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서
차례
등급
등위
단계
순위
순차
스페셜
"
서열
"(으)로 총 427건 검색되었습니다.
프르제발스키 말을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3.07.15
발견했다. 워낙 보존상태가 좋아 이들은 이 시료를 분석해 73가지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
을 밝히는데 성공했다. 최근 수년 사이 게놈분석기술이 급격히 발달하자 이번에 게놈해독까지 도전했고 멋지게 성공한 것. 수만 년 전 인류의 게놈이 해독된 게 불과 2~3년 전인데 무려 10배나 더 오래된 ... ...
[연구실탐방] ComSto 연구실 특명! error를 줄여라!
KAIST
l
2013.06.10
익숙한 그는 횡적인 인간관계가 특징이다. 선후배간의 지시전달보다는 나이나
서열
을 따지지 않고 자유로운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수평적인 분위기를 선호한다. ComSto 연구실의 일원이 되기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은 무엇이냐는 질문에 문재균 교수는 열정을 강조했다. “랩의 목적은 연구다. ... ...
질내균총과 자궁경부암 상관관계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3.05.24
걸린 쌍둥이 환자(discordant twin) 들을 대상자로, 질내균총의 변화를 차세대 분석염기
서열
기술(next generation sequencing technology)을 이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러한 일란성쌍둥이를 대상자로 한 연구방식은 인간의 유전적 요인을 배재하고 관련 인자를 규명하는 최상의 연구방식으로, 본 연구의 결과 ... ...
‘정크 DNA’는 정말 쓰레기통에 버려야 할 개념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3.05.22
DNA를 분석하는 방대한 작업이다. 연구에 따르면 그동안 무의미하다고 생각했던 염기
서열
의 상당부분이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고 또 실제 전사가 일어나 RNA가닥을 만든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여러 조직에서 얻은 140여 가지 유형의 세포를 분석한 결과 유전자가 아닌 영역의 활동이 ... ...
분자생물학의 거성(巨星) 떨어지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5.07
락(lac) 오페론의 작동 메커니즘. 위는 억제된 상태로 억제인자(녹색)가 DNA의 특정 염기
서열
(빨간색)에 결합돼 RNA중합효소(노란색)의 접근을 막기 때문에 전사가 일어나지 않는다. 아래는 활성화된 상태로 젖당(흰색)이 결합한 억제인자의 구조가 바뀌면서 DNA에서 떨어져 나가고 RNA중합효소가 작동을 ... ...
“유전체 연구분야 국가위상 높여야…통합조정기관 설립 필수”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소규모의 연구팀이 유전체를 분석하려면 값비싼 장비도 부담이다. 김 원장의 유전체 염기
서열
은 30억 개가 넘는다. 컴퓨터 파일로는 DVD 영화 40여편 분량에 해당하는 82GB(기가바이트)에 달한다. 이 정보를 분석하려면 TB(테라바이트, 1TB=1000GB)급의 컴퓨터가 필요하다. 100명의 유전체를 비교한다고 할 때 ... ...
당신에게 네안데르탈인의 피가 흐른다면?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역시 현생인류의 여정을 추적하는데 유용한 지표가 되고 있다. 그리고 지금까지의 염기
서열
데이터는 미토콘드리아 게놈과 마찬가지로 전부 현생인류의 범주 안에 있었다. 그런데 수년전부터 ‘23앤드미(23andMe)’ 같은 개인 게놈을 분석해 결과를 알려주는 회사들이 생기면서 많은 사람들이 ... ...
칼 우즈, 생물학의 뿌리를 뒤흔든 아웃사이더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생성하는 박테리아 4종의 16S 리보솜RNA 염기
서열
을 다른 박테리아나 동식물의 해당
서열
과 비교한 결과 둘 어디에도 속하지 않을 만큼 뚜렷한 차이를 보였던 것이다. 당시 지식으로는 당연히 다른 박테리아 무리에 함께 묶여야 했다. 이에 깜짝 놀란 우즈 교수는 메탄생성 박테리아에 대한 연구논문을 ... ...
DNA 정보 저장 왜 3진수로 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바탕으로 저자들은 정보를 염기 100개 단위로 잘라 저장했고 각각에 색인(물론 DNA염기
서열
로)까지 붙여 한 단위로 만들었다. 즉 긴 DNA가닥 하나에 정보를 모두 담는 게 아니라 고려 팔만대장경처럼 조각조각 나눠 정보를 담아 보관하는 것이다. 그런데 다음 정보 단위는 앞의 것의 26번째부터 시작해 10 ... ...
독감 걸리는 사람 완전히 사라지는 날 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이 분야의 대표적인 인물이다. 피어스 교수는 1972년 처음으로 바이러스의 유전자 염기
서열
을 해독했고 1976년 역시 처음으로 바이러스의 전체 게놈을 해독한 분자생물학의 개척자다. 1980년, 그는 독감 바이러스로 관심을 돌려 1965년 유행했던 독감 바이러스의 헤마글루티닌 유전자를 해독했다. 196 ... ...
이전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