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견"(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 잠자리도 집중력 있다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코렐 교수와 공동으로 연구한 스티븐 비더만 박사는 “잠자리가 눈으로 먹잇감을 발견하면 이 신경을 통해 먹이를 제외한 다른 정보를 차단하도록 뇌에서 명령을 내린다”며 “선택적 주의는 인간이 외부에서 받은 정보에 반응하고 행동하는 데 중요한 능력이지만 어떤 과정을 통해 일어나는지는 ... ...
- 일본 오키나와 남부까지 우리 대륙붕 될까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얻은 자료는 당시 조사기술의 한계 때문에 믿을게 못 돼요. 석유가 있을만한 퇴적층을 발견한 것은 사실이지만, 석유가 어디에 얼마만큼 매장돼 있는지는 처음부터 다시 조사해야 합니다.”1968년 유엔 아시아극동경제위원회(ECAFE)의 조사결과는 지금 보면 신뢰도가 낮다. 한 부장은 “하루 빨리 최신 ... ...
- 왼손잡이는 정말로 천재인가과학동아 l2013년 01호
- 누가 더 낫다고 판단하는 것은 영원히 불가능 할지 모른다. 왼손잡이를 만드는 유전자를 발견하기도 했지만 이 유전자 역시 왼손잡이를 만드는 수많은 후보일 뿐이다. 특정 손을 많이 써서 두뇌가 발달한다고 믿는 것은 사람의 발전가능성을 지나치게 단순하게 보는 것이 아닐까. 물론 오른손잡이가 ... ...
- 화학연의 정원이 그토록 아름다운 까닭은과학동아 l2013년 01호
- 펼쳐졌다. 우연찮게 보게 된 학생의 가방에서 학교에 가져와서는 안 되는 무엇인가를 발견하기도 했다. 학부모 상담기간에 찾아온 어떤 어머니는 선물이라며 종이가방을 무작정 책상에 던지고 달려 나가는 바람에 졸지에 학부모와 전력질주 레이스를 하기도 했다. 교육학 책에는 나와 있지 않은 ... ...
- 뱀, 수학자를 사로잡다수학동아 l2013년 01호
- 연구했다. 그 결과 평면에서 같은 시간 동안 일정한 속도로 회전했을 때 그려지는 곡선을 발견했다. 이것을 아르키메데스의 나선이라고 한다.뱀의 걸음걸이는 사인곡선!뱀은 긴 몸을 꿈틀거리며 옆으로 미끄러지듯이 움직인다. 이런 특이한 뱀의 걸음걸이는 일찍이 과학자들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 ...
- [해외취재] 영국 매스투어2탄, 위대한 수학자들의 자취를 찾아서!수학동아 l2013년 01호
- 있을 거라고 생각했어요. 연구 끝에 아치의 모양이 현수선을 거꾸로 한 모양이라는 것을 발견했죠.그러나 당시에는 현수선에 대한 연구가 없었기 때문에 렌은 $y=x$³의 곡선을 사용했어요. 이 곡선이 정확한 현수선은 아니지만, 현수선에 가까운 곡선임에는 틀림없어요. 세인트 폴 대성당의 돔은 ... ...
- 초파리 애벌레가 찾아낸 촉각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제 신경세포를 조사하다가 수상돌기 끝에 이 단백질이 가득 달려 있다는 사실을 발견한 거죠. 단백질을 떼어낸 제 친구는 아무리 문질러도 반응을 보이지 않았지만, 단백질을 그대로 둔 저는 문지르는 감각에 바로 반응을 보였답니다. 즉 NOMPC가 부드러운 촉각을 느끼는 필수 물질이라는 사실을 ... ...
- [수학뉴스] 머리를 쓰지 않고 수학 문제를 푼다고?수학동아 l2013년 01호
- 식을 보여 주되, 0.7초에 걸쳐서 천천히 등장시켰다. 그리고 실험 대상이 문장과 계산식을 발견하고 읽어내면 화면에서 사라지게 했다. 오른쪽 눈에 비친 이미지가 계속 바뀌면 우리 의식은 변화에 집중하게 되고, 왼쪽 눈에 비친 문장이나 계산식은 인식하기 어렵다는 점을 이용한 것이다. 오른쪽 ... ...
- [수학실험실] 눈결정보다 아름다운 오더리 탱글스수학동아 l2013년 01호
- 숨어 있는 수학적 성질을 찾아보자. 퍼즐을 푸는 재미와 함께 수학자들만이 느낄 수 있는 발견의 즐거움을 느낄 수 있다. 실험1 별 모양 오더리 탱글스의 수학적 성질➊ 바깥쪽 삼각형의 변의 중점은 안쪽 삼각형의 꼭짓점과 반드시 만난다.➋ 이 도형은 60°와 120°로만 이루어져 있다.➌ 어느 ... ...
- PART 2. 새로운 시대가 열린다 - 네오 DNA과학동아 l2013년 01호
- 등이 원인일 수 있다.RNA 자체 변이에 관한 논쟁은 아직도 진행 중이다.확실한 메커니즘이 발견되거나, 혹은 실험이나 분석이 잘못됐다고 밝혀질 때까지 계속될 것이다.하지만 이런 논쟁을 통해 인간 유전체학은 발전한다.머지 않아 RNA 자체 변이의 실제 존재 여부와 빈도, 그리고 생명현상이나 ... ...
이전4284294304314324334344354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