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작"(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 [게임카페] 리듬 맞춰 폴짝폴짝 달려라, 웃기는 박스!수학동아 l2016년 07호
- 어떤 것은 눈코입이 달려 있네요. 다양한 박스를 보는 것도 쏠쏠한 재미예요. 음악이 시작하면 박스는 즐거운 모험을 떠난답니다.파워풀한 리듬과 함께 점프점프!땅에 바짝 붙어서 오른쪽으로 달리는 박스가 삐죽삐죽한 장애물에 부딪치거나, 절벽으로 뚝 떨어지면 게임이 끝나요. 장애물이나 ... ...
- Part 2. 무수한 기체 먹고 은하 ‘비만’ 막았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주변에서 막대한 에너지가 방출되기 시작한다. AGN이 켜진 것이다.이제 AGN 피드백이 시작된다. 방출되는 에너지 때문에 기체가 흩어지거나 뜨거워지면서 별 탄생이 막힌다. 즉, 은하의 성장이 멈춘다. 거대질량 블랙홀은 기체를 계속해서 집어 삼킨다. 어느 순간 기체가 고갈된다. 거대질량 블랙홀이 ... ...
- Part 1. 그들의 동거는 언제 시작됐을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계속 보시려면? INTRO. 진화 이끈 작은거인 미토콘드리아Part 1. 그들의 동거는 언제 시작됐을까Part 2. 미토콘드리아에 새겨진 인류의 기원Part 3. 미토콘드리아 바꾼 ‘세 부모 아이’ 안전할까Part 4. 뇌질환과 암의 열쇠가 ... ...
- [Tech & Fun] 익스팬스, 깨어난 괴물의 습격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드라이아이스) 등의 휘발성 물질로 이뤄져 있죠. 포에베 버그는 이 행성에서 퍼지기 시작한 생명체입니다. 과연 이런 극한 환경에서도 세균이 살 수 있을까요.방사능과 극저온에서도 살아남는 세균지구에서는 1990년대부터 극한 환경에서 살아가는 세균이 발견됐습니다. 그 중에는 강한 방사능을 ... ...
- [Interview] “우주엔 다섯 번째 힘이 존재할지도 모르죠”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누군가 제게 대학원생이 되면 질문을 많이 해야 한다고 조언하더군요. 그래서 질문하기 시작했는데, 더 잘 이해할 수 있었어요. 한 걸음 떨어져서,내가 어디서 막혀 있는지, 뭘 모르는지에 대해 객관적으로 생각해 볼 필요가 있어요. 그리고 사람들에게 그게 어디서 비롯됐는지 물어봐야 해요. 물론 ... ...
- PART 2 빅데이터 꿰뚫어보는 수학수학동아 l2016년 06호
- 바로 데이터예요. 데이터가 지금처럼 부각되기 전부 현실의 문제를 데이터로 해결하기 시작했던 거죠. 그렇게 계속 이 일을 하다 보니 데이터과학자가 될 수 있었어요. 데이터과학자에게 중요한 건?이터과학자는 필요한 데이터를 ‘잘 찾아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예를 들어, 해외에서 ... ...
- [지식] 알고 쓰면 과학, 모르고 쓰면 사기 P-value수학동아 l2016년 06호
- 하지만 이를 해결할 방법이 밝혀지기도 전에 쉽다는 이유로 많은 사람들이 쓰기 시작했지요. 사실 P-value를 대신할 통계적 방법이 개발돼 있는 분야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해하기가 어려워 많이 쓰이고 있지 않습니다. 계속해서 의미 있는 결과가 나올 확률을 구하는 방법인 ‘재현성 측도’도 ... ...
- [수학동아클리닉] 제주 올레에서 만나는 수학이야기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이곳에서도 간단한 모래실험으로 수학적 원리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그럼 시작해 볼까요? 원기둥과 원뿔의 밑면의 반지름이 구의 반지름과 같고 ‘구의 지름=원기둥의 높이=원뿔의 높이’라는 조건을 만족하는 구, 원기둥, 원뿔의 부피는 어떤 관계가 있을까요?플라스틱 원뿔에 모래를 가득 채운 ... ...
- [과학뉴스] 예쁜 배지가 과학자들의 마음을 녹였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과학자와 공유하겠다고 밝힌 논문에 작은 배지를 달아주는 프로젝트를 2014년 1월부터 시작했다.그 결과 3% 내외였던 공개 비율이 1년 만에 23%로 뛰었다. 그리고 2015년 상반기에는 최고기록인 40%까지 치솟았다. 비슷한 주제를 다루는 다른 저널들의 공개 논문 비율이 10% 미만인 것과 비교하면 엄청난 ... ...
- [Knowledge] 우리나라의 첫 우주범선, 항해준비 완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5월 31일로 예정돼 있었으나, 발사 측의 사정으로 7월 15일로 일정이 연기됐다).“이제 시작입니다. 지금은 항력 돛을 시험하기 위한 우주범선일 뿐이지만, 발사가 성공적으로 끝나면 우리는 처음으로 우주범선의 정보를 가지게 됩니다. 미래의 우주범선 개발에 분명 중요한 정보가 될 겁니다 ... ...
이전4284294304314324334344354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