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d라이브러리
"
발견
"(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해외취재] 영국 매스투어2탄, 위대한 수학자들의 자취를 찾아서!
수학동아
l
2013년 01호
있을 거라고 생각했어요. 연구 끝에 아치의 모양이 현수선을 거꾸로 한 모양이라는 것을
발견
했죠.그러나 당시에는 현수선에 대한 연구가 없었기 때문에 렌은 $y=x$³의 곡선을 사용했어요. 이 곡선이 정확한 현수선은 아니지만, 현수선에 가까운 곡선임에는 틀림없어요. 세인트 폴 대성당의 돔은 ... ...
뱀, 수학자를 사로잡다
수학동아
l
2013년 01호
연구했다. 그 결과 평면에서 같은 시간 동안 일정한 속도로 회전했을 때 그려지는 곡선을
발견
했다. 이것을 아르키메데스의 나선이라고 한다.뱀의 걸음걸이는 사인곡선!뱀은 긴 몸을 꿈틀거리며 옆으로 미끄러지듯이 움직인다. 이런 특이한 뱀의 걸음걸이는 일찍이 과학자들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 ...
성스러운 생태계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통계학적으로 고려한 추산이다.은하 의회의 학문 윤리 위원회는 어떠한 경우에도 새로
발견
된 행성계의 생명체에 대해 살아있는 개체의 표본 수집이나 해부 보존에 대해 허가하지 않기 때문에 많은 학자들과 기관이 당대 최고 최신의 기기들을 동원해서 비파괴 검사를 진행했고, (믿으믿들은 모든 ... ...
PART 1. 누가 뉴턴을 죽였는가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속도가 달라진다는 것이 뉴턴역학의 상대론이다.문제는 이러한 광속의 변화가 실제로는
발견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지구의 공전 속도와 상관없이 별에서 오는 빛의 속도는 언제나 일정했다.이런 사실은 뉴턴역학으로는 설명하지 못했다. 이 문제를 해결한 것이 아인슈타인의특수상대성이론이다 ... ...
PART 3. 뉴턴 다시 부활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따라서 현재는 암흑물질이 앞서 있다고 해도 맞다.그러나 과학자들이 암흑물질을 끝내
발견
하지 못한다면 어떻게 될까.그때는 과학의 패러다임을 바꿔야 할 수도 있다.수정뉴턴역학을 포함해 새로운 역학체제 또는 새로운 이론에서 그 답을 찾아야 할 것이다.과학의 발전은 뉴턴의 영광을 저물게 ... ...
참수리가 찾아오는 한강 모래섬, 당정섬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덩치로 구분할 수 있는데, 매년 찾아오는 참수리 중 한 쌍이 항상 붙어 다닌다는 것을
발견
한 뒤로는 더욱 그렇다. 우리나라에서 따뜻한 겨울을 보낸 이들 한 쌍은 여름이 되어 러시아로 돌아가 새로운 가족을 만들 것이다. 실제로 2009년 이후로 어른 새와 어린 새가 동시에 찾아오고 있다. 2010년에는 ... ...
다리없는 뱀이 강하다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중생대 말인 백악기에 등장했으며 비늘이 뱀과 매우 흡사하다. 메셀 화석 유적지에서
발견
한 화석은 바로 장지뱀과 지렁이 도마뱀을 합친 형태였다.전체 몸길이가 7cm 정도 되는 이 도마뱀은 현재 파충류보다 더 두꺼운 형태의 두개골을 가졌다. 또 지렁이 도마뱀처럼 바깥귀가 닫혀있다. 무엇보다 ... ...
화학연의 정원이 그토록 아름다운 까닭은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펼쳐졌다. 우연찮게 보게 된 학생의 가방에서 학교에 가져와서는 안 되는 무엇인가를
발견
하기도 했다. 학부모 상담기간에 찾아온 어떤 어머니는 선물이라며 종이가방을 무작정 책상에 던지고 달려 나가는 바람에 졸지에 학부모와 전력질주 레이스를 하기도 했다. 교육학 책에는 나와 있지 않은 ... ...
화성에 사는 생명체에 한 걸음 더!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24호
이 토양 샘플에서 예상보다 많은 물 분자와 황, 염소 유기화합물, 탄소 유기물질 등을
발견
했지요. 탄소 유기물질은 생명체를 구성하는 기본적인 물질이기 때문에 과학자들은 화성에 유기 생명체가 존재했거나 현재 존재할 가능성이 예전보다 높아졌다고 밝혔어요. NASA 과학자들은 앞으로 화성 ... ...
1억 6500만 년 전 위장의 달인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24호
위해서예요. 나뭇잎인 것처럼 가만히 숨을 죽이고 있으면 사냥을 나선 천적이 우릴
발견
하지 못하고 지나쳐요. 또 먹잇감에게 다가 갈 때에도 나뭇잎으로 위장하는 기술은 효과적이지요. 과학자들은 우리 조상들이 커다란 몸집에 비해 다리가 가늘고 날개도 약해서 잡아먹히기 쉬웠을 거라고 ... ...
이전
429
430
431
432
433
434
435
436
4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