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물품
상품
물체
제품
판매품
생산품
일
뉴스
"
물건
"(으)로 총 890건 검색되었습니다.
[뉴스룸]‘메이커’를 가르칠 선생님이 필요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7.18
고치는 ‘셀프 인테리어’ 등이 큰 인기를 얻고 있다. 각종 전자 기능이 포함된 복잡한
물건
을 척척 만들어내는 사람도 있다. 이른바 ‘메이커’ 활동이다. GIB 제공 이런 흐름을 반영해 정부에서도 앞다퉈 지원 사업을 늘리고 있다. 16일 중소벤처기업부는 메이커들의 창작활동 지원을 위한 ... ...
서은경 창의재단 이사장 “과학문화산업으로 창업·일자리 확대”
동아사이언스
l
2018.07.17
꼽았다. 메이커 문화는 오픈소스 SW나 3차원(3D) 프린터 등의 도구를 활용해 다양한
물건
등을 스스로 창작하는 문화다. 창의재단은 지난 정부부터 창조경제 사업의 일환으로 메이커 사업을 추진해 왔다. 서 이사장은 “메이커 문화의 뿌리는 전국 곳곳의 무한상상실”이라며 “무한상상실에서 ... ...
이유식 일찍 시작한 아기, 밤잠 잘 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7.10
있다. 이 때가 혀를 내미는 등 젖꼭지를 빠는 반사동작이 줄어드는 시점이기 때문이다.
물건
을 쥐고 입으로 가져가는 동작도 이 무렵 가능해진다. 연구진은 아기들을 두 그룹으로 나눠 한 그룹은 생후 6개월 동안 모유만 먹였고 다른 그룹은 아기가 준비가 됐다면 6개월 이전이라도 이유식을 함께 ... ...
[여기에 과학] 마약 잡고 실종자 찾는 체취견, 냄새 얼마나 잘 맡길래
동아사이언스
l
2018.06.29
통과하면 특수목적견의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이죠. 뽑힌 뒤에도 혈흔이 남은
물건
냄새로 찾기, 특정인 냄새 구별하기 등의 기술을 반복해 훈련한다고 합니다. 이런 과정을 거쳐 점점 더 냄새를 맡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죠. 경기북부경찰청의 체취견 미르가 최연진 핸들러(경사)에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픔까지 느껴지는 의수(義手) 개발했다!
2018.06.26
이 반사행동에 걸리는 시간은 불과 120밀리초로 진짜 손가락으로 무심코 끝이 날카로운
물건
을 집었을 때 손가락을 떼는데 걸리는 시간과 차이가 없었다. 동영상으로 이 장면을 보면 실감이 난다. 해당 동영상에서 끝이 뾰족한 물체를 집을 때 아픔을 느껴 반사적으로 얼른 놓는 모습을 볼 수 있다 ... ...
[全기자의 영화 속 로봇] 지능형 서비스 로봇의 완성형… ‘월-E’
동아사이언스
l
2018.06.18
쓰레기 더미 속에서 흥미있는
물건
을 찾아내고 있는 월-E의 모습. 쓰레기와 필요한
물건
을 주관적으로 골라내는 지능을 갖췄다. 최근 제한적인 상황에서 자율적 판단이 가능한 ‘약한 인공지능’ 개발이 큰 인기를 얻고 있다. 그러나 이 기술을 적용하더라도 사람의 말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모든 ... ...
[표지로 읽는 과학] 상상하는 대로...3D 프린터로 찍고 자기장으로 조종하는 소프트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18.06.17
쓰일 수 있다"며 "앞으로 복잡한 3차원 구조를 갖는 전자제품이나, 뛰거나 기고 구르며
물건
을 잡고 약을 전달할 수 있는 소프트로봇과 물질을 개발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과학잡지 '네이처' 14일자 표지논문으로 게재됐다 ... ...
국내 연구진 개발 치매 치료제, 내년 첫 임상시험 돌입…“조기 상용화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18.06.17
조기예측 시스템의 예시 화면. 피험자는 VR을 통해 실제 상황을 가정하고 공간에 숨겨진
물건
의 종류와 위치 등 정보를 얼마나 잘 기억하는지 테스트 받는다. - 자료: 치매DTC융합연구단 한편 연구단은 피험자에게 가상현실(VR) 영상을 보여 주고 뇌파(EEG)와 자세 변화, 안구의 움직임 등을 측정해 치매 ... ...
LTE버전 애플워치 출시...KT는 왜 못 쓰나?
2018.06.14
서드파티 앱들의 역할도 중요하겠지요. 이 LTE 모델의 애플워치도 당장 모두에게 필요한
물건
은 아닐 겁니다. 하지만 그 동안 ‘애플워치는 꼭 아이폰 가까이에 있어야 해’라는 고정 관념이 허물어지는 것이 이 작은 기기에 통신이 연결되는 출발의 의미일 겁니다. 실제 경험에 대해서는 15일 정식 ... ...
쥬라기월드가 돌아왔다...과학적으로 꼽아 본 '옥에 티' 세 가지
과학동아
l
2018.06.10
새의 긴 발가락뼈는 사람 손가락처럼 하나하나 구부릴 수 있어 나뭇가지에 앉거나
물건
을 움켜쥘 수 있다. 하지만 익룡의 발은 사람 발처럼 발바닥뼈 다섯 개가 길고 서로 붙어 있을 뿐 아니라 발가락이 매우 짧다. 땅 위에서 편평한 발로 매우 어색하게 걸어 다녔다는 얘기다. (doi:10.1038/3609) ... ...
이전
39
40
41
42
43
44
45
46
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