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밀
적확
명확
명료함
엄밀
확실
정밀도
d라이브러리
"
정확
"(으)로 총 5,430건 검색되었습니다.
1. 24시간 주기, 밤과 낮길이
정확
하게 감지
과학동아
l
1995년 07호
실험으로 수면조절중추가 시교차상핵 부위에 있다는 것을 증명했다. 그러나 생체시계의
정확
한 존재 부위는 밝히지 못 했다.1967년 리히터(Richter)는 뇌의 부분을 파괴하거나 여러가지 내분비선을 제거하는 동물실험을 통해 시상하부의 전복측부를 파괴한 설치류 동물이 개일리듬을 소실하는 것을 ... ...
3. 생체분자 3차원 밝힌다
과학동아
l
1995년 07호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생체 고분자의 3차 구조를 밝히면 그 활성 부위의
정확
한 모양을 알 수 있으므로 활성 부위에 열쇠와 자물쇠처럼 들어맞고 정전기적으로도 상호 보합되는 화합물을 고안한 후에 합성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종전에 수천종의 화합물에 대하여 무작위 탐색 방법으로 저해제를 ... ...
곤충의 생체시계는 어디에 있나
과학동아
l
1995년 07호
대부분의 곤충은 그들의 활동시간대를 1일중 어느 특정시간대에 두고 있다. 이는 곤충의 어디엔가 시계로서의 기능을 가진 구조가 존재하고 있다는 말이 된다.( ... 시신경을 거쳐 시엽에 직접 전해지고, 여기에서 외계의 빛의 조건이 파악되어 구동체는
정확
한 시간을 맞추게 되는 것이다 ... ...
말매미
과학동아
l
1995년 07호
기간을 생활하고 있기 때문에 생활모습이 알려진 것은 몇종류에 지나지 않는다. 그것도
정확
하지는 않다.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랜 기간을 두고 땅속 생활을 하는 것으로 말매미 Cryptotymapana dubia(Haupt)를 들 수 있는데 그들은 약 6-8년간을 땅속에서 성장한다. 그러나 더 오랜 기간의 유충생활을 하는 ... ...
2. 빛으로 생체시계 조절, 겨울에도 여름꽃 피운다
과학동아
l
1995년 07호
생체시계는 그렇지 않은 점은 무슨 이유에서일까? 30억년이나 진화해온 생물의 시계가
정확
하지 못한 이유는 무엇일까?생물학자들에 따르면 이는 생물이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적응하여 살아갈 수 있기 위해서라고 한다. 날마다 변화하는 낮과 밤의 길이, 움직이면 변화하는 공간의 위치 때문에 ... ...
사람 항체 만드는 트랜스제닉 쥐 개발
과학동아
l
1995년 07호
기술을 사용하면 정자나 난자와 같은 생식기관을 통해 시험관 안에서 변이시킨 형질을
정확
하게 차세대 개체에 전달할 수 있다. 이 방법의 이점은 종래의 수정란을 이용하는 기술에서는 도저히 불가능한 수백만개라는 세포 중에서 필요로 하는 형질을 가진 세포를 취사선택할 수 있다는 점이다.이 ... ...
새로 밝혀진 파스퇴르의 두 얼굴
과학동아
l
1995년 07호
이의를 제기할 가능성도 학자들이 연구노트를 작성하는 또다른 주요 원인이다.논문의
정확
성 여부는 그 실험을 반복한 다른 학자들에 의해 확인받을 수 있다. 그러나 "당신이 발표한 것을 다른 사람들이 재연할 수 없을 경우, 실험 결과들이 불일치하는 이유를 알아내기 위해서는 꼼꼼하게 ... ...
1 우주팽창속도·거리 계산, 80억년 추정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94년 10월 카네기천문대의 여성천문학자 프리드만은 허블망원경을 이용, M100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고 우주의 나이가 80억년이라는 연구결과를 내놓 ... 10%) 측정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밀도인자와 우주상수의 값을 가까운 미래에
정확
히 측정할 수 있을 지 현재로서는 알 수 없다 ... ...
표본추출방법따라 결과 180도 달라지는 통계의 속임수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큰 신뢰를 갖기 어렵다. 대개 오차범위는 눈에 띄지 않는다는 이유로 빠지기 십상이다.
정확
한 통계이기 위해서는 통계숫자와 더불어 분포폭이나 유의도 등의 숫자가 병기되어야 한다. 독자의 입장에서는 전면에 드러난 수치에 현혹돼 여론조사결과를 절대적인 것으로 여길 것이 아니라 믿을 수 있는 ... ...
2 거대타원은하 내 가장 오래된 별은 200억살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CCD라고 불리는 첨단전자장비의 발달과 이론적 항성진화모델의 진보에 힘입어 매우
정확
하게 구상성단의 나이를 계산할 수 있다. 천문학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우리은하 내에서 가장 나이가 많은 구상성단은 약 1백50억년 전에 생성된 것으로 추정되어진다. 즉 우주의 나이는 최소한 그 정도는 되어야 ... ...
이전
435
436
437
438
439
440
441
442
4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