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밀크
젖
쇠젖
소젖
젖병
서울우유
d라이브러리
"
우유
"(으)로 총 622건 검색되었습니다.
판타지 전쟁 2라운드 - 해리 포터와 반지의 제왕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집 요정은 우리 나라의 도깨비만큼이나 흔한 존재인데, 집안에 사는 집 요정에게
우유
나 식사를 대접하면 그 때부터 곡물을 빻아 놓거나 바닥을 청소하는 등 집안 일을 도와준다고 한다. 그러나 장난기가 심해 맛있게 숙성되고 있는 포도주를 식초로 바꿔버리거나 버터를 거꾸로 저어 망쳐버리기도 ... ...
소똥을 사랑한 복제동물의 아버지 황우석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생명과학을 이용하면 다양한 기능성
우유
를 만들 수 있습니다. 외국
우유
보다 우리
우유
가 더 경쟁력이 높아집니다. 이렇게 되면 우리 소가 설 자리가 다시 생깁니다.”황 교수는 복제소로 유명해지기 전만 해도 일주일에 두세번씩 농촌을 돌아다니며 농민들의 소를 돌봤다. 몇년 전 기자가 황 ... ...
이동통신이 지배하는 정보의 우주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물론 사러나가지 않아도 된다. 냉장고와 슈퍼마켓이 원격통신 시스템으로 연결돼 있어
우유
나 오렌지 주스가 바닥이 날 즈음엔 자동으로 주문이 되도록 설정해놨기 때문. 안방에 들어서니 오디오에선 내 기분에 맞는 테마 곡이 흘러나온다.기계와 기계의 커뮤니케이션휴대폰뿐만 아니라 가전기기, ... ...
4. 위해성 논란 종식 위해 동원되는 첨단과학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유발 가능성이다. 식품 가운데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것은 우리의 주식인 쌀을 포함해 콩,
우유
, 달걀, 과일 등 거의 모두가 해당된다. 다만 사람마다 반응하는 식품이 다를 뿐이다. 실제로 땅콩이 일으키는 알레르기 때문에 미국의 어린이 70여명이 매년 사망한다는 보도가 있었다. 그만큼 식품 ... ...
1. 인간은 고기 좋아하는 잡식성 동물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강조한 ‘잘먹고 잘사는 법’을 방영한 뒤 채식 열풍이 드세게 일고 있다. 하지만
우유
나 달걀조차도 거부하는 완전한 채식은 몸에 해로울 수 있다는 점을 잘 알아야 한다. 특히 뇌가 성장하는 어린이와 유아는 육류를 필수적으로 먹여야 한다.그렇다고 무턱대고 고기를 충분히 먹으란 뜻은 아니다. ... ...
3. 한국인 식생활 이대로 좋은가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섭취되는 동물성 식품들이 세번째층에, 섭취량은 적지만 칼슘의 섭취를 위해 중요한
우유
와 유제품이 네번째층에 위치하고 있다. 유지, 견과 및 당류는 농축 열량원이므로 가장 작은 윗층에 위치하고 있다. 이렇게 구성된 5가지 식품군의 균형을 맞춰 골고루 섭취해야 올바른 영양 상태와 건강을 ... ...
공개된 파일에 숨겨진 음모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정서를 느낄 수 있다.● ● 스테가노그라피는 일상 속에서도 실험됐다. 오줌이나
우유
와 같은 유기성 액체는 보이지 않는 잉크로 과학실험의 대상이 되곤 한다. 글을 쓸 때는 보이지 않지만 불을 쪼이면 그 글씨를 드러낸다. 삶은 달걀에 식초로 만든 특수 액체로 글을 쓰면 그 액체가 껍질에 ... ...
소비자를 유혹하는 제품의 패션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맛있을까 네모로 포장된 껌이 맛있을까. 비닐에 담긴
우유
가 신선할까 유리병에 담긴
우유
가 신선할까. 노란색 포장의 자유시간이 맛있을까 파란색 포장의 핫브레이크가 맛있을까. 마치 모든 것이 신기해 망설이는 아이들처럼 진열대 앞에서 한참을 고민한다. 형형색색의 포장에는 소비자가 언뜻 ... ...
태양계는 우리은하 어디에 있을까?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이제는 ‘our galaxy’, ‘galaxies’ 같은 표현이 쓰이게 됐다. 여기서 ‘galac-’ 이란 말은
우유
를 뜻하므로(생물 과목에 나오는 galactose(갈락토스)를 상기할 것) galaxy는 은하수를 지칭하는 ‘the Milky Way’와 본질적으로 같은 말이다. 실제로 은하수란 눈에 띠 모양으로 보이는 우리은하의 모습이다. 작은 ...
가을비처럼 쏟아지는 별똥별 잔치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부산에서 본 별똥별은 서울에서 관찰하기 어렵다는 얘기다.사방으로 뻗어나가는 유성
우유
성에는 두종류가 있다. 첫번째는 ‘산발유성’으로 아무 방향으로 아무 때나 떨어지기 때문에 언제 어느 곳에서 떨어질지 예측할 수 없다. 다른 하나는 ‘유성우’로 어느 특정한 시기에 일정한 방향에서 ... ...
이전
39
40
41
42
43
44
45
46
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