은 물체(원 안)의 정체는 무엇일까”라는 질문을 ... ...
문어도 도구를 사용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곳에서 살아오면서 습득한 자연선택의 결과일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지난
12월 14일 발행된 생물학 분야의 국제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에 실렸다 ... ...
2010년 남아공월드컵 공인구 자블라니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지난
12월 10일부터 20일까지 아랍 에미리트에서 열린 세계 클럽 선수권대회에 출전한 포항 스틸러스 선수들은 국내 선수들 중에서는 처음으로 ‘자블라니’를 경험했다. 가볍고 탄력이 좋아 아직까지 공을 컨트롤하기가 익숙지 않지만 공에 대한 선수들의 기대는 크다. 자블라니는 힘을 살짝만 줘도 ... ...
이전
437
438
439
440
441
442
443
444
4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