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작"(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부러진 뼈 : 사건을 해결하는 퍼즐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에 약하다. 따라서 뼈는 장력이 작용하는 부분, 즉 타격이 이뤄진 반대쪽부터 파손되기 시작한다. 그리고 1차 파손 이후에도 충격 에너지가 남았다면 타격 지점에서 약간 떨어진 곳에 또다른 장력이 발생해 그 부근에 동심원 골절이 발생한다(그림➋). 이 때 동심원의 크기는 뼈의 강도나 구조 혹은 ... ...
- [Interview] 차세대 전자 의수 도전하는 오상록 KIST 박사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의도를 구별할 수 있다. 그는 “매우 도전적이지만 관련 연구가 세계적으로 조금씩 시작되는 걸 보면, 우리가 완전히 틀리진 않은 것 같다”며 웃었다.국내 최고 수준의 연구자들이 연구단에 합류했다. 김기훈 KIST 로봇연구단 책임연구원(신경신호 측정 및 분석시스템 개발), 최혁렬 성균관대 ... ...
- [Tech & Fun] Science Fiction_추억충과학동아 l2016년 06호
- 화연은 화가 잔뜩 나있었다. 남자는 사정하고 애걸하고 울먹이다가 슬슬 화를 내기 시작했다.더 이상 지켜만 보고 있을 수 없었다. 윤정은 가게 안으로 들어갔다.윤정이 들어오자 안의 두 여자들은 조금 안심한 것 같았다. 하지만 남자에겐 윤정 따위는 보이지도 않는 모양이었다. 그는 알아듣기 힘든 ... ...
- [매스미디어] 최초의 돌연변이 깨어나다!수학동아 l2016년 06호
- 만나 깊은 우정을 쌓는다. 둘 다 능력이 뛰어난 돌연변이지만, 신념 차이로 인해 갈등이 시작된다.프로페서X가 인류와 돌연변이의 공존을 꿈꾸는 평화주의자라면, 어린 시절부터 나치의 유대인 탄압과 인류의 돌연변이 박해를 목격한 매그니토는 돌연변이가 세상을 장악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 ...
- [소프트웨어] 눈 더미보다 더 빨리~ 날아라, 스키수학동아 l2016년 06호
- 게임은 산 중턱에 있는 오두막에 지진이 나는 것으로 시작해요. 눈 더미가 오두막을 덮치기 직전, 스키를 타고 슝~ 출발하지요. 끝없이 펼쳐진 슬로프를 내려가는데, 경사가 완만한 곳도 있지만 아주 급한 곳도 있고 동굴 속을 지나가기도 한답니다.슬로프 중간에는 크고 작은 바위가 나와요. 여기에 ... ...
- [수학동아클리닉] 신체의 선으로 기본도형 표현하기수학동아 l2016년 06호
- 표현해보는 활동적인 수업을 소개하고자 한다. 우선 도형의 기본인 점, 선, 면에서 시작해 각의 성질, 직선과 평면의 위치관계, 평행선의 성질 등에 대해 학습한다. 신체를 이용해 관련 내용을 선으로 표현해보며, 수학 내용을 내면화한다. 최종적으로 아래 내용을 신체로 표현해보는 것이 목표다 ... ...
- [News & Issue] ‘다중신호 천문학’ 시대 열린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않아 빠르게 사방으로 퍼진다. 전자기파는 그 뒤 상대론적 제트가 생기면서부터 나오기 시작한다. 감마선(수 초간), X선(수 시간), 가시광선(수 일간) 순이다. 분출물질이 성간물질과 상호작용하며 나오는 전파는 몇 달간 계속 관측되기도 한다.지금까지 말한 감마선 폭발의 속사정은 전부 ... ...
- [Knowledge] 인간의 아바타, 실험에서 해방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찾는다동물실험을 아예 거치지 않고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임상시험부터 약 개발을 시작하는 방법도 최근 각광받고 있다. 기존 약품의 농도 등을 변화시켜 다른 질환 치료에 적용해 보는 방식으로, ‘신약 재창출(Drug repositioning)’이라고 부른다.이 방법은 이미 인체 유해성을 검증하고 사용 승인을 ... ...
- Part 3 "취업로봇 수술 하고 싶은 나, 비정상인가요?"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반전은 그의 남편이 A 박사의 두뇌 메모리가 B 업체에 저장돼 있다는 사실을 밝히면서 시작됐다. B 업체는 두뇌 메모리 임플란트 전문 업체로, 뇌 정보를 보관했다가 유사시 새로운 육체에 이식하는 사업을 하고 있다. 당시 쌍둥이 동생 C씨는 그 소식을 듣고 자신의 육체를 언니 A 박사의 새로운 ... ...
- [Tech & Fun] 이래도 사람, 저래도 사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것은 이미 다 끝나버린 게 아니라는 것이다. 기자가 아이에게 물려준 것이 아버지로부터 시작됐을 당시 받았던 그대로의 것이 아닌 것처럼, 기자의 아이 역시 살아가며 ‘아빠’로부터 더 많은 것을 받아서 삶을 형성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아빠 노릇의 과학’은, 늦었다고 생각하는 그 순간이 ... ...
이전4294304314324334344354364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