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곡선"(으)로 총 946건 검색되었습니다.
- 스펀지 MATH수학동아 l2012년 03호
- 곡선을 따라 그려지기 때문이죠. 수학자들은 꽤 오래 전부터 호빵을 뒤집어 놓은 듯한 이 곡선에 커다란 관심을 갖기 시작했습니다.현수선을 본격적으로 세상에 이야기 한 사람은 이탈리아의 수학자 갈릴레오 갈릴레이였어요. 갈릴레이는 중력을 받는 사슬 모양인 현수선이 y²=Ax와 같은 포물선의 ... ...
- 상금 100만 달러를 잡아라!수학동아 l2012년 02호
- 교수인 수학자 브라이언 버츠와 피터 스위너턴-다이어가 제시했다. 이 문제는 타원 곡선이 그려지는 방정식의 해가 유리수 범위에서 유한한가, 무한한가를 밝히는 것으로, 100년 전부터 미해결 문제로 전해 내려오고 있다.9일 동안 열린 이번 겨울학교에서는 열띤 토론과 강연이 이어졌으나, ... ...
- 늦잠, 유전자 때문이야!과학동아 l2012년 02호
- 6시 이후에 가장 활발하게 활동한다.따라서 이 단백질을 만들어 내는 유전자에 따라 생체곡선이 아침형과 저녁형, 그 중간형으로 나뉜다. 아침형은 초저녁에 잠들어 아침 일찍 일어난다. 이 유형은 per2 유전자가 결정한다. 이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생기면 수면과 기상 주기가 보통사람들보다 3~4시간 ... ...
- Part2. 감마선폭발 관측 우리나라가 이끈다과학동아 l2012년 02호
- 후광의 초기 상승 곡선을 알면 감마선폭발의 세기를 알 수 있다. 따라서 초기 상승 곡선이 같다면 감마선폭발의 세기도 일정한 것이고 따라서 표준촛불 역할을 할 수 있다는 뜻이다.유포 패스파인더는 스위프트보다 망원경의 성능은 떨어진다(스위프트의 구경은 30cm). 하지만 회전반사경의 도입으로 ... ...
- [시사] 수학으로 보글보글~! 꽃미남 라면가게수학동아 l2012년 01호
- 최대한 많은 양을 담을 수 있어. 실험을 통해 설명해 줄게. 봤지? 꼬불꼬불한 면은 볼록한 곡선의 모양을 따라 사이사이로 쏙쏙 들어가 한정된 공간을 맘껏 활용하지. 물론 전체 길이도 짧아지니 포장도 편리하고 경제적이야. 만약 라면이 직선이었다면 어땠을까? 억지로 면발과 면발 사이의 공간도 ... ...
- 예술이 예술인 물리적 이유과학동아 l2012년 01호
- 직선으로 만들기엔 관이 너무 길어져서 다룰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런 악기에서는 음파가 곡선 궤적으로 따라 진행한다. 굴곡이 매끄럽고 급하게 꺾이는 부분이 없어서 파동이 반사하지 않는 한 직선 형태의 관악기처럼 다룰 수 있다.관악기가 내는 음은 악기의 길이와 관계가 있다. 진동수가 공기 중 ... ...
- 생활을 인쇄하라, 3차원 프린터과학동아 l2012년 01호
- 깎아 물건을 인쇄하는 프린터도 있다(컴퓨터 수치제어 조각 방식). 쾌속조형방식에 비해 곡선부분이 매끄럽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컵처럼 안쪽으로 들어간 모양(언더컷)은 날이 안쪽까지 들어갈 수 없기 때문에 만들기 어렵다. 한 덩어리에서 물건 하나가 나와 단색이라는 한계도 있다. 그래서 ... ...
- 눈은 번쩍! 얼굴은 반짝! 과학으로 쓰는 안경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8호
- 무거워 보이고 시선이 턱으로 가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아요. 따라서 타원형처럼 곡선이 많거나, 양끝이 살짝 올라간 안경이 좋아요. 반대로 안경테 아랫부분이 직선인 제품은 피해야 한답니다.잘 나가는 안경테의 비밀모양과 색은 골랐고, 이제 소재만 고르면 되는군!야~, 안경 하나 고르면서 뭘 ... ...
- Part 4. 전세계 네트워크, SNS로 통한다!수학동아 l2011년 12호
- 한 분야인 그래프 이론에서 시작한다. 여기서 그래프란 수식을 좌표평면 위에 직선이나 곡선으로 나타내는 그래프와는 조금 다르다. 그래프 이론의 그래프는 점과 선으로 그린 모든 그림을 뜻한다.① 오일러에 의해 탄생한 그래프 이론1736년 오일러는 그가 살던 동네의 다리를 건너는 문제를 풀기 ... ...
- [수학실험실] 뢸로 삼각형 맨홀 덮개는 왜 안전할까?수학동아 l2011년 12호
- 그림①~③의 과정으로 그릴 수 있다. 이렇게 그린 볼록한 삼각형은 꼭짓점에서 마주보는 곡선 위의 임의의 점까지 거리가 항상 일정하다. 또 이 도형은 그림④와같이 평행한 두 접선을 그렸을때, 접선 사이의 거리가 같다. 즉 어느 방향에서도 폭이 일정하기 때문에 이런 도형을‘정폭도형’이라고 ... ...
이전3738394041424344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