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도"(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 내 스마트폰에 내가 만든 게임을 쏙!수학동아 l2015년 10호
- 등급을 정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레벨 디자인으로 난이도를 설정해야 합니다. 세 단계 정도로 간략하게 만들 수도 있지만, 퍼즐 게임은 100단계가 넘어가는 레벨을 만들기도 하지요. 이렇게 게임을 만드는 과정에는 많은 요소가 필요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사실을 이용해서 만들어야 ... ...
- 찰칵~! 동물들의 순간포착!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사진 속 나방은 세상에서 가장 크다고 알려진 아틀라스 나방이에요. 날개 길이가 25~30cm 정도나 되지요. 불가리아의 위본느 스페인 작가는 스튜디오에서 나방 사진을 찍던 중 그 나방의 날개 위에 파리가 다가와 앉는 모습을 보게 됐어요. 엄청난 행운이라 생각한 작가는 그 순간을 사진으로 ... ...
- 흔들흔들, 네팔 대지진 발생!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피해가 발생했어요. 5월 4일 기준으로 사망자가 약 7000명 이상, 부상자가 1400명 이상 될 정도로 큰 인명 피해를 입었답니다. 아직 사고가 수습되지 않아 피해자 수는 계속 늘고 있어요.이번 지진은 인도판과 유라시아판이 부딪히면서 발생했어요. 지구의 표면은 10여 개의 판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 ... ...
- 굿바이, 메신저호~!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자력계를 싣고 출발한 메신저호는 수성과 충돌하기 전까지 6년 동안 수성 주위를 4100바퀴 정도 돌며 28만 9000장의 사진을 찍어 지구로 보내왔지요. 그 덕분에 수성의 극 지방에 얼음이 있다는 것과, 지구처럼 수성의 내부가 철로 이루어졌다는 사실 등을 알 수 있게 됐답니다.유럽우주국(ESA)과 ... ...
- 강아지와의 친밀감은 옥시토신 때문?!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행동은 전혀 다를 수밖에 없지요. 우리 두개골은 늑대보다 평균 20%, 그리고 뇌는 30% 정도 더 작아요. 한편 피부는 늑대보다 우리가 더 두껍죠.요즘 사람은 널 자식처럼 생각하기도 하던데…. 그게 과학적으로도 맞는 말이라며?맞아요. 엄마와 아기가 서로 눈을 쳐다보면 혈액 내에 사랑의 호르몬으로 ... ...
- 깨끗한 수돗물이 퐁퐁~! K-water 성남 정수장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물 아끼기, 나부터 시작해요!지구에서 우리가 마시고 사용할 수 있는 물은 약 0.01% 정도예요. 지난 2003년 우리나라는 물부족 국가로 지정되었고, 2050년이 되면 세계 인구의 절반이 마실 물이 부족해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고 해요.그래서 K-water에서는 ‘물 절약 생활백서’를 만들고 국민들이 실천할 ... ...
- [스마트하게 날아오르다 DRONE] PART2 똑똑한 드론의 임무 수행기!수학동아 l2015년 10호
- 탄소섬유는 옷감처럼 잘 휘어지는 얇은 소재이면서도 당겨도 찢어지지 않고 버티는 정도가 철의 5~10배에 달합니다. 아주 촘촘하게 짜인 소재의 기하학적 구조 덕분이죠.군집드론, 거리와 각도로 새떼처럼 날다최근 미국 해군은 여러 대의 드론을 한번에 투입하는 군집드론 시스템 ‘로커스트’를 ... ...
- 호모 에렉투스, 요리의 비밀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넣어 잘 버무린 뒤 요리하면 고기의 부드러운 맛을 즐길 수 있어요.고기가 숙성하는 과정도 일종의 발효로 볼 수 있어요. 고기나 생선이 죽으면 효소에 의해 체내에 있던 에너지 대사 물질인 ATP가 분해되면서 맛있는 성분인 하이포잔틴, 이노신인산, 잔틴 등이 만들어져요. 여기서 조금 더 분해가 ... ...
- [스마트하게 날아오르다 DRONE] PART1 수학으로 깨어난 드론의 운동신경수학동아 l2015년 10호
- 갑니다. 모든 프로펠러를 같은 속도로 돌린다면 공중에 떠 있을 것이고, 중력을 이길 정도로 더 빠르게 돌리면 위로 올라가겠죠.만약 프로펠러 4개 중 하나가 부러지거나 고장이 난다면 드론은 어떻게 될까요? 프로펠러 3개만 돌아가면, 드론은 한쪽으로 기울다가 그대로 추락할 것입니다. 이때 ... ...
- Part 1. 뫼비우스의 띠가 남긴 숙제수학동아 l2015년 10호
- 더 많이 쌓인다. 만약 띠의 길이와 너비의 비율이 달라지면 띠의 곳곳에 에너지가 쌓인 정도도 달라진다. 띠의 모양은 띠의 각 지점의 에너지 분포에 따른 결과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화장실로 간 수학자Part 1. 뫼비우스의 띠가 남긴 숙제Part 2. 물거품은 매듭을 알고 있다Part 3. 벽과 ... ...
이전4324334344354364374384394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