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위
돌
암벽
암반
바위 너럭
뉴스
"
암석
"(으)로 총 548건 검색되었습니다.
명왕성 대체할 태양계 아홉 번째 행성은 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7.14
역할을 한 인물이기도 하다. 연구진은 행성 9가 지구 10배 크기이고 해왕성처럼 중심이
암석
으로 이뤄져 있으며 그 주위를 두꺼운 가스층이 덮고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 태양계 인근 거대 행성 발견된 적 없어…“행성 9 없이도 소천체 설명 가능” 반박 태양계 행성을 제외하고 현재까지 ... ...
과학인가, 장인정신인가?...천연광물 유약으로 현대적 도자기 창작하는 황동하 명지대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17.06.27
냄새가 코를 찔렀다. 빽빽하게 놓인 진열장에는 다양한 크기의 도자기가 화학 약품과
암석
, 점토 시료와 함께 놓여있었다. 황 교수는 다양한 재료와 약품을 이용해 유약을 개발하고 있다. 지금까지 실험해 만든 유약 샘플은 30만 가지나 된다. 황동하 명지대 산업대학원 세라믹아트공학과 교수 - ... ...
폭우가 빚은 참사 ‘쓰촨성 산사태’...본격 장마철 맞는 한국은?
동아사이언스
l
2017.06.26
일종인 편마암(왼쪽)과 화성암의 일종인 화강암. 변성암과 화성암이 한국 지반을 이루는
암석
의 90%를 차지한다. - 위키피디아 제공 ● 혼합림 구성해 지반 다져야 자연재해인 산사태를 원천적으로 막기는 불가능하다. 하지만 산사태 발생 가능성이 높은 곳에 땅을 지지하는 산림을 골고루 조성해 ... ...
고대문명과 이슬람을 꽃피운 아라비아의 길
어린이과학동아
l
2017.06.14
설명해 주셨어요. 사암은 작은 모래들이 굳어져 만들어진 퇴적암을 말해요. 다른
암석
과 비교했을 때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조각하기 쉽지요. 아라비아 반도의 국가가 세계 최대의 석유 수출국이 될 수 있었던 것도 사암이 많은 지형 덕분이라고 해요. 석유는 땅속에 묻힌 생물의 사체가 높은 열과 ... ...
국립과천과학관 광물특별전 ‘광물! 그 아름다움과 가치‘ 열어
동아사이언스
l
2017.06.13
연구소와 세계광물보석박물관이 보유하고 있던 가공된 보석보다 아름다운 광물과
암석
을 전시해 관람객의 눈길을 끌고 있다. 오가희 기자 solea@donga.com 제공 김선호 국립과천과학관 김선호 단장은 “광물의 아름다움 뿐만 아니라 소중한 자원으로서의 광물을 이해하고 우리 생활‧산업 속 ... ...
지금, 당신의 머리 위로 우주가 내린다 우주먼지
과학동아
l
2017.05.21
말했다. 운석은 주로 화성과 목성 사이의 소행성대와 그 안쪽에서 온다. 약 90%가 S형(
암석
질) 소행성에서 유래한다. 하지만 우주먼지의 경우 소행성대 바깥의 C형(탄소질)이나 D형(규산염과 탄소질) 소행성과 태양계 밖에서 오는 혜성에서 유래하는 경우가 많다. 탄소질이 풍부한 우주먼지에서는 ... ...
규모7 이상 지진, 생각보다 더 많이 일어나는 이유는?
동아사이언스
l
2017.05.17
Quasi-equilibrium melting)’이라 명명했다. 새로운 모델은 석영을 비롯한 다양한 지각의
암석
들이 기존에 알려진 녹는점보다 더 낮은 온도에서 녹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의미가 있다. 이 교수는 “준평형 마찰용융으로 광물들이 낮은 온도에서 녹으면, 생성된 용융체가 윤활작용을 해 ... ...
토성과 강렬한 키스, 이제 시작합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4.28
뛰어들며 촬영한 토성의 대기 모습(가운데), 토성의 고리 속을 통과하며 촬영한 얼음과
암석
등의 입자 사진(오른쪽)이 보인다. NASA는 이 사진을 미 동부시간으로 이날 오전 2시 56분 캘리포니아 주 모하비 사막의 딥스페이스 네트워크 골드스톤 콤플렉스에서 성공적으로 전송받았다고 밝혔다 ... ...
국내 관측 시스템 최초 ‘지구형 행성’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7.04.27
거리를 정확히 알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에 발견한 행성은 질량이 지구의 1.43배이며
암석
으로 이뤄졌을 가능성이 높다. 중심별(항성)과의 거리도 태양-지구 거리인 1AU(천문단위·1AU는 약 1억5000만 ㎞)와 비슷한 1.16AU다. 다만 중심별이 태양 질량의 7.8%에 불과하고 태양보다 차가운 적색왜성이어서 ... ...
“토성의 달 ‘엔켈라두스’에 심해 생명체 존재 가능성”
동아사이언스
l
2017.04.14
차지하는 수소였다. 웨이트 디렉터는 “물기둥에서 발견된 풍부한 수소는 바다와 지각의
암석
에 있는 유기물질과 광물 성분 사이에 일어나는 수열반응에 의해 생겼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카시니는 2015년 토성의 달(위성) ‘엔켈라두스’ 남극의 심해에서 솟아오르는 것으로 추정되는 물기둥을 ... ...
이전
38
39
40
41
42
43
44
45
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