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제한"(으)로 총 2,076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전자기파 우주선 가능할까? 차세대 엔진, 심우주로 쏴라!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부딪혀 부식돼 점차 추력기의 성능이 떨어진다. 또 격자 때문에 방출되는 이온 수가 제한된다. 홀 효과 추력기는 이런 문제가 없어서 같은 추진력을 얻기 위해 필요한 면적이 이온추력기보다 작다. 따라서 추력기를 더 작게 만들 수 있다.홀 효과 추력기는 심우주 탐사뿐만 아니라 소형 인공위성용 ... ...
- [과학뉴스] 욕망이 들끓는 시대의 슬픈 자화상, 대마초와 해피벌룬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속에 들어 있는 아산화질소는 마취 효과와 쾌감을 주는 유사 환각제로, 지금도 제한적인 경우에 마취제로 쓰인다. 커피 등의 음료에 얹어 먹는 휘핑크림을 만들 때도 첨가제로 쓴다.이처럼 아산화질소는 식품첨가물로도 쓰이기 때문에 쉽게 구할 수 있어서 올해 들어 급속히 확산됐다. ... ...
- [Infographic] 체조부터 발레까지… 춤은 ‘관절’이 춘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움직이지만, 개별 관절에서는 제한된 범위의 운동만 일어난다.일부 관절은 운동이 매우 제한돼 있어서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이 있는데, 그 예로는 무릎 아래 종아리(하퇴)에 있는 두 개의 긴뼈인 정강뼈와 종아리뼈가 결합하는 관절이나, 발에 있는 일부 관절들이 있다. 아래턱뼈와 좌우 관자뼈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다른 유전자들을 호령하는 핵심 조절자도, 개체라는 큰 시스템 안에서는 역할에 제한을 받는 하나의 유전자에 불과합니다. 그렇다면 유전자 계층의 가장 꼭대기에 있는 이 핵심 조절자를 조절하는 ‘진짜’ 우두머리의 정체는 무엇일까요? 과학자들이 풀어야 할 다음 숙제입니다.최영은_yc709@georgetown ... ...
- [Future] 조산아의 희망, 인공자궁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동안 인공자궁 속에서 양 태아를 키울 수 있었지만 동물 실험 규정에 의한 실험 기간 제한으로 최대 28일 동안만 진행했다. 수정된 지 105일에서 120일 된 양 태아를 선택한 이유는 임신 23~24주 된 사람 태아와 태내 발달 정도가 생물학적으로 유사하기 때문이다. 임신 기간이 총 145일인 양은 대략 ... ...
- [Future] 우주의 모든 유원지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그리 마음에 드는 명칭은 아니지만, 나를 포함한 ‘불멸자’들이 정보량 소유에 제한을 받지 않는 건 맞아. 우리는 그 권리를 최대한 이용하고 있지.”쿄시로가 비아냥거리며 말했다.“그 권리로 유원지 행성에서 곰인형이나 찍어내고 있나?”노마가 노려보자 쿄시로는 입을 다물었다.“우린 모든 ... ...
- [Issue] 슈퍼박테리아 비상, 그런데… 한국엔 재래식 무기만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있다는 뜻이다. 이미 반세기 전에 발견한 항생물질인 콜리스틴은 독성 때문에 사용이 제한됐으나, 세균과 만난 횟수가 다른 약제에 비해 적었던 만큼 항균능력이 뛰어나다는 평을 들어왔다. 이 항생제에 내성을 갖는다는 건, 어지간한 항생제에 다 내성을 가질 수도 있다는 뜻이다. 치료가 어려운 ...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직접 만들고 조종해 보는 짜릿함! 나만의 ‘드론’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돼요. 그리고 비행장 주변이나 사람들이 많이 모여 사는 지역 근처는 비행 금지 구역이나 제한 구역일 가능성이 높으니 꼭 확인해 봐야 한답니다. 섭섭박사님이 알려 주는 메이킹 한걸음기자단 친구들이 만든 드론 몸체와 같은 폼보드 도안을 떼어낼 때는 절취선을 따라 조심스럽게 눌러야 해요. ... ...
- [Culture] 각자의 시간 속에서과학동아 l2017년 05호
- 고도로 발전한 인공지능이 필요하다. 아무리 이들의 능력을 인공적으로 제한하고 통제한다고 해도 신의 씨앗에서 겨우 몇 걸음밖에 떨어져 있지 않을 것이다. 일단 깨어난다면 시간여행자들과 기계들이 부글거리는 바깥 세계를 장악하는 건 시간문제다.미나와 같은 호텔을 쓰고 있는 시간인들은 ... ...
- [Future] 위조할 수 없고 빼돌릴 수도 없는 양자지폐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세계에서는 이런 일이 일어난다!). 김 교수는 “양자는 한 번 지나온 검문소의 제한 조건을 통과하는 순간 그 기준을 잊어버리고 새로운 판단 조건에 맞는 측정값으로 자신의 모습을 드러 낸다”고 설명했다. 위스너가 제안한 양자지폐의 개념은 돈이 갖는 고유 일련번호를 양자역학적 특성(편광 ... ...
이전3940414243444546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