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위
돌
암벽
암반
바위 너럭
뉴스
"
암석
"(으)로 총 561건 검색되었습니다.
로마 방파제가 2000년간 끄떡없는 비결
과학동아
l
2017.07.31
기반의 현대 콘크리트와 달리, 로마인들은 바닷물과 화학적으로 반응할 수 있는
암석
처럼 생긴 콘크리트를 만들었다”며 “이번 연구결과를 활용해 새로운 방파제를 설계하거나 고준위폐기물을 가두는 시멘트 장벽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학술지 ‘미국 광물학’ 7월 ... ...
2004년 수마트라 대지진 원인 밝혔다
과학동아
l
2017.07.26
작용이 진행된 흔적이 발견됐다. 연구팀은 탈수 현상이 섭입 전까지 계속 증가하면서
암석
이 파괴 임계점에 가까워져 섭입 직후 지진이 발생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송 책임연구원은 “이번 연구가 천부 대지진의 원인을 좀 더 명확하게 규명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doi:10.1126/science.aal342 ... ...
지구 대기 속 제논의 고향은 혜성?
과학동아
l
2017.07.15
Xe, 원자번호 54)의 4분의 1이 혜성에서 왔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프랑스 로랑대
암석
및지구화학연구센터 버나드 마티 교수팀은 유럽우주국(ESA)의 혜성탐사선 ‘로제타’ 호가 지난해 5월 14~31일 동안 일명 ‘추리’로 불리는 혜성 ‘67P/추류모프-게라시멘코’의 저고도 궤도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 ...
명왕성 대체할 태양계 아홉 번째 행성은 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7.14
역할을 한 인물이기도 하다. 연구진은 행성 9가 지구 10배 크기이고 해왕성처럼 중심이
암석
으로 이뤄져 있으며 그 주위를 두꺼운 가스층이 덮고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 태양계 인근 거대 행성 발견된 적 없어…“행성 9 없이도 소천체 설명 가능” 반박 태양계 행성을 제외하고 현재까지 ... ...
과학인가, 장인정신인가?...천연광물 유약으로 현대적 도자기 창작하는 황동하 명지대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17.06.27
냄새가 코를 찔렀다. 빽빽하게 놓인 진열장에는 다양한 크기의 도자기가 화학 약품과
암석
, 점토 시료와 함께 놓여있었다. 황 교수는 다양한 재료와 약품을 이용해 유약을 개발하고 있다. 지금까지 실험해 만든 유약 샘플은 30만 가지나 된다. 황동하 명지대 산업대학원 세라믹아트공학과 교수 - ... ...
폭우가 빚은 참사 ‘쓰촨성 산사태’...본격 장마철 맞는 한국은?
동아사이언스
l
2017.06.26
일종인 편마암(왼쪽)과 화성암의 일종인 화강암. 변성암과 화성암이 한국 지반을 이루는
암석
의 90%를 차지한다. - 위키피디아 제공 ● 혼합림 구성해 지반 다져야 자연재해인 산사태를 원천적으로 막기는 불가능하다. 하지만 산사태 발생 가능성이 높은 곳에 땅을 지지하는 산림을 골고루 조성해 ... ...
고대문명과 이슬람을 꽃피운 아라비아의 길
어린이과학동아
l
2017.06.14
설명해 주셨어요. 사암은 작은 모래들이 굳어져 만들어진 퇴적암을 말해요. 다른
암석
과 비교했을 때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조각하기 쉽지요. 아라비아 반도의 국가가 세계 최대의 석유 수출국이 될 수 있었던 것도 사암이 많은 지형 덕분이라고 해요. 석유는 땅속에 묻힌 생물의 사체가 높은 열과 ... ...
국립과천과학관 광물특별전 ‘광물! 그 아름다움과 가치‘ 열어
동아사이언스
l
2017.06.13
연구소와 세계광물보석박물관이 보유하고 있던 가공된 보석보다 아름다운 광물과
암석
을 전시해 관람객의 눈길을 끌고 있다. 오가희 기자 solea@donga.com 제공 김선호 국립과천과학관 김선호 단장은 “광물의 아름다움 뿐만 아니라 소중한 자원으로서의 광물을 이해하고 우리 생활‧산업 속 ... ...
지금, 당신의 머리 위로 우주가 내린다 우주먼지
과학동아
l
2017.05.21
말했다. 운석은 주로 화성과 목성 사이의 소행성대와 그 안쪽에서 온다. 약 90%가 S형(
암석
질) 소행성에서 유래한다. 하지만 우주먼지의 경우 소행성대 바깥의 C형(탄소질)이나 D형(규산염과 탄소질) 소행성과 태양계 밖에서 오는 혜성에서 유래하는 경우가 많다. 탄소질이 풍부한 우주먼지에서는 ... ...
규모7 이상 지진, 생각보다 더 많이 일어나는 이유는?
동아사이언스
l
2017.05.17
Quasi-equilibrium melting)’이라 명명했다. 새로운 모델은 석영을 비롯한 다양한 지각의
암석
들이 기존에 알려진 녹는점보다 더 낮은 온도에서 녹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의미가 있다. 이 교수는 “준평형 마찰용융으로 광물들이 낮은 온도에서 녹으면, 생성된 용융체가 윤활작용을 해 ... ...
이전
39
40
41
42
43
44
45
46
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