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합
에너지
에네르기
뉴스
"
결합에너지
"(으)로 총 997건 검색되었습니다.
[인터뷰] 생체 모방으로 탄생한 친환경 약물 패치
과학동아
l
2022.02.26
박치영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에너지공학 전공 교수와 최경현 에너지공학 전공 석·박사통합과정 연구원이 연구실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장춘구 제공 박치영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에너지공학전공 교수의 연구실엔 기사 스크랩이 가득 쌓여있다. 이달 5일 대구 달성군 현풍면 DGIST 연구 ... ...
[과기원은 지금] KAIST-ETRI, 뉴프런티어 기술 공동연구 MOU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2.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제공 ■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21일 KAIST와 미래 새로운 성장동력인 ‘뉴프런티어 기술’ 공동연구와 상호 인력교류, 글로벌 역량 확보 등의 내용을 담은 업무협력 협정서(MOU)를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양 기관은 업무협력 협정서 체결을 통해 미래기술 선점을 위한 공동 ... ...
한-콜롬비아 과기공동위 첫 개최…생명공학·탄소중립 협력 모색
연합뉴스
l
2022.02.18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18일 콜롬비아 과학기술혁신부와 '제1차 한-콜롬비아 과학기술공동위원회'(과기공동위)를 화상으로 개최했다고 밝혔다. 과기공동위는 지난해 8월 개최된 우리나라와 콜롬비아 간 정상회담을 계기로 마련됐으며 양국의 과기정책 ... ...
탄소중립에 원자력은 필요할까...가열되는 '친환경' 논란
동아사이언스
l
2022.02.18
벨기에 도엘 소재 원자력발전소. 위키미디어 제공. 기후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탄소 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탄소중립’은 더 이상 뒤로 미룰 수 없는 전세계 각국의 핵심 정책 목표다. 탄소를 직접 배출하는 화석연료를 활용한 에너지 비중을 줄이고 태양광·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늘리 ... ...
OLED 효율 높인 이준엽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동아사이언스
l
2022.02.09
이준엽 성균관대 화학공학고분자공학부 교수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연구의 대표적 난제인 청색 발광 소자의 효율과 수명을 동시에 높이는 기술을 개발한 공로로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을 받았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이준엽 성균관대 화학공학고분자공학부 교수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 ...
극초음속 무기 대처법은…미 싱크탱크 "의외로 쉬울 수도" 주장
연합뉴스
l
2022.02.09
"속도 자체가 약점…경로에 금속입자·전자파 뿌리기" "입자 하나만 걸려도 기체 망가져 성능저하나 임무실패" 연합뉴스 제공 중국과 러시아가 최근 개발해 실전 배치한 극초음속 무기가 미래 전쟁의 판도를 바꿀 '게임체인저'로 주목받고 있지만 현 단계에선 의외로 쉽게 무력화될 수 있는 무기 ... ...
[사이언스N사피엔스] 가장 많은 지지를 받는, 하지만 정신이 된 코펜하겐 해석
2022.02.03
올리비아 뉴튼존(왼쪽), 외활아버지 막스 보른(1882-1970). IMDB 제공 나이가 좀 있는 사람들은 '피지컬'이라는 노래로 유명했던 호주의 가수 올리비아 뉴튼존을 기억할 것이다. 1981년 발표한 ’피지컬'은 빌보드 핫100에서 10주 동안 1위에 올랐다. 미국의 그래미상도 4차례나 수상한 뉴튼존의 외할아버지 ... ...
[표지로 읽는 과학]인공태양의 진짜 불 지폈다…'연소 플라즈마' 실험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2.01.29
네이처 제공 달콤한 꿀이 잔뜩 든 벌집처럼 보이는 이것은 장차 '인공태양' 핵융합 에너지를 실현시키는 열쇠가 될 것으로 보인다.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27일 핵융합 반응으로 가열되는 플라즈마의 모습을 표지에 담았다. 미국 로렌스리버모어국립연구소 연구팀은 미국립핵융합시설연구소(NIF) ... ...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효율 잡고 다음 목표는 면적과 수명
동아사이언스
l
2022.01.24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실리콘 태양전지보다 광전환효율의 한계치가 높고, 제조 공정이 단순해 가장 유력한 차세대 태양전지 후보로 꼽힌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제공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실리콘 태양전지의 뒤를 이을 가장 유 ... ...
5000명중 1명 앓는 난치병 '미토콘드리아 질환' 치료 한 걸음 더 다가섰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1.20
국내 연구팀이 미토콘드리아 DNA를 기존 기술보다 훨씬 정확하게 교정하고 여러 분야에서 다양하게 쓰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국내 연구팀이 미토콘드리아 DNA를 기존 기술보다 훨씬 정확하게 교정하고 여러 분야에서 다양하게 쓰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를 좀 더 ... ...
이전
38
39
40
41
42
43
44
45
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