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날짜
일시
뉴스
"
일자
"(으)로 총 5,220건 검색되었습니다.
손가락 꼬는 순서만 바꿔도 통증 감소
2015.03.29
같은 상황에서도 통증이 경감된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 26
일자
에 게재했다. 연구진은 ‘뜨거운 석쇠 환상(Thermal Grill Illusion)’이라는 현상을 이용한 실험을 진행했다. 이는 40도와 20도로 설정된 금속선을 번갈아 배치한 뒤 여기에 손을 댔을 때 종종 타는 듯한 고통을 ... ...
“암흑물질 예상보다 더 찾기 힘들 것”
2015.03.29
연구팀은 은하단이 충돌하는 과정에서 두 은하에 각각 귀속된 암흑물질 간의 상호작용을 주목했다. - 사이언스 제공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거대강입자가속기(LHC)가 5월 ... 있고 그 자체가 암흑물질을 찾아가는 과정”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사이언스’ 27
일자
에 실렸다. ... ...
30년 만에 풀린 ‘철사 단백질’ 의 비밀
2015.03.27
KAIST 물리학과 교수(사진)팀은 철사 단백질이 풀어지는 과정을 규명해 ‘사이언스’ 27
일자
에 발표했다. 연구팀이 단분자형광현미경과 자기장 집게를 이용해 단백질이 풀리는 현상을 관측한 결과 꼬여있던 단백질은 0.02초가 채 안 되는 아주 짧은 시간 동안 한 번에 확 풀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
우리 아이 ADHD 원인은 임신부 때 마신 미세먼지?
2015.03.26
아이의 정신과 행동 발달이 저하된다는 사실을 밝혀내고 의학학술지 ‘JAMA 정신의학’ 25
일자
에 게재했다. PAH는 피부를 통해 흡수되는 환경호르몬의 일종으로 담배 연기, 가정용 난방 등 일상 환경에서도 쉽게 발생하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 연구진은 뉴욕에 거주하는 어린이 40명을 대상으로 ... ...
유방암 유전자처럼 백혈병 일으키는 유전자 있다
2015.03.26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ALL)을 앓는 환자에게서 추출한 면역세포 전구체(보라색) - 위키피디아 제공 유명 배우 안젤리나 졸리가 자신에게 유방암 유전자가 있다는 이유로 2013 ... 결과가 도움을 줄 것”이라 설명했다. 연구결과는 유전학 분야 학술지 ‘네이처 지네틱스’ 25
일자
에 실렸다. ... ...
반도체 회로 3차원으로 그리는 방법 찾아냈다
2015.03.25
말했다. 연구성과는 ‘네이처’ 자매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온라인 판 13
일자
로 게재됐다. 한편 연구팀은 이번 연구결과를 2013년 작고한 콜로이드 및 유체역학 분야의 대가였던 고(故) 양승만 KAIST 생명화학과 교수에게 헌정했다. 새롭게 개발된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이용해 ... ...
차세대 양자점 TV 성능 3배 더 UP!
2015.03.25
최원국(왼쪽), 황도경 박사. -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퀀텀닷 TV’로 불리는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발광효율을 3배 이상 개선하는 데 성공했다. 더 적은 전 ...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네이처’ 자매지인 ‘사이언티픽 리포트’ 10
일자
에 게재됐다. ... ...
‘저주받은 하체’ 이 유전자 때문이었다
2015.03.25
지방분포를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밝혀내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 23
일자
에 게재했다. 연구팀은 플렉신D1이 어떻게 비만체질을 결정하는지를 처음으로 규명했다. 연구용 물고기인 제브라피시를 통해 실험한 결과 플렉신D1이 결핍되면 복부나 내장지방이 적고, 지방세포 크기 또한 ... ...
악성 뇌종양 유발하는 핵심 유전자 발견
2015.03.25
과학저널 ‘네이처’ 자매지인 ‘세포 사멸과 분화(Cell Death and Differenciation)’ 2월 27
일자
에 게재했다. 악성 뇌종양 환자의 2년 생존율은 20%에 불과해 난치성 암으로 꼽힌다. 김 교수팀은 뇌종양이 발생하고 악화되는 데 혈관의 발달이 꼭 필요하다는 사실에 주목하고, 이런 혈관 발달 역시 ... ...
위조 불가능한 ‘인공 미세지문’ 개발
2015.03.25
만들어 위조를 막을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국제학술지 ‘어드밴스트 머티리얼스’ 25
일자
에 게재했다. 인공 지문이 지폐, 제약, 고가의 귀중품 등에 다양하게 활용돼 위·변조 행위를 근절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위조 방지 기술로는 지폐에 사용되는 홀로그램이나 μm ... ...
이전
428
429
430
431
432
433
434
435
4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