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위논문
논제
시문
석사논문
석사
박사 학위 논문
글
뉴스
"
논문
"(으)로 총 6,478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거대 수궁류는 티라노사우르스 때문에 멸종하지 않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06
기존 주장과 배치되기 때문이다. 토마즈 술래즈 PAS 고생물학연구소 연구원은
논문
에서 “리소비치아 보자니와 같은 트라이아이스 후기의 디키노돈트들은 점점 커지는 육식 천적들의 등장에 맞서 음식을 저장하고 소화하는 능력이 도리어 극대화됐을 것”이라며 “거대한 수궁류가 이 ... ...
[뉴스룸]이제 중국 과학이 ‘초일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04
위압적인 존재가 됐다. 최근 1, 2년 사이에 학술지 ‘사이언스’나 ‘네이처’에 게재한
논문
에서 실제로 연구를 주도한 제1저자가 중국인 학생인 경우가 부쩍 늘었다. 현재는 미국 대학에 소속돼 미국의 성과로 잡히지만, 몇 년 뒤 이들이 중국에서 활약하며 펼칠 ‘차이나 사이언스’는 세계 ... ...
몸 상태 읽고 곧바로 치료하는 '올인원 칩' 시대 열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03
수 있는 소형 이식장치를 개발했다고 이달 2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논문
에는 미국 일리노이대 전기컴퓨터공학부 원상민·노경림 박사과정생과 윤장열 재료과학공학부 박사과정생이 공동 1저자로 이름을 올렸다. 존 로저스 미국 노스웨스턴대 재료과학 및 공학부 교수와 로버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다이어트도 발상의 전환이 필요한 때
2019.01.02
나타날까. 금식 시간대 평균 9시간에 불과 2015년 학술지 ‘셀 대사’에 발표된
논문
을 보자. 미국 소크생물학연구소의 연구자들은 스마트폰 앱을 만들어서 사람들의 식습관을 실시간으로 조사해보기로 했다. 설문지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그 결과 오늘날 정말 많은 사람들이 시도 때도 없이 ... ...
"환자들 보듬던 의사였는데"…SNS에 '피살 의사' 애도 물결
연합뉴스
l
2019.01.02
앞두고 지난 12월 31일 숨진 임 교수는 20여년간 우울증, 불안장애 환자를 돌보며 100여편의
논문
을 국내외 학술지에 발표한 정신건강의학 분야 전문가다. 우울증과 스트레스를 개선하기 위한 여러 프로그램 개발에도 참여해왔다. 특히 2011년 개발된 한국형 표준 자살 예방 교육프로그램 '보고 듣고 ... ...
中 첨단기술 연구 美 앞섰다...30개중 23개서 1위
동아사이언스
l
2019.01.01
산화환원기술 등 신소재 분야에서도 중국의 성장이 두드러졌다. 광촉매 분야 연구
논문
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최고치인 78.3%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중국은 반도체 단원자층에 관한 연구, 핵산표적 암치료제 연구 등 23개 첨단 연구 분야에서도 미국을 앞섰다. 미국은 유전체 편집과 ... ...
[해 넘기는 라돈사태]쇼핑몰 검색해보니 방사성 물질 쓴 제품 4383개 '우르르'
2018.12.31
국내학술지 검색결과 현재까지 음이온 인체효과에 대한 국내 의학연구기관의 발표된
논문
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인정했다. 전문가들은 음이온과 같은 유사과학이 근절되지 않는 이유로 돈 문제와 건강문제를 들었다. 건강에 관심 많은 소비자들의 무지를 돈을 벌려는 기업들이 유사과학으로 ... ...
내년부터 ‘
논문
에 자녀 이름 끼워넣기’하면 지원 끊긴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30
조치가 강화됐다. 이는 교육부가 2007∼2017년 발표된
논문
을 조사한 결과 교수 86명이 138개
논문
을 발표하면서 미성년 자녀를 공저자로 등록했다는 사실이 밝혀진 데 따른 조치다. 이를 막기 위해 2019년부터는 미성년자, 연구자의 배우자나 직계 존·비속이 연구에 참여할 경우, 연구기관이 ... ...
[여기에 과학]뱃살을 빼려면 자전거를 타라
동아사이언스
l
2018.12.30
6가 작용하지 못하게 막으면 내장지방의 감소 효과가 사실상 크지 않다고 분석했습니다.
논문
1저자인 애나 소피 웨델니가드 코펜하겐대 물리활동연구센터 연구원은 인터류킨-6가 사람의 복부 내장 지방의 분해하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밝힌 첫 연구”라며 “하지만 이는 실험적인 연구로 ... ...
홍합에서 얻은 접착물질로 연료전지 효율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27
물질로 수소연료전지의 성능과 안정성을 높이는 기술을 개발했다. 김진영 책임연구원과
논문
제 1저자로 참여한 윤기로 박사후연구원(가운데), 이경아 석사과정생. -KIST 제공 홍합에서 나온 접착 물질로 친환경차로 주목받는 수소전기차의 동력원인 수소연료전지의 성능과 안정성을 높이는 기술이 ... ...
이전
435
436
437
438
439
440
441
442
4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