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부
일체
전체
총체
첫머리
모든
온갖
d라이브러리
"
모두
"(으)로 총 9,990건 검색되었습니다.
스무 살 성인 된 V3
과학동아
l
200806
먹통이 된 PC만 30만 대다. 이 녀석은 기본입출력시스템과 하드디스크에 저장된 데이터를
모두
파괴한다. 당황한 사용자들이 다급히 나를 찾았다.뿌듯한 마음 한편으론 씁쓸한 기분을 감출 수 없다. 결국 바이러스에 당하고 나서야 다들 정신이 번쩍 드는 모양이다. ‘백신=무료’라는 공식을 당연한 ... ...
모자이크로 붙인 카시오페아
과학동아
l
200806
때 주의해야 하는데, ‘회전하기’(Distort) 명령을 이용해 정교하게 붙여야 한다. 사진을
모두
합쳤으면 ‘레이어 하나로 합치기’(Flatten Image)명령으로 하나의 사진을 만든다.보통 사진을 찍는 데만 2~3시간이 걸리고 사진을 모자이크로 붙이는 데도 많은 노력이 들어간다. 하지만 이렇게 공이 들어간 ... ...
생활에서 아이디어를 발견하다
과학동아
l
200806
생각에서 나오거든요.”회의에서 나온 아이디어는 사소해 보일지라도 ‘발명 노트’에
모두
꼼꼼히 적어둔다. 그리고 생각을 발전시켜 실제로 제품을 만들기도 한다. 실제로 이렇게 탄생한 발명품이 발명 대회 수상으로 이어진 경우가 많다.동아리 회장을 맡고 있는 박혜미(07학번) 씨는 이런 ... ...
전 소대원 몰살시킨 의문의 바이러스 GP506
과학동아
l
200806
노 원사는 이대로 생존해서 이들에게까지 바이러스를 퍼뜨릴 것인가, 아니면 부대원을
모두
죽이고 자신도 목숨을 끊어야 하는 것일까. 숙주가 죽어도 바이러스는 산다강 상병과 노 원사는 숙주를 죽이면 바이러스를 죽일 수 있다고 믿었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 바이러스나 박테리아는 대기 중에 ... ...
중국의 주요 지진 발생 지역
과학동아
l
200806
체내에서 각종 효소를 이용하여 음식을 분해 · 합성하는데, 그 분해나 합성반응은
모두
상온상압(常溫常壓)에서 이루어지며 우리 몸에 필요한 것을 효율적으로 생산한다생체의 이런 과정을 외부장치에 적용시키면 자원과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이상적인 생산을 할 수 있다 항생물질의 하나 195 ... ...
PART2 우리는 누구나 시인
과학동아
l
200806
어떤 식으로든 공감각을 경험한다고 하지 않는가. 그러나 실망할 필요는 없다. 우리
모두
태어났을 때는 공감각의 세계에 살았음을 시사하는 연구결과가 있다. 게다가 우리의 언어 속에는 공감각의 자취가 깊이 새겨져 있다. 신생아가 6개월 된 아기보다 나아아이가 태어난 뒤 한동안은 공감각적 ... ...
PART1 인간광우병 환자 프리온이 MM형인 이유
과학동아
l
200806
것으로 보인다”고 해석했다. 지금까지 전 세계적으로 발병한 인간 광우병 환자 200여명
모두
가 MM형인 이유다. 최근 VV형인 사람이 vCJD에 걸린 사례가 보고 됐는데 증상이 달라 아직 결론은 내리지 않은 상태다.유전자가 존재하는 이유가 CJD에 대한 저항성 때문이라면 이 돌연변이가 일어난 수십만 년 ... ...
곤충계 스타, 북쪽으로 가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06
환경변화를 예측할 수 있을까. 영국, 58종뿐인 나비로 환경감시우리나라에는 남북한
모두
합쳐 265종의 나비가 사는데, 남한 땅에만 212종이 알려져 있다. 거의 대부분은 우리 땅에서 깨어나 생애를 마치는 토종나비다. 하지만 여름철에만 어른 나비가 중국 남부와 타이완을 포함한 동남아시아에서 ... ...
'신의 물방울' 빚은 주인공 흙
과학동아
l
200806
지대이고 메독 지방은 자갈 지대, 뽀메롤 지방은 자갈과 모래지대”라고 말했다. 세 곳
모두
수분이 적어 척박하기로 유명하다.수분이 적은 환경은 포도의 풍미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물이 잘 빠져 수분의 양이 적은 토양에서 ‘힘들게’ 자란 포도는 당도가 높고 폴리페놀성분이 많다. 농촌진흥청 ... ...
우주에서 돌아온 뒤 그들은 무얼 할까
과학동아
l
200806
근무해야 한다. 물론 2년 뒤에는 직업을 바꿀 수도 있다. 하지만 그동안 두 사람은
모두
우주인 사업이 끝난 뒤에도 우리나라 우주개발 계획에 연구자로서 계속 참여할 뜻을 비쳐왔다.이 박사는 지난 5월 14일 기자와의 전화통화에서 연구자뿐만 아니라 ‘우주과학전도사’로서의 임무를 강조했다. ... ...
이전
436
437
438
439
440
441
442
443
4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