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정
관찰
스페셜
"
관측
"(으)로 총 1,039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화성에 설치한 지진계, 화성을 해부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25
충격으로 지진이 발생한다. 브리기테 크나프마이어엔드룬 독일 쾰른대 벤스버그
관측
소 연구원팀은 화성의 지각이 2~3층으로 되어 있고 2개 층이면 20km, 3개 층이면 37km 깊이일 것으로 예측했다. 아미르 칸 취리히연방공대 지구과학부 연구원팀은 화성 아래 1560km 깊이까지 맨틀이 있을 것으로 봤다. ... ...
지구 밖 첫 지진파 연구로 화성 내부 구조 알아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23
형태의 지진파가 포착됐다. 브리지트 크나프마이어-엔드런 독일 쾰른대 벤스버그
관측
소 연구원팀은 지진파 정보를 종합해 화성의 지각 두께를 최소 20km에서 최대 72km 정도로 추정했다. 연구진은 인사이트의 착륙 지점 바로 밑 지각의 두께가 약 8km인 층과 두께 약 12km정도의 층이 있고 그 ... ...
"우주의 달과 별 파는 '아마존의 우주시대' 도래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22
우주여행 승차권을 판매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1억달러(약1149억원) 정도에 판매될 것이란
관측
이 나온다. 베이조스는 승차권 가격이 정확히 얼마인지 밝히지 않았지만 “수요가 매우 높다”고 말했다. 이 같은 수요는 블루오리진보다 먼저 우주여행에 성공한 버진갤럭틱의 우주선 발사 현장에서도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우주의 '괴물' 블랙홀
2021.07.22
무엇도 빠져나올 수 없으므로 블랙홀을 직접
관측
할 수는 없다. 따라서 블랙홀의 존재를
관측
으로 확인하려면 간접적인 방법을 쓸 수밖에 없다. 대표적인 방법은 블랙홀 주변에서 블랙홀로 흘러드는 물질에서 나오는 정보들을 취합하는 것이다. 블랙홀 속으로 주변의 물질들이 빨려 들어갈 때 그 ... ...
장마 17일 만에 끝 38도 폭염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20
모습이다. 기상청 제공 올해 여름 장마가 17일만에 끝난 것으로 분석되면서 기상
관측
이래 역대 세 번째로 짧은 장마라는 기록을 남겼다. 기상청은 20일 장마가 끝난 뒤 일주일 동안 38도가 넘는 폭염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2018년과 같은 역대급 폭염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 ...
뜨거운 날씨로 점점 높은 하늘에 뜨는 구름, 온실효과로 지구온난화 더 가중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20
연구 중 가장 높은 신뢰도를 가진 것으로 특정 지역 구름 유형이 아닌 전 지구적
관측
데이터를 기반으로 했다”며 “구름이 지구온난화에 대한 증폭 효과가 있다는 것을 입증했다”고 밝혔다. ... ...
[우주산업 리포트]호주는 왜 우주개발에서 국제협력을 강조할까
2021.07.16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준다. 이런 지리적 장점 덕분에 호주는 이미 글로벌 천체
관측
전파망원경 네트워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뉴사우스웨일즈주 서쪽 중심부에는 지구 남반구 최대 전파망원경인 팍스 전파망원경이 있다. 이 망원경은 아폴로 11호 미션에서 핵심 수신기로 기능했을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이산화탄소 배출 줄었지만 여전한 지구온난화
2021.07.12
약 50% 증가한 수치다. [그림3] 1958~2021년의 기간 동안 하와이 마우나로아
관측
소에서
관측
된 월 평균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ppm). SCRIPPS Institution of Oceanography 제공 코로나19 팬데믹은 사회적 거리두기, 국경 봉쇄 등을 통해 인간의 활동을 제한했다. 따라서 인위적 이산화탄소 배출도 자연스럽게 ... ...
[우주산업 리포트]아시아 우주 비즈니스의 핵심 거점 정조준한 일본 우주산업
2021.07.09
일본판 GPS(위성위치확인시스템)인 준천정위성 ‘미치비키’(길잡이라는 일본말)와 지구
관측
위성을 추가로 발사한다. 넷째 온실가스 감시를 위한 우주 기반 감시체계 구축하고, 다섯째 우주 태양광 발전 연구를 통해 사회적 과제에 대한 대응을 도모한다. 여섯째, 아르테미스 프로그램과 화성 샘플 ... ...
"첫 우주 교통사고가 연구의 꿈 되살렸죠"
동아사이언스
l
2021.07.09
감시하고 추적할 능력을 갖춘 국가는 미국 밖에 없다. 한국은 '아울넷'이라는 자체 광학
관측
시설로 한반도 상공의 우주물체를 감시하고 있지만 이 역시 미국에서 궤도 정보를 받아야 추적이 가능하다. 최은정 실장은 이달 1일 자신의 연구 경험을 토대로 우주 쓰레기에 관한 자세한 설명과 생각을 ... ...
이전
38
39
40
41
42
43
44
45
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