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손가락"(으)로 총 1,374건 검색되었습니다.
- 만약에~ 공룡이 멸종 하지 않았다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모습일지 상상해서 만든 거지요. 털이 하나도 없는 매끈한 파충류 특유의 피부와 세 개의 손가락이 달린 손, 머리의 1/3 정도를 차지할 정도로 커다랗고 노란 눈을 제외하면 우리 인류와 꼭 닮은 모습이랍니다.알로와 스팟이 사는 영화 속 세계에서는 공룡이 진화해 인류를 가르치고 이끌어요. 이번 ... ...
- [Tech & Fun] Science Fiction_귀향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안락함에 빠지기 때문이다. 전쟁에 몸을 담고 있을 당시 내 소망은 단 하나였다. 인간의 손가락이 거미줄처럼 끌어당기지 않은 어느 장소에서, 허물어져 가는 집을 보수하고, 무한하게 반복될 것 같은 밤하늘의 회전을 멍하니 감상하며 살고 싶었다. 하지만 내 연봉으로는 그 정도의 자원과 기회를 ... ...
- PART 1. 수중과학수사대 훈련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물속에서 한 차례 빙그르 돌더니 고개를 내밀었다. 무사히 들어왔다는 신호로 손가락을 동그랗게 말아 보이곤 이내 물고기처럼 사라졌다.수심 15m, 수온 11℃. 수중과학수사대원들은 근처 바닥에 가라앉은 시체(마네킹)를 찾기 위해 바삐 움직여야했다. 물속에 머물 수 있는 시간은 고작 30분. ... ...
- [News & Issue] 자연닮은 생체모방무예, 쿵후과학동아 l2016년 02호
- 거리를 좁히고 그를 이용해 순각적으로 타격하는 동작이 사권의 주를 이룹니다. 또한 손가락을 펴 손날을 유지해 납작한 뱀의 머리모양을 묘사하고, 타격 부위에 1초라도 빨리 도달할 수 있게 하죠.앞서 신 교수가 말한 것처럼, 동물과 사람은 너무나도 다른 점이 많습니다. 그래서 동물의 움직임을 ... ...
- PART 2. 물 밖으로 나온 수중과학수사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단백질, 젖산 등 유기화합물과 나트륨, 칼륨 이온 등 무기화합물도 소량 섞여있다. 손가락에서 나온 유·무기화합물의 특성을 이용하면 눈에 보이지 않는 지문(잠재지문)도 찾을 수 있다. 한 예로 플라스틱이나 금속, 유리, 비닐 표면에 묻은 지문을 검출할 때는 주로 ‘시아노아크릴레이트’를 쓴다. ... ...
- [Knowledge] 파충류의 속사정2 하늘의 거인 케찰코아틀루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공룡의 것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조심스럽게 발굴해보니, 놀랍게도 날개를 이루는 긴 손가락뼈가 붙어 있었다. 뼈의 주인은 익룡이었다. 로슨은 놀라움을 감추지 못했다.그때까지만 해도 과학계에 알려진 익룡의 손목뼈는 건포도나 호두만 한 크기였다. 그가 발견한 것은 초대형 익룡이었다!그 후 ... ...
- [수학동아클리닉]사라진 어진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6년 01호
- 기둥 사이를 1칸으로 세기 때문입니다. 1칸은 6자, 즉 1.8m입니다. ‘자’는 팔뚝에서 손가락 끝까지 길이인데, 약 30cm입니다. 하지만 이 단위는 왕마다 제각각이었는데, 세종대왕 때는 1칸을 8자(2.4m)로 정했고, 그 전에는 1칸이 11자(3.3m)였습니다.세종대왕 때를 기준으로 1칸은 2.4m이므로 방 1칸의 ... ...
- [News & Issue]사회성의 천재, 붉은털원숭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도착했다. 사진 속 원숭이의 손은 인간의 손과 아주 유사했다(56쪽 사진 참조). 다섯 개의 손가락과 손톱은 물론 손금까지 있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서 발간한 책 ‘인류의 가족, 인간의 동반자, 영장류’에 따르면 원숭이도 개체마다 고유한 지문을 가지고 있다. 사람처럼 개체를 분별하는 데 ... ...
- [Knowledge] 마치 누군가 설계한 듯한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너무 세게 잡으면 달걀을 깨뜨린다. 너무 살살 잡으면 달걀을 떨어뜨린다. 게다가 달걀을 손가락으로 잡기 전에 어느 정도의 강도로 잡을지 이미 결정을 해야 한다! 이처럼 공학적으로는 어마어마하게 어려운 과제를 우리의 손은 별다른 노력 없이 척척 해낸다. 다시는 손을 무시하지 마시라.마치 ... ...
- [지식]왜 내게 이런 일이!- 스마트폰 잔혹사-수학동아 l2016년 01호
- 때 사람들은 보통 스마트폰의 무게중심보다 아래쪽으로 느슨하게 쥔다. 이 때문에 손가락으로 잡았던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떨어지게 된다. 이때 스마트폰의 회전 속도는 스마트폰을 회전시키는 데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중력에 관한 회전 운동 미분 방정식을 풀어 구할 수 있다.계산 결과, ... ...
이전3637383940414243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