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나"(으)로 총 13,944건 검색되었습니다.
- 진짜 우주 vs 내 안의 우주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사진이고 3장은 우주비행사의 피부에서 살아가는 미생물이다.NASA는 2015년 연중 과제 중 하나로 우주에서 생활하는 우주비행사의 미생물이 1년 동안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연구했다. 장기 비행 시 몸 안팎의 미생물 구성이 바뀌면서 임무 수행에 안 좋은 영향을 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신체의 ... ...
- [핫이슈] 3D 프린터와 아두이노 보드로 화성에서 살아남기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모하비 사막을 탐사하는 모습(➌).사실 우주생물학연구에서 가장 활발한 분야 중 하나는 외계 생명체를 탐사하는 것이 아니라, 바로 지구에서 생명이 어떻게 탄생했는지 밝혀내는 탐사다. 지구에서 어떻게 생명이 시작됐는지 이해하면, 다른 곳에서 생명이 탄생할 가능성도 알 수 있다.이런 연구와 ... ...
- 폐허 위에서 품은 희망 네팔 지진 현장을 가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교수는 “현지 교사들에 따르면, 이전에는 이곳 아이들이 이렇게 함께 춤추고 여럿이 하나가 되어 움직이는 모습을 본 적이 없었다고 한다”고 말했다. 초우따라 팀 봉사단원인 노은지 씨(가톨릭대 4학년)도 “한 번도 춤을 춰 본 적 없는 아이가 용기를 내서 자신의 감정을 춤으로 표현하는 것을 ... ...
- [상수의 탄생10] 고전물리학의 균열을 메운 보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빼앗긴 에너지로 인해 원운동 궤도가 점점 작아지면서, 결국 전자가 원자핵에 충돌해 하나가 될 거라고예측했다. 하지만 우리의 몸이 늘 멀쩡한 데에서 알수 있듯, 그런 일은 벌어지지 않는다.MODEL세상의 구조이제 오늘의 주인공, 덴마크의 물리학자 닐스 보어가 등장할 차례다. 1913년 보어는 당시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SW in Science ➒ 선수 추적프로그램] 축구 경기장 뒤의 12번째 선수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좋은 소프트웨어는 승리의 열쇠선수 외에도 경기영상에서 추적해야 할 목표물이 하나 더 있다. 축구공이다. 공의 위치와 움직임을 알아야 선수가 현재 뭘하고 있는지 파악할 수 있다. 그런데 공은 크기가 작고 움직임이 빨라 선수보다 추적하기 어렵다. 알고리즘도 더 복잡해질 수 밖에 없다. 김종윤 ... ...
- 인류의 시작부터 함께 한 학문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초기 투자비용이 매우 크니까 위험요소가 많죠. 이건 우리 학문이 가진 특성 중 하나예요. 이 부분을 잘 인내하고 학문에 정진한다면 좋은 인재가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 ...
- [PART 1] 화석이 알려주는 인류의 진화수학동아 l2015년 11호
- 암반을 기어오르니, 어린아이나 여성이 지나갈 만큼 작은 구멍이 나왔다. 이 구멍은 또 하나의 작은 방 ‘디날레디의 방(세소토어★로 별들의 방이라는 뜻)’으로 들어가는 입구였다.두 사람은 이곳에서 치아가 고스란히 남아 있는 턱뼈를 발견했다. 그리고 함께 일하는 동료인 고인류학자 리 ... ...
- [생활] 뇌섹남들은 수학 문제를 푼다?! 뇌섹시대 문제적남자수학동아 l2015년 11호
- 개념이나 공식이 전혀 쓰이지 않았다. 앨버트와 버나드의 대화에서 ‘모른다’는 사실도 하나의 정보로 생각한 다음, 그것을 토대로 논리의 흐름을 따라가야 하는 것이 문제의 핵심이었다. 박 교수는 “사람들은 수학이 실생활에 쓸모가 없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데, 살아가며 겪는 모든 문제를 ... ...
- 등검은말벌 대한민국을 공격하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한 번에 5~6마리 가량이 달려들어 벌집 전체를 공격한다. 이들이 한 번 왔다 가면 벌집 하나가 초토화 된다.이렇게만 보면 장수말벌로 인한 피해가 더 클 것 같지만, 의외로 장수말벌은 ‘수비’하기가 편하다. 일단 등검은말벌에 비해 꿀벌을 찾는 빈도수가 현저히 적다. 말벌의 움직임이 가장 ... ...
- Part 3. 몸은 메가이터가 될 준비가 돼 있지 않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그런데 인간과 다른 잡식동유도물 사이에 소화생리학적 유사함을 뛰어넘는 큰 차이점이 하나 있다. 바로 인간의 ‘의지’다. 인간은 본능적 반응을 조절하는 의지력이 탁월하다. 맛있는 음식이 눈 앞에 있으면 열량 섭취가 많아져도 더 먹고자 한다. 식사를 마친 뒤에 달콤한 케이크 같은 후식을 더 ... ...
이전4364374384394404414424434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