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로
스페셜
"
꼭
"(으)로 총 730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뇌는 이런 운동을 원한다
2017.07.18
능력을 키우고 안 쓰면 필요가 없다고 판단해 능력을 줄인다는 말이다. 즉 우리 몸은
꼭
필요한 곳에만 에너지를 쓰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예를 들어 늘 정적인 생활을 하면, 즉 신체 활동이라는 자극이 없으면 몸에 많은 피를 공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심혈관계는 말단의 혈관을 줄이고 혈관의 ... ...
흉악범도 용서할 수 있을까
2017.07.08
그를 떠올리기만 하면 혈압이 솟구치고 심장이 쾅쾅 뛰는 내적 반응을 가라앉힌다는 게
꼭
그와 다시 화목하게 잘 지내보겠다는 뜻은 아니라는 것이다. 또한 용서는 봐주기나 책임을 면제하는 것과 다르며 따라서 정의 집행과 별개이다. 연구에 의하면 위의 경우에서처럼 범죄의 피해자들에게서 ... ...
지나치게 큰 자존감이 '갑질 사회'를 만들었다?
2017.06.10
하며 일반화하지 말 것 4) 다른 사람들이 나를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관심을 줄일 것이다.
꼭
남들과 비교해서 누구보다 대단하고 우월해야만, 또는 비현실적으로 모든 면에 있어 완벽해야만 괜찮은 사람이 되는 것은 아닐 것이다. 자아를 드높이려고만 했던 태도를 조금 버릴 때 다른 중요한 것들이 ... ...
당신은 ‘거절당할 용기’가 있나요?
2017.05.21
상대방에게도 다양한 사정이 있어서 나의 요청과 다가감을 거절하는 것일 수 있는데
꼭
그걸 내가 마음이에 안 들어서, 내가 모자란 인간이라서 거절하는 것이라며 사적인 문제로 받아들이고 좌절하기도 한다. GIB 제공 거절의 효과는 실로 커서 처음 보는 낯선 이들과 실험실에서 함께 공놀이를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사소한 것에 의미를 부여하는 이유
2017.05.07
나서기도 한다. 돼지 꿈을 꿨으니 로또에 당첨될거라고 생각하기도 하고 내가 보면
꼭
진다며 중요한 시합을 보지 않는 선택을 하기도 한다. 이렇게 어떤 현상에 옳고 그름 여부와 상관 없이 ‘나름의’ 설명과 인과관계를 붙이는 현상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렇게 우리는 실은 알 수 없는 일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세먼지 줄이는데 식물이 얼마나 효과가 있을까?
2017.05.02
문제다. 식물체에서 나오는 기체는 다 사람과 환경에 좋을 것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꼭
그렇지도 않다. BVOC는 이소프렌이나 모노테펜 같은 탄소원자 5개 또는 10개로 이뤄진 분자로 대기 중 질소화합물과 반응해 오존을 생성한다. 서구 도시의 가로수 가운데 BVOC를 많이 만드는 종류로는 닛사나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일란성쌍둥이는 얼굴도 똑같이 생겼을까?
2017.04.25
1480년대 작품 ‘노인과 소년’을 보고 파리 사교계의 명사인 마르키 드 로와
꼭
닮았다고 말했다고 한다. 알랭 드 보통은 어디서 구했는지 그림과 비슷한 각도에서 찍힌 마르키의 사진도 실었는데 두 사람이 분명히 비슷하게 보였을 것이라며 “그들은 나라와 수세기의 시간에 의해 극적으로 갈라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산소발생 광합성 역사 불과 25억 년?
2017.04.04
사실 이게 산소발생 광합성(oxygenic photosynthesis)의 정의다. 그러나 광합성에 필요한 전자를
꼭
물분자에서 얻을 필요는 없고 실제 제1철이온(Fe2+)이나 황화수소(H2S) 같은 다른 물질에서 얻는 광합성 과정이 널리 쓰이고 있다. 이 경우 물론 폐기물로 산소가 나오지 않는다. 이를 산소비발생 광합성이라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산불의 추억
2017.03.28
20세기 동안 미국에서 일어난 일이라는 것이다. 이들은 “현대 사회에서 화재 억제력은
꼭
필요하다”면서도 “다만 자연생태계를 위해 불을 폭넓게 활용할 필요도 있다”고 주장했다. 그 뒤 이들이 제안한 ‘산불다양성 종다양성 가설’을 지지하거나 반박하는 연구결과들이 이어졌는데 이번에 ... ...
30대, 50대가 외로움을 더 느끼는 이유는 이것 때문!
2017.03.19
것이라던가 20대를 지나면 앞으로의 삶은 계속 아래로만 꺾이게 된다는 통념들에 대해
꼭
그렇지만은 않다는 발견은 흥미로워 보인다. (물론 모두에게 이런 패턴이 나타나는 건 아니겠지만) 개인적으로는 40대가 되면 더 정서적으로 안정될지도 모르겠다는 기대감이 생겼다. ※참고문헌 Luhmann, M., & ... ...
이전
40
41
42
43
44
45
46
47
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