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곡선"(으)로 총 94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길+개리=원빈?!수학동아 l2011년 12호
- 모양을 비교한다. 3D 방법에서는 얼굴의 볼록한 정도까지 나타낼 수 있는데, 이때는곡선의 굽은 정도를 나타내는‘곡률’개념을 이용한다. ❸ 많은 자료 중에서 알짜를 고르는 통계실제로 얼굴인식 알고리즘은 매우 복잡하다. 또 복잡한 식을 통해 계산한 값의 개수도 많다. 정확한 얼굴인식을 위해 ... ...
- 접선이란 무엇인가?수학동아 l2011년 12호
- 중학교에서는 원과 직선이 만날 때, 직선이 원과 두 점에서 만나면 할선이고 직선이 원과 한 점에서 만나면 접선이라고 배웁니다. 즉 접선은 ... 즉 직선이 어떤 도형 또는 곡선과 한 점에서 만날 뿐 아니라, 접점 부근에서 도형 또는 곡선을 대신할 수 있을 때 그 직선을 접선이라고 합니다 ... ...
- 태국 남 뚜엄(홍수), 수학을 알았더라면?수학동아 l2011년 12호
- 시간에 따른 강물의 변화를 알아낼 수 있다.홍수 막는 수학 2. 한꺼번에 물 몰리면 큰일이 곡선을 토대로 댐이 담당하는 유역에 내린 비와 앞으로 내릴 비의 양의 합(I), 댐에서 보관할 수 있는 양(S)을 계산해 하류로 내보낼 물의 양(O)을 결정(I-O=S)한다.물을 내보낼 때는 하류에 끼칠 영향과 다른 댐도 ... ...
- 2011 제주 수학 축제, "나도 수학 사랑해마씸!"수학동아 l2011년 11호
- 직선인데, 나무젓가락으로 곡선을 만드는 것이 신기했어요. 직선 여러 개로 곡선 무늬를 만드는‘스트링 아트’와 같은 원리라고 해요. 저는 여기서 멈추지 않고, 다른 방법으로 쌍곡면을만들 수 없는지 조사해봤어요. 한 가지 방법을 더 찾을 수 있었는데, 원 모양 판자 둘레에 구멍을 많이 뚫은 ... ...
- 그림과 놀이로 배우는 도형수학동아 l2011년 11호
- 그림자가 생기고, 그림④와 같이 구의 중심과 같은 높이에서 빛을 옆으로 비추면 쌍곡선 모양의 그림자가 생긴다. 지구는 하루에 한 바퀴 자전하므로 해가 만들어내는 그림자는 1시간에 15°(=360°÷24)씩 회전한다. 이 사실을 이용해 수평면에 수직으로 막대를 세우면 해의 그림자로 시간을 알 수 있다 ... ...
- 은둔 수학자 페렐만 거부한 100만 달러의 행방은?수학동아 l2011년 11호
- 프랑스 수학자 앙리 푸앵카레가 제기한 위상수학 문제로 밀폐된 3차원 공간에서 모든 폐곡선(회로)이 수축돼 한 점이 된다면 이 공간을 공 모양인 구로도 변형할 수 있는지에 대한 것이다. 페렐만은 이미 2006년 필즈상 수상도 거절한 바 있으며, 최근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 정회원 자격도 거부했다 ... ...
- 쭉쭉 늘어나는 팔다리, 그녀의 이유 있는 변신 애니메이션 인크레더블수학동아 l2011년 11호
- 변하지 않는다면 모두 같은 도형이라 여긴다. 다시 말해 변형된 고무줄(B)에서 직선이 곡선이 되고, 길이가 달라졌지만 선을 구성하고 있는 점들의 배열순서가 변하지 않았다는 점에만 집중한다.이처럼 길이와 모양이 달라졌지만 점들의 연속적인 배열순서가 같고 이어진 선과 면이 같다면 같은 ... ...
- 수학 - 잘게 쪼개고 더하는 구분구적법과학동아 l2011년 11호
- 구분구적법의 의미는 말 그대로 잘게 쪼개고 이 요소를 모두 더한다는 의미다. 그런데 간혹 학생들이 매개변수로 표현된 곡선에 의해 둘러싸인 넓이나 부피를 구할 때 엉뚱한 적분을 하는 경우가 있다. 이번 호에서는 구분구적법의 색다른 방법과 적용을 실전논제를 통해 알아본다. ...
- PART 2. 타임머신 터미널과학동아 l2011년 11호
- 우주’ 모형을 고안했다. 이 우주의 시공간은 물질 분포에 의해 크게 휘어 닫힌곡선을 이룬다. 빛은 순환하는 부메랑 같이 움직인다. 빛에 가까운 속도로 달려 부메랑의 경로를 직선으로 가로지르면 빛을 앞지를 수 있다. 이를 시간여행에 활용하면 과거와 미래로 갈 수 있다. 아이디어의 ... ...
- 과학으로 하이킥! 애니메이션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0호
- 이런 과학적 원리를 이용해 사뿐히 뛰어다니도록 표현한다.애니메이션의 법칙 4몽키는 곡선을 그리며 뛰어다닌다수레 옆에서 뛰는 몽키의 움직임을 보면 포물선을 그린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포물선 운동은 바로 중력이 작용한 결과다. 중력 때문에 결국은 땅으로 내려오겠지만, 공중에 있는 동안 ... ...
이전3839404142434445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