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옛일
과거사
기왕지사
jinan
d라이브러리
"
지난
"(으)로 총 9,141건 검색되었습니다.
알뜰살뜰 세뱃돈 불리는 법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민족 최대의 명절인 설을 앞두고 아이들은 세뱃돈 받을 생각에 기분이 들뜨기 마련입니다. 하지만 주머니가 얄팍해진 어른들은 세뱃돈을 얼마나 줘야 ... 될 수 있다고 했기 때문이다. 100년이
지난
뒤 일부는 학교를 짓는 데 사용됐고, 200년이
지난
시점에 그의 기부금은 500만 달러가 넘었다 ... ...
새 교과서의 세 번째 성격! 문제 해결의 힘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친절하게도 프로듀서들이 수학을 왜 배우는지 모두 말해 줬어. 모르겠다고?프로듀서들은
지난
주 방송을 보면서 문제를 제기하고 문제 상황을 이해했어. 문제점을 찾아 낸 거지. 그리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계획을 짜고 실행해 본 뒤 문제를 잘 해결했는지 되돌아보면서 또 다른 문제점은 없는지 ... ...
호랑이, 넌 누구냐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있어 작고 낮은 주파수의 소리를 잘 감지할 수 있다.호랑이를 애완용으로 키울 수 있을까
지난
12월 8일에는 독일 함부르크의 한 서커스단에서 묘기를 부리던 호랑이 5마리가 조련사를 공격해 치명적인 상처를 입힌 사건이 있었다. 캐나다 벤쿠버 주도 오는 4월 1일부터는 호랑이나 사자 같이 몸집이 큰 ... ...
동식물의 즐거운 새해맞이 잔치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신나는 잔치를 벌이는 모습은 사람이나 동식물이나 비슷한 것 같다. 동아사이언스는
지난
10월 20일부터 한 달 동안 제1회 ‘과학동아ㆍ어린이과학동아 생태사진 공모전’을 열었다. 수상작에는 꽃잎에 앉아 꿀을 흠뻑 마시는 호랑나비부터 우아한 털이 달린 잔을 든 박주가리, 막춤을 추는 ... ...
수성에서 발견된 ‘검은 물체’ 미스터리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수성 사진이 때 아닌 외계생명체 논란에 휩싸였다. 문제의 사진은 NASA가 최근 메신저가
지난
7월 촬영한 사진을 홈페이지에 올리면서 눈길을 끌기 시작했다.NASA 측은 사진 설명에서 “수성에서 촬영한 사진 오른쪽 아래 크레이터에 나타나는 괴상한 검은 물체(원 안)의 정체는 무엇일까”라는 질문을 ... ...
판다는 원래 ‘육식성’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2008년 베이징 올림픽 마스코트 판다가 유전학적으로는 육식동물이라는 뜻밖의 연구결과가 나왔다. 판다는 둔한 몸으로 풀밭에 앉아 대나무 잎을 뜯어 먹 ... 위기에 처한 판다를 보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 기대했다. 이 연구 결과는
지난
12월 13일 발행된 ‘네이처’에 소개됐다 ... ...
발명왕 ‘떡잎’부터 알아보고 키우는 창의발명캠프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만들고 F1 경주도 하고특허청에서 주최하고 한국발명진흥회가 주관하는 창의발명캠프는
지난
12월 14일에 충남 예산 덕산 스파캐슬에서 열렸다. 초·중등부는 2박 3일 일정으로 16일에 끝났지만, 고등부는 이날 일본으로 해외연수를 떠나 19일까지 캠프가 이어졌다. 프로그램은 초·중·고등부로 ... ...
한반도 호랑이 복원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반성한다면 답은 금세 나온다.한반도에 다시 야생호랑이가 뛰어다닐 방법은 없을까.
지난
12월 15일 ‘2010년 호랑이의 해’를 축하하며 열린 한 국제학술대회에서 야생동물보존협회 러시아 지부장인 데일 미켈 박사는 한 가지 아이디어를 냈다. 미켈 박사는 “가장 현실적이고 좋은 방법은 ... ...
“공군, 이제 우주로 간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공군 장교들이 한국천문연구원 등에서 위탁교육을 받고 있다. 또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지난
8월 한국 최초 위성발사체 나로호(KSLV-I)를 발사할 때 지원하기도 했다. 공군은 도움이 필요한 여러 연구 기관들과 실질적 협력을 확대해 가고 있다.”▶ 2010년부터 공군 장교 가운데 우주비행사 후보를 ... ...
문어도 도구를 사용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곳에서 살아오면서 습득한 자연선택의 결과일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지난
12월 14일 발행된 생물학 분야의 국제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에 실렸다 ... ...
이전
436
437
438
439
440
441
442
443
4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