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제한"(으)로 총 2,07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AI, 인공신경망으로 뇌 뛰어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컴퓨터는 저장 공간이 무한하다는 특징이 있어 현재 딥미러가 외우는 얼굴 수는 제한이 없다”면서도 “저장된 얼굴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면 닮은꼴이 증가하는 등의 문제로 오히려 인식률이 떨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국내에서 가장 인기 있는 얼굴 인식 기술 기반 동영상 커뮤니케이션 ... ...
- [Future] ‘ 마션 인 하와이 ’ 8개월의 기록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할 때에는 실제 화성에서 하듯이 로봇을 조종하도록 했다. 목욕은 1주일간 총 6분 이내로 제한했다. 외부와 연락을 주고받을 때에는 전화나 실시간 채팅은 금지시켰고, e메일과 인터넷 사이트 게시판만 이용하게 했다. 또 모든 메시지는 실제로 지구~화성 간 데이터 전송에 걸리는 시간인 20분만큼 ... ...
- 위상수학자가 도넛을 사랑하는 이유수학동아 l2017년 11호
- 한 개인 도넛, 두 개인 도넛, 세 개인 도넛 모두 그렇습니다. 사실 구멍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습니다. 구를 구멍이 없는 도넛으로 본다면, 0 또는 임의의 자연수만큼 구멍이 있는 도넛은 유한하고, 경계가 없으며 양면이 있는 곡면입니다. 즉, 유한하고 경계가 없으며 양면이 있는 곡면은 모두 구멍의 ... ...
- Part 1. 배트맨의 검은 배트슈트, 최소 두께 가진 최강 그래핀으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에너지 보존법칙에 의하면 전달된 운동에너지를 사라지게 할 수는 없다. 따라서 두께가 제한된 재료로 총알의 관통을 막으려면, 재료에 전달되는 총알의 운동에너지를 넓은 면적으로 분산시켜 흡수하는 전략을 취할 수밖에 없다. 물질 내에서 운동에너지가 전파되는 속도는 그 물질 고유의 ... ...
- Part 2. [화학상] 현미경의 ‘혁명’을 이끌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고안했다. 15년 가까이 전자현미경을 이용해 단백질 구조 연구에 매달린 그는 해상도를 제한하는 여러 문제를 하나씩 해결해 나갔다. 그 결과 1990년 박테리오로돕신의 전자현미경 이미지를 원자 수준의 해상도로 얻는 데 최초로 성공했다. 그의 연구는 현재의 극저온전자현미경이라기보다는 X선 ... ...
- [Origin] 이기적 유전자는 왜 중요한가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개체를 만든다. 그러나 종을 보존한다는 대의를 실현하기 위해 자발적으로 산아 제한을 하거나, 동종 개체와 싸울 때 살짝 때리는 시늉만 하는 개체를 만들진 않는다. 이제 두 개의 선택지가 남았다. 개체 선택론과 유전자 선택론이다. 둘 다 정답 아닌가? 복잡한 적응은 개체에 이득을 주게끔 ... ...
- 스도쿠 잘하는 비법은 멍 때리기수학동아 l2017년 11호
- 규칙이나 유형을 쓴 문제를 만들 수 있다. 그래서 국제 퍼즐대회에선 꼭 사람이 문제를 출제한다. 눈치 챘겠지만 곽 주장의 주 종목은 스도쿠다. 본래 스도쿠는 세계퍼즐선수권대회의한 라운드 문제였는데, 인기가 높아지면서 독립해 별도 대회가 생겼다. 곽 주장은 주로 스도쿠 대회만 나간다. ... ...
- [Origin] {숨} 어디까지 참아봤니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수밖에 없다. 연구팀은 벌거숭이두더지쥐와 보통의 실험쥐를 대상으로 산소 공급을 제한하는 실험을 했다. 산소를 모두 없애는 극단적인 상황에서 실험쥐는 20초 만에 의식을 잃은 반면, 벌거숭이두더지쥐는 최대 18분을 버티고 기절했다. 곧바로 산소를 넣어주니 불과 몇 초 만에 의식을 회복했다. ... ...
- [Issue] 탄도미사일 둘러싼 궁금증 4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따라 탄두중량을 조절하는 것이다. 이 연구위원은 “결국 추진체의 크기와 성능은 제한한 셈”이라면서도 “트레이드오프가 사실상 의미가 없어진 만큼 궁극적으로 추진체 성능에 대한 제약도 해제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 ...
- [Origin] 쇼미더맛 제6의 맛 쟁탈전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많이 섭취하면 비만과 당뇨 등 질환에 걸리기 쉬운 만큼 본능적으로 양을 제한하는 것”이라고 추정했다. 이 연구는 2015년 10월 ‘케미컬 센스’에 실렸다(doi:10.1093/chemse/bjv040). 지방산과 결합하는 미각 수용체도 발견됐다. 2011년 필립 베스타르 프랑스 부르고뉴대 식품생리학과 교수팀은 설치류의 ... ...
이전3738394041424344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