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규정
법칙
규범
원칙
법규
원리
규율
d라이브러리
"
규칙
"(으)로 총 2,543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상 인터뷰] 참을성 있게 기다리는 갑오징어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7호
마시멜로 두 개와 종이 마련된 방으로 어린이들을 초대했어. 그리고는 방을 나가면 서
규칙
을 설명했지.연구자가 돌아올 때까지 마시멜로를 먹지 않고 기다리면 마시멜로 두 개를 먹고, 그전에 먹고 싶으면 종을 울리고 하나만 먹는 거야. 일부 아이들은 연구자가 나 가자마자 종을 울리고 ... ...
[하비맨] 하비맨, 국내 1위 오목 기사와 배틀 뜨다?
수학동아
l
2021년 07호
수(手)에 제한을 두는 것을 말합니다. 1989년부터 열리고 있는 오목 세계챔피언대회도 이
규칙
에 따라 진행됩니다. 그럼 흑돌이 왜 유리한지 수학적으로 알아볼까요? 2단계 흑돌이 유리한 수학적 이유 흑돌을 두는 사람이 유리한 이유는 경기 초반에 돌 개수에서 우위를 차지하기 때문입니다. ... ...
[특집] 한여름에도 얼음이 가득~ 얼음 공장 엿보기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7호
얼음을 잘라요. 생선과 같은 수산물을 신선하게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얼음은 불
규칙
한 모양으로 잘게 부숴요. 얼음의 크기가 작으면 생선의 곳곳에 얼음이 닿아 온도를 빠르게 낮추기 때문이에요. 대신 금방 녹기 때문에 얼음을 사려는 사람이 오면 그때 잘라요. 5 얼음을 저장해요얼음 보관 ... ...
[몬스터를 잡아라!] 직각, 둔각삼각형 몬스터와 함께하는 땅따먹기!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7호
게임이니 친구나 가족과 함께 게임을 즐겨보세요. 몬스터 잡기 위한 준비운동, 게임
규칙
알기! 매 차례마다 더 큰 삼각형을 만든 참가자가 이기는 게임이에요. 이때 직각 삼각형과 둔각 삼각형만 그릴 수 있어요.더는 삼각형을 만들 수 없을 때 게임이 끝나요. 이긴 횟수가 더 많은 참가자가 최종 ... ...
[매스크래프트] #19. 공평하지 않은 승부차기?
수학동아
l
2021년 07호
하지만 이 방법은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한 데다 진행 방식이 너무 복잡하다는 이유로 정식
규칙
으로 채택되지 못했습니다. 오늘은 축구와 관련된 이야기를 알아봤는데요. 과연 이번 도쿄 올림픽에서 한국은 좋은 성적을 거둘 수 있을까요!? 이기든 지든 퓨처킴은 신나게 응원할 겁니다! 대한민국 ... ...
[매스미디어] 라켓소년단의 1승의 비결은 경우의 수?!
수학동아
l
2021년 07호
3단식을 맡습니다. 2:2 복식 경기 역시 기존의 복식 랭킹을 따라 결정하죠. 국내에서는 이
규칙
을 따르지 않아도 돼서 상대의 오더를 예측하고 예측 당하는 쫄깃한 상황이 펼쳐질 수 있습니다.그만큼 전국 꼴찌인 라켓소년단이 1승을 쉽게 거둘 수도 있다는 말이 되겠죠! 과연 해강은 전국 대회에서 ... ...
기계학습으로 본 AI의 세계
수학동아
l
2021년 06호
현실적으로 불가능했죠. 이렇게 사람이 일일이
규칙
을 정해줄 수 없는 정보 사이의
규칙
을 찾고 새로 입력된 정보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정확히 찾아내기 위해 기계학습이 필요하게 된 거죠.기계학습은 주로 통계적인 방법을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감기를 진단하는 컴퓨터는 ‘감기에 걸린 사람은 ... ...
연립방정식으로 쑥쑥 AI 지능을 키워라!
수학동아
l
2021년 06호
똑똑해질 거야! 이때 중요한 요소는 데이터야.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규칙
을 찾아내 결과를 예측해 행동하지. 기계학습 AI 로봇의 성장 과정을 같이 지켜보자고!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연립방정식으로 쑥쑥 AI 지능을 키워라!Part1. 기계학습으로 본 AI의 세계 기계학습, ... ...
기계학습, 너는 어떻게 학습하니
수학동아
l
2021년 06호
묶거나, 비슷한 생김새를 기준으로 묶을 수 있을 겁니다. 이처럼 AI가 데이터 사이에서
규칙
을 찾아내고 의미를 추론하는 기계학습법을 ‘비지도형 기계학습’이라고 해요. 이것은 기존에 알지 못한 새로운 특징을 추출하거나 서로 관련이 높은 그룹끼리 분류하는 데 많이 쓰입니다. 기계학습이 ... ...
기계학습 AI에 입력된 데이터로 결과를 예측해보자!
수학동아
l
2021년 06호
귀뚜라미 울음소리 빈도수는 대략 1분당 197.1회로 거의 일치했답니다! 데이터를 통해
규칙
을 찾아냄으로써 앞으로 일어날 상황을 예측할 수 있게 된 거죠 ... ...
이전
38
39
40
41
42
43
44
45
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