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손가락"(으)로 총 1,374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땅에 적응한 하늘의 파충류, 익룡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위를 잘 걸어 다닐 수 있었다. 이들은 날개를 이루는 네 번째 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세 손가락과 평평한 뒷발을 이용해 네 발로 걸었다. 1952년 미국 와이오밍주에서는 선명한 익룡 발자국 화석이 발견돼 이를 증명했다. 또 아시아와 유럽에서도 익룡의 발자국이 많이 발견됐다. 요약하면, 익룡은 ... ...
- Part2. 테러리스트 만드는 ‘뇌 속 스위치’ 있을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테러범들은 벨트에 찬 폭탄을 터뜨려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경찰은 폭발 흔적에서 잘린 손가락을 찾아 테러범의 신원을 밝혀냈다. 그의 이름은 이스마일 오마르 모스테파이(오른쪽 위 사진). 29살의 알제리계 프랑스인이었다.모스테파이는 불과 3년 전까지 파리 서남쪽 샤르트르에 사는 평범한 ... ...
- [파충류의 속사정 7] 가을은 독사의 계절?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코끼리만 한 덩치를 가진이구아노돈은 원뿔형 엄지손가락을 가졌는데, 트위디는 이 엄지손가락에서 독소가 나왔을 가능성이 있다고생각했다. 하지만 이구아노돈의 엄지에는 독소가 분비될 만한 구멍이나 홈, 그리고 분비선의 흔적이 전혀 없었기 때문에 아무도 그의 의견을 받아들이지 않았다.200 ... ...
- 범인의 신원 정보를 먼지가 알고 있다고?과학동아 l2015년 11호
- 피어러 교수팀은 컴퓨터 3대의 키보드에서 세균을 채집한 뒤 각 컴퓨터 소유자의 손가락에서 얻은 세균과 DNA를 비교했다. 그 결과 각각의 키보드에서 모은 세균의 DNA는 해당 컴퓨터 소유자의 손에 사는 세균의 DNA와 가장 유사했다.컴퓨터 마우스와 손바닥에서 채취한 세균을 비교했을 때도 같은 ... ...
- 알고 나면 깜짝 놀랄걸? 아주 사소한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관절 사이의 공기가 빠져나가면서 소리가 난다는 상식이 뒤집혔어요. 또한 습관적으로 손가락 관절을 여러 번 꺾더라도 관절에 상처가 생기지 않는다는 사실도 밝혀졌답니다. 강철보다 20배 강한 인공거미줄강철보다 강도가 20배 뛰어난 인공거미줄이 개발됐다. 독일 바이로이트대학교 토마스 ... ...
- [PART 1] 화석이 알려주는 인류의 진화수학동아 l2015년 11호
- 있다.하지만 두개골과 손, 발의 형태가 사람과 비슷했다. 특히 엄지손가락과 나머지 네 손가락이 손바닥을 향해 접히는 방향과 발바닥이 둥근 아치 모양이라는 점은 사람과 똑같았다. 연구팀은 이 화석인류가 돌로 된 도구를 사용했으며, 먼 거리를 이동할 때는 두 발로 서서 다녔을 거라고 추측했다 ... ...
- 우주비행사 비서 로봇 ‘아일라’ 개발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로봇 ‘아일라(AILA, 아래 사진)’를 개발하고 있다고 밝혔다.아일라는 두 개의 팔과 손가락을 자유자재로 움직여 우주정거장에 있는 사물을 들고 옮길 수 있다. 하체에는 여섯 개의 바퀴를 달아 우주정거장 안을 빠르게 이동할 수 있고, 머리에는 카메라와 컴퓨터, 각종 센서와 통신장치가 탑재돼 ... ...
- Part 1. 뫼비우스의 띠가 남긴 숙제수학동아 l2015년 10호
- 좋아하는 이유 중 하나다19세기 독일의 수학자 아우구스트 페르디난트 뫼비우스는 손가락으로 면을 따라 훑으면 모든 면을 거치게 되는 띠를 발견했다. 그의 이름을 딴 ‘뫼비우스의 띠’는 바깥쪽 면과 안쪽 면이 구분되지 않는다. 독특한 성질에 비해 만드는 방법은 간단하다. 길고 네모난 띠를 한 ... ...
- [흔들리는 인류기원] Part1. 최초의 인류진화 역사 바뀔까과학동아 l2015년 10호
- 후대의 형질이 나타났지만, 손가락 뼈는 오스트랄로피테쿠스보다 굽어 있었다. 굽은 손가락은 나무타기의 흔적으로, 원시적인 특징이다. 그밖에 척추는 호모 속의 특징을, 갈비뼈는 오스트랄로피테쿠스적인 특징을 보였다. 날레디는 이렇게 한 종 안에 오스트랄로피테쿠스의 성질과 호모 속의 ... ...
- [Knowledge] 생일 축하해, 티라노사우루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몸집에 비해 너무나도 짧아서 박수도 치지 못할 정도다. 게다가 이 짧은 팔은, 달린 손가락도 두 개뿐이라 쓸모가 없어 보인다. 그래서 한동안 과학자들은 이 앞다리가 퇴화 중인 흔적기관이었다고 여겼다.하지만 미국 스토니브룩 뉴욕주립대의 사라 버치 박사의 최근 연구에 따르면, ... ...
이전3839404142434445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