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꼭"(으)로 총 730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밀가루 글루텐 유해성, 여전히 논란 중2018.05.29
- 유발한 결과일 수도 있고 심지어 탄수화물이 원인일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 경우 꼭 밀가루 음식에서 비롯된 게 아닐 수도 있다. 즉 밀, 그 가운데서도 글루텐에게 모든 죄를 뒤집어씌워 희생양으로 삼아서는 안 된다는 말이다(자세한 내용은 필자가 2014년 ‘글루텐을 위한 변명’ https://goo.gl/MbLL6i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개인의 노력을 탓하는 이유2018.04.28
- 자체로 큰 스트레스가 된다. 일례로 아직 우리 사회에는 많은 문제들이 있으니 그것들이 꼭 바뀌어야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보다, 우리 사회에는 별다른 문제가 없고 사람들의 불행은 사회와 상관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더 행복한 편이라는 연구도 있다(Napier & Jost, 2008). 성차별이 심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흡은 어떻게 감정을 조절할까2018.04.24
- 한 시간에 수차례 한숨을 쉬고 쥐의 경우는 수십 차례 한숨을 쉰다. 사실 한숨이 꼭 감정을 동반하는 것도 아니다. 한숨의 생리적 기능으로는 뇌의 기체 교환 효율을 높이는 것이다. 즉 반복된 얕은 호흡으로 찌그러진 채 있는 폐포에 공기를 가득 넣어 다시 펴지게 한다. 즉 폐는 가끔 한숨을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강박적 행복추구는 오히려 독이다2018.04.21
- ). 앞서 언급했듯 ‘이상적인 정서 상태’나 내가 반드시 느껴야 할 행복감의 크기 또는 꼭 피해야 할 부정적 정서들 같이 감정에 옳고 그름의 기준을 정할수록 자연스럽게 올라오는 다양한 감정들의 존재에 쓸데없이 실망감을 갖게 되기 때문이다. 그저 한 발짝 떨어져 슬플 때는 ‘내가 지금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상대방의 의도를 공격하는 이유2018.03.24
- 싶어서 믿는 경우도 많다는 것이다. 쉽지는 않은 일이지만, 믿고 싶은 것과 불편하지만 꼭 바라봐야할 현실을 구분할 수 있게 된다면 조금 더 나은 세상을 만들 수 있지 않을까? Barnes, R. M., Johnston, H. M., MacKenzie, N., Tobin, S. J., & Taglang, C. M. (2018). The effect of ad hominem attacks on the evaluation of claims promoted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청바지 파란색 인디고, 녹색으로 거듭날 수 있을까?2018.01.23
- 인디고의 존재의 이유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렇다면 인디고 염료는 왜 천에 꼭 들러붙어있지 못하고 빨 때마다 조금씩 물이 빠지는 걸까. 보통 천을 염색할 때는 염료와 함께 매염제를 넣어줘 염료가 천의 섬유와 단단히 결합하게 한다. 합성화학이 발달하면서 매염제가 필요 없는 염료도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만 친구 없어! 나만 불행해! 라는 생각이 찾아올 때 2018.01.13
- 짐만 바라보며 내가 제일 어려운 상황에 처해있고 나만 각종 고통을 당하고 좋은 일은 꼭 나만 빗겨 간다며 불만을 토로하곤 한다(Davidai & Gilovich, 2016). 심각하게 나만 ○ ○가 없다고 느껴질 때면 혹시 타인들에 대한 피상적인 정보만 가지고 그런 생각을 하는 것은 아닌지 생각해 보는 것도 좋겠다.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남의 시선과 의무감을 벗어던질 때 최고의 성과가 나온다 2018.01.06
- 다른 면들까지 다양하게 알게 되었다는 것 자체로 만족하면 되지 않을까? 그걸 사람들이 꼭 알아줘야 할 필요는 없지 않나. 작은 경험이었지만 꼰대는 나이의 문제가 아니라는 깨달음을 얻을 수 있었다. 특히 자신의 고생을 미화하며 다들 나처럼 해야 된다던가 내가 옳았다고 내뱉는 모든 ... ...
- [지뇽뇽 사회심리] 숙련 VS 성과2017.12.16
- 두렵다. 실패를 하고 싶어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하지만 실패는 꼭 필요한 것이기도 하다. 실패를 통해서만 배울 수 있는 것들이 있기 때문이다. GIB 제공 ● 숙련 목표 VS. 성과 목표 심리학자들은 사람들이 목표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드러나는 태도를 크게 두 가지로 나눈다. 하나는 눈앞의 ... ...
- 꼭 외향적인 사람이 좋은 리더일까2017.10.22
- 흔히들 내향적인 사람보다는 딱 봐도 활발하고 에너지가 넘치는 외향적인 사람에게 리더의 자질이 있다고 생각한다. 내향적인 사람들에게는 적극적이지 못하다거나 그렇게 숫기가 없어서 큰 일을 할 수 있겠냐는 등의 평가가 따라다니곤 한다. 하지만 최근의 연구들은 조금 다른 가능성을 보여준 ... ...
이전3940414243444546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