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뉴스
"
학과
"(으)로 총 4,846건 검색되었습니다.
김두철 서울대 명예교수 IBS 신임 원장 선임
2014.09.21
미국 존스홉킨스대에서 통계물리학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33년 동안 서울대 물리
학과
교수로 재직했으며 고등과학원 원장 겸 계산과학부 교수 등을 거쳤다. 한국물리학회 이사와 대우재단 학술협의회 이사, IBS 과학자문위원회(SAB) 위원 등으로 활동했다. 기초과학계는 김 원장이 기초과학에 ... ...
짝 찾아 400km 헤엄쳐 이동하는 ‘니모’
2014.09.17
아닌 새끼 흰동가리가 먼 바다로 떠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영국 엑스터대 해양생물
학과
연구팀은 중동 지역 오만 해역에 사는 새끼 흰동가리들이 400km나 떨어진 곳에 있는 다른 군집으로 이동한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미국 공공과학도서관 학술지 ‘플로스원’ 17일자에 발표했다. 산호초 ... ...
‘슈퍼 렌즈’로 보면 100nm 보다 작은 세계도 선명
2014.09.17
구조 등을 살펴볼 수 있어 향후 여러 분야에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KAIST 물리
학과
박용근·조용훈 교수 공동연구팀은 빛의 회절한계 때문에 광학렌즈로는 볼 수 없었던 100nm 크기의 이미지를 관찰하는데 성공했다고 17일 밝혔다. 빛은 렌즈를 통과하면 휘어진다. 작은 물체를 크게 볼 수 있다는 ... ...
[채널A] 장수 노인 105명…‘토종 유산균’ 101개 발굴
채널A
l
2014.09.16
속을 조사해 토종 유산균 101개를 찾아냈습니다. [인터뷰 : 이연희/서울여대 원예생명조경
학과
교수] 안전하고 특히 한국 사람한테 들어갔을 때 장에 부착이 잘돼서 면역 증강 효과 등 여러 효과를 오랜 기간 동안 아주 잘 발휘할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특히 이번에 발견된 유산균 ‘LF9988’은 기존 ... ...
[동아쟁론] 과학교육 홀대 논란
동아일보
l
2014.09.12
《 문·이과 통합 교육과정을 마련하기 위한 공청회가 오늘(12일) 열립니다. 교육계의 주요 이슈임을 반영하듯 교사와 전문가 등 무려 700여 명이 참석할 예정입니다. ...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구성 방안 연구’의 책임을 맡고 있다. 황규호 이화여대 교육
학과
교수 교육과정 개정 ... ...
한국 사람에겐 신토불이 장수 유산균 ‘LF9988’
2014.09.12
불가리쿠스’는 불가리아를 대표하는 장수 유산균이다. 이연희 서울여대 원예생명조경
학과
교수팀은 최근 국내 장수인에게서 ‘한국형 장수 유산균’ LF9988을 발굴해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유산균은 장 기능과 면역력을 높이고 체지방을 떨어뜨리는 등 다양한 기능이 확인되면서 건강 ... ...
“당신이 마신 물-와인에도 방사능… 과도한 공포심 버려야”
2014.09.11
신입생들에게 필수 교양서처럼 읽히자 뮬러 교수는 2010년 ‘미래 대통령을 위한 물리
학과
기술’이라는 교과서를 집필했다. 현재 이 교과서는 스탠퍼드대를 비롯해 미국 내 50여 개 대학에서 교양필수서로 채택돼 사용되고 있다. 뮬러 교수는 2012년에는 ‘대통령을 위한 에너지 강의’를 펴냈다. ... ...
소득 높을수록 부모 이혼이 자녀에게 영향 커
2014.09.10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이 다른 것으로 조사됐다. 레베카 라이언 미국 조지타운대 심리
학과
교수는 고소득 가정의 아이들이 부모의 별거나 이혼, 재혼 등으로 가족 구성이 달라질 때 저소득층 아이들보다 더 많은 영향을 받는다는 연구 결과를 심리학 학술지 ‘아동 발달’ 9월호에 발표했다. ... ...
과학의 향기, 예술의 향기를 만나다
2014.09.05
세상에서 헤엄치는 느낌이 들어 관람객들의 큰 인기를 얻었다. 영상은 정하웅 KAIST 물리
학과
교수의 복잡계 이론에서 영감을 얻어 작품화했다. 김희원 작가의 시간을 형상화한 ‘누군가의 시계’와 사진을 소재로 삼은 ‘누군가의 창문’도 눈길을 끌었다. 김 작가는 “표준연 광도센터 이동훈 ... ...
헉! 초속 300m ‘초강력 슈퍼 울트라’ 토네이도
2014.09.05
음속과 맞먹는다. ●슈퍼셀 만들어져야 토네이도 생겨 오재호 부경대 환경대기
학과
교수는 “초속 300m 정도로 빠르게 움직이는 토네이도는 아직 관측된 적이 없지만 이론적으로는 발생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현재 기상학자들은 토네이도의 강도를 EF0등급에서 EF5등급까지 ... ...
이전
430
431
432
433
434
435
436
437
4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