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뇌
머리
골
대뇌
두개골
뇌수
뉴스
"
뇌
"(으)로 총 4,389건 검색되었습니다.
매의 눈, 시력 좋은 이유는…
동아닷컴
l
2013.09.02
황반이 2개라 사람보다 4~8배 멀리 볼 수 있다는 것. 특히 조류는 상대적으로 머리에서
뇌
보다 눈의 비율이 높아 뛰어난 시력을 자랑하며 그 중 육식 조류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전해졌다. 동아닷컴 도깨비뉴스 기사제보 jjh@donga.com [화제의 뉴스] - 이석기 “철탑 파괴” 무력투쟁 방법 언급했다 - ... ...
뇌
유전자 치료, 건망증 고칠 수 있다
동아일보
l
2013.08.30
미친다는 가설을 세운 뒤 쥐 실험을 통해 이를 입증하는 데 성공했다. 건강한 젊은 쥐의
뇌
에서 RbAp48 유전자의 활동을 억제하자 마치 늙은 쥐가 된 것처럼 기억력 저하 현상이 나타났다. 해당 유전자의 활동을 회복시켜 주자 기억력도 정상으로 돌아왔다. 늙은 쥐의 해마에서 RbAp48 유전자의 활동을 ... ...
줄기세포로 인간 '
뇌
' 첫 배양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3.08.30
않기 때문이다. 연구를 이끈 매들린 랭커스터 박사는 “이번에 만든 인공
뇌
는 각종
뇌
질환의 원인을 밝히고 치료제를 개발하는 연구에서 혁신적인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내' 생각대로 '그'가 움직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8.28
있어서 다양한 신경 제어가 어려울 뿐더러 자기장을 이용해
뇌
를 자극하는 방법은
뇌
피질의 초점 범위가 정밀하지 못하다"며 "EEG도 아직까지 인간의 다양한 의도를 골고루 반영할 수 있는 수준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또 "손가락을 정확히 움직였다기보다 아직까지는 경련에 가까운 것 ... ...
“임신중 엄마가 한말 태아가 듣고 느낀다”
동아일보
l
2013.08.28
그 결과 태아 시절 타타타나 타토타를 되풀이해서 들은 아기들이 훨씬 더 강력한
뇌
반응을 나타냈다. 특히 높낮이와 세기는 물론이고 타토타로 바뀐 중간 음절도 구분해 냈다. 언어 자극 훈련을 받지 않은 신생아는 음절의 차이와 높낮이 등을 잘 구분하지 못했다. 연구팀은 “이는 태아도 신생아와 ... ...
뇌
세포 속 시냅스 신호 전달 과정 밝혀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8.27
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미국립과학원회보(PNAS) 27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뇌
세포 속 신경전달 과정. 칼슘이온이 확산되면서 주변에 있는 세포들이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냈다. - 연구재단 ... ...
눈가 주름, 엄마 때문이라고?
동아사이언스
l
2013.08.27
경우 이 손상도 함께 물려받게 돼, 자손들은 노화가 더 신속하게 진행될 뿐만 아니라
뇌
같은 장기의 기형을 초래할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라슨 교수는 “미토콘드리아가 노화과정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밝혀낸 것”이라며 “앞으로 미토콘드리아 기능을 ... ...
'은나노' 좋아하다간 '큰 코 다쳐'
동아사이언스
l
2013.08.26
인체 내에서 혈액과 림프계에 입자가 침투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비장이나
뇌
, 간과 심장 등 예민한 체내 기관에 침투할 수도 있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은나노 입자는 200여 종의 농약과 1000여 종의 의류 및 생활용품에 활용되고 있다. 때문에 더욱 주의깊게 부작용에 대해 연구해야 할 ... ...
‘사이보그’를 위한 윤리학
동아사이언스
l
2013.08.25
보청기, 임플란트 같은 일상화된 공생은 이제 한 단계 업그레이드를 준비하고 있다. 바로
뇌
와 신경에 직접 전극을 연결해 인체와 기계를 일체화하는 것이다. 저자는 이러한 프로젝트에 실제로 참여한 경험을 바탕으로 현재 가능한 기술 수준을 자세히 소개하고 있다. 하지만 기술에 대한 소개에 ... ...
강력한 자석만 있으면
뇌
졸중도 이젠 끝!
동아사이언스
l
2013.08.21
21일 밝혔다. TMS는 전자기 코일에 강한 전류를 흘리면 자기장이 생기는데 이것을
뇌
신경세포를 갖다대면 세포가 전기자극을 받아 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원리다. 1985년 영국에서 TMS 시스템이 처음 개발된 이래, 우울증 간질 통증 등 다양한 질환에 적용하려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다 ... ...
이전
424
425
426
427
428
429
430
431
4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