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날짜
일시
뉴스
"
일자
"(으)로 총 5,220건 검색되었습니다.
임신부가 먹는 엽산, 고혈압 환자에게 효과 있나
2015.03.16
21% 낮아진다는 연구 결과를 ‘미국의학협회보(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15
일자
에 게재했다. 뇌졸중은 중국인의 주요 사망 원인이면서 세계적으로는 두 번째로 많이 발생하는 사망 요인이다. 연구진은 특히 뇌졸중 환자의 77%가 뇌졸중이 처음 발생한 경우라는 점에 주목해 엽산이 1차 ... ...
암세포 스스로 자살, 신개념 항암제 나온다
2015.03.16
연구팀이 개발한 항암물질이 암보호 단백질인 HSP70과 결합하고 있는 모습 - Chemistry & Biology 제공 국내 연구진이 암 세포를 효과적으로 죽일 수 있는 새로운 항암후보 물질을 개 ... 연구결과는 과학저널 ‘셀’ 자매지인 ‘캐미스트리&바이올로지’(Chemistry&Biology) 3월 13
일자
에 게재됐다. ... ...
지구 역사상 가장 거대한 절지동물 발견
2015.03.15
거대 절지동물 ‘아에기로카시스 벤물레(Aegirocassis benmoulae)’를 발견했다고 ‘네이처’ 12
일자
에 밝혔다. 발견자 무하마드 벤 물레의 이름을 딴 절지동물 아에기로카시스 벤물레는 지금까지 발견된 고대 절지동물 중 가장 몸집이 크다. ‘아에기로카시스’는 노르웨이 신화에 나오는 바다의 신 ... ...
심장 건강의 원흉은 야식이었어!
2015.03.15
식사 시간을 제한하면 초파리의 심장이 더 건강해진다는 사실을 밝혀내 ‘사이언스’ 13
일자
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초파리를 이용해 음식을 먹는 시간이 심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초파리는 유전자가 사람과 70% 이상 같고, 평균 수명은 60일 정도여서 400배 이상 노화가 빠르게 진행되기 ... ...
장 속 가스 보면 질병 안다
2015.03.13
수 있는 알약 형태의 캡슐을 ‘트렌즈 인 바이오테크놀로지(Trends in Biotechnology)’ 12
일자
에 소개했다. 호주 연구팀이 소개한 장 내 가스 측정용 캡슐. - 트렌드 인 바이올로지 제공 지름 1.1cm, 길이 2.6cm의 작은 캡술이 분석하는 것은 장내 미생물이 발생시키는 가스다. 연구팀은 ... ...
“달 지질구조 생각보다 복잡”
2015.03.13
이 지역의 지질 구조가 예상보다 훨씬 복잡하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사이언스’ 13
일자
에 발표했다. 비의 바다에서 이 부근을 탐사한 건 위투가 처음이다. 위투는 광학카메라와 지하 400m까지 침투할 수 있는 레이더 장비를 이용해 지질 구조를 조사했다. 이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비의 바다는 ... ...
고혈압 치료법 단초, 국내 연구진이 밝혔다
2015.03.13
Redorbit 제공 뚜렷한 치료제가 없었던 고혈압의 발생 원인을 국내 연구진이 처음으로 밝혀냈다. 지금까지는 고혈압 증상을 막기 위해 혈압을 잠시 낮추는 약물을 꾸준히 복용해야 했 ...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성과는 과학 학술지 ‘사이언스’ 6
일자
에 실렸다. ... ...
물 좋아하는 반도체 ‘흑린’의 환골탈태
2015.03.11
왼쪽부터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이주한, 이현욱 박사, 가천대 이영철 교수 - 기초과학지원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차세대 신소재로 불리는 ‘흑린’의 취약점을 해결 ... 있게 됐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네이처’ 자매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3
일자
에 게재됐다. ... ...
습한 곳에 가면 저절로 분리막 만들어져
2015.03.11
다공성 고분자분리막의 구조 - 울산과기대(UN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합성 고분자를 습한 환경에 놔두는 것만으로 3차원 고분자 분리막을 제조할 수 있는 기술을 개 ...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성과는 ‘네이처’의 자매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6
일자
에 실렸다. ... ...
영화 ‘인셉션’처럼, 쥐에 인공 기억 이식
2015.03.10
깨어난 뒤에도 그 장소를 선호한다는 연구결과를 ‘네이처 신경과학(Nature Neuroscience)’ 9
일자
에 발표했다. 우리가 장소를 인식하는 것은 뇌에 기억을 담당하는 부분인 해마에서 ‘장소세포(Place Cell)’가 각 장소마다 다르게 활성화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장소세포를 ‘몸안의 GPS’라고 ... ...
이전
431
432
433
434
435
436
437
438
4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