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나"(으)로 총 13,944건 검색되었습니다.
- 암세포 골라 잡는 ‘표적 기술’ 꿈꾼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멘토가 리차드 콜로드너(현재 UC샌디에이고 교수)예요. 올해 노벨상 수상자들의 업적 중 하나인 ‘DNA 불일치 복구’가 대장암의 발병 원인이라는 것을 처음 밝힌 분이죠. 연구를 할 때 가설을 세우고, 실험의 방향을 설정하는 부분에 대해 많은 조언을 해 주셨어요. 후배 연구자들을 보면 박사학위를 ... ...
- [Knowledge] 땅에 적응한 하늘의 파충류, 익룡과학동아 l2015년 12호
- 기본적인 내용을 하나 짚고 가자. 익룡은 ‘공룡’이 아니다. 둘 다 괴상하게 생긴 외모를 가졌고 오래 전에 살았기 때문에 헷갈릴 수 있다. 하지만 공룡은 골반과 허벅지 뼈가 만나는 부위에 구멍이 있고, 익룡은 이 구멍이 없다. 그래서 학자들은 이 둘을 서로 다른 동물로 분류한다.익룡 화석은 ... ...
- Part2. 테러리스트 만드는 ‘뇌 속 스위치’ 있을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분석이 없기 때문에 신념이 신드롬 E의 스위치인지는 모른다. 다만 유력한 후보 중 하나로 짐작만 할 뿐이다.만약 추가적인 연구로 우리가 악이 탄생하는 메커니즘을 알아낸다면 테러를 막아낼 수 있을까. 프리드 교수는 ‘네이처’와의 인터뷰에서 “우리가 메커니즘을 안다고 해서 이것을 정치적 ... ...
- 제2의 교토의정서 나올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북한에 대한 논문은 72개인데, 그 가운데 이들 나라의 전문가가 연구에 참여한 논문은 단 하나도 없었다. 파스가르드 교수는 논문에서 “선진국과 저개발국 간에 지식수준 차이가 너무 크다”며 “지역의 특성을 제대로 고려하지 않고 만든 연구결과는 기후정책 수립에 있어 치명적인 결함을 ... ...
- [지식] 천재 수학자의 유산 라마누잔의 노트수학동아 l2015년 12호
- 또 있다. 두 개의 바구니를 이용해 한 바구니에는 두 개의 사과를, 다른 한 바구니에는 하나만 담는 방법이다. 이렇게 세 개의 사과를 바구니에 담는 방법은 총 세 가지다.수학적으로 표현하면 먼저 1은 가장 작은 자연수로, 더 이상 분할할 수 없다. 그래서 1의 자연수 분할 가짓수는 1개다. 2는 1+1로 ... ...
- 자작곡 어렵지 않아요! 음악 만드는 소프트웨어수학동아 l2015년 12호
- 작곡SW가 악기 연주부터 녹음, 편집, 믹싱까지 한 번에 다하기 때문이다. 성능 좋은 SW 하나면 멋진 음악을 만들 수 있는 셈이다. 그런데 컴퓨터용 작곡 SW는 대부분 값이 비싸다. 그래서 일반인 사이에서는 작곡 애플리케이션이 각광받고 있다.2012년 MBC 무한도전 연말특집에서 박명수가 사용해서 일명 ... ...
- 가상 체험으로 보는 미래수학동아 l2015년 12호
- 어떤 기술이 나올까요? 지금도 손바닥 크기의 기계 하나로 온라인 쇼핑몰 결제부터 영화관 예매까지 가능한 세상에서 편리함을 누리며 살고 있지만, 기술은 매일 더 빠르게 발전하고 있습니다. 이런 기술이 지금보다 어떻게 더 발전할 수 있을지 궁금하지 않나요?만들고, 날리는 다빈치 에어교실먼저 ... ...
- 교과서 밖으로 나온 수학, 세상을 바꾼다!수학동아 l2015년 12호
- 무너지고, 물이 넘치는 역동적인 장면을 보여주었다.“수학이 보이나요? 숫자나 공식이 하나도 안 보이는데 수학은 어디 있을까요? 방금 본 화면에는 미분, 적분, 행렬이 다 들어 있어요. 영상 속에 보이는 아이언맨의 집은 그래프로 만든 것이고, 진짜 같은 파편과 물결 파도도 모두 수학식이에요. ... ...
- 나는 드론 위에 막는 안티드론 기술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대한항공, 유콘시스템, KT, CJ대한통운 등과 함께 시범사업을 수행할 15개 사업자 중 하나로 선정됐다. 사업자들은 국토조사와 순찰, 산림보호와 재해감시, 물품수송, 통신망 활용, 레저 스포츠 및 광고 등의 산업에 대해 안전성 검증 테스트를 하겠다고 신청한 상태다.드론, 활용 가능성 ... ...
- ‘멀티플레이어’ 뇌의 선택과 집중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이를 위해 쥐로 하여금 빛에 집중하게 한 다음, 빛과 소리 자극을 동시에 줘서 둘 중 하나를 따라 이동하게 했다. 실험결과 쥐는 소리 자극은 무시하고 빛 자극을 따라 이동했다. 반면 쥐를 소리에 먼저 집중시킨 뒤 빛과 소리 자극을 동시에 준 경우에는 반대로 소리 자극을 따라 이동했다. 특정 ... ...
이전4324334344354364374384394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