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d라이브러리
"
작은
"(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야구장은 도형의 집합소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자이언츠의 홈구장인 ‘AT&T파크’는 오른쪽 담장까지 거리가 94m로 짧은데다가,
작은
관중석 너머로 바다가 펼쳐져 있어 장외로 나간 홈런공은 바다에 빠진다. 미국 보스턴 레드삭스의 홈구장인 ‘펜웨이파크’는 오른쪽 담장이 0.9 ~1.5m로 아주 낮지만 왼쪽 담장은 높이가 11.3m나 된다. 거대한 높이 ... ...
바닷가재와 문어, 누가 더 많을까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켜둔다. 이 때 바닷속에 있는 생물들이 물과 함께 선박 안으로 다량 들어간다. 크고
작은
생물종들이 선박을 따라 본의 아니게 ‘밀항’을 하게 되는 셈. 이를 뒷받침하듯 외래종이 가장 많은 지중해와 대서양, 발틱해는 모두 오래 전부터 선박의 이동이 잦았던 해역이다. 또 양식을 위해 인위적으로 ... ...
‘자연 모방’은 창조의 어머니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손톱처럼 섬유성 단백질인 케라틴으로 돼 있다. 손으로 끊을 수 있는 머리카락이나
작은
힘으로도 부러뜨릴 수 있는 손톱과 달리 코뿔소의 뿔이 강한 이유는 무엇일까. 코뿔을 이루는 케라틴의 구조가 특별하기 때문이다.저자는 가장 효율적으로 치료하는 방법을 동물에게 배우라고 말한다. 인류는 ... ...
로킷 클리너, 로봇청소기를 직접 만든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청소했다. 기존 완제품에 비해 흡입력이 다소 약해 넓은 집 전체를 청소하기는 무리지만,
작은
방 1~2개 정도는 거뜬히 맡길 수 있다.저렴한 가격에 로봇의 원리를 배우는 성취감까지,이번 기회에 로봇청소기 하나 장만해 보는 건 어떨까. 멋진 로봇의 세계로 초대합니다!로봇은 과학기술 분야 ... ...
[생물] 생물다양성과 우리 삶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 주어진 조건을 따라 먹이사슬을 구성해보면 ‘식물성 플랑크톤→동물성 플랑크톤→
작은
물고기→새’와 같다. DDT는 지방에 축적돼 생물농축이 일어나고 먹이사슬의 최상위 단계에 있는 새에서 가장 높은 농도로 축적된다. 그러므로 새가 가장 큰 피해를 입는다.2) 흑사병은 매개자가 쥐 또는 ... ...
덩치 큰 슈퍼컴퓨터, 소프트웨어로 다이어트하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검색 엔진에서 큰 효과를 발휘한다. 이곳에서 필요한 작업은 동시 다발적으로 유입되는
작은
크기의 일을 수초 내로 처리하는 것이다. 굳이 시스템을 전력 질주할 필요가 없다. 하지만 가상화 기술은 가상 노드를 옮길 실제 기계를 넉넉하게 준비해둬야 한다는 부담이 있다. 만일 하루 동안 가장 ... ...
조선왕조 500년의 상징 광화문의 귀환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광화문에 쓰인 돌은 인왕산 등지에서 캔 화강석이다. 아래쪽 선단석의 무게는 하나에 10t.
작은
것들도 보통 1t이 넘는다. 이러다보니 전통방식으로 석조 건축물을 지을 때는 특징이 있다. 석재끼리 맞닿아 파손되는 것을 막기 위해 좌우로 3mm 정도의 간격을 띄운다. 위아래로 쌓을 때는 충격 완화를 ... ...
도시의 미래를 꿈꾸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했다.호르크스 박사는 “도시는 계획한다고 무조건 그대로 만들어지지 않고 아주
작은
변화에도 민감하게 움직이는 유기체”라면서 “크고 넓은 시야로 최소 20년 이상의 장기 목표를 세우고 이를 매년 수정하면서 방향을 조금씩 개선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이어 “도시는 규모가 ... ...
성냥개비로 도형 만들기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20개 있습니다. 이것을 7개와 13개로 나눠서 2개의 도형을 만들되 면적이 큰 도형이
작은
도형의 3배가 되도록 만들어 보세요(힌트 : 만들어지는 도형은 사각형이 아닙니다. 성냥개비 7개로 만들 수 있는 모양이 어떤 것이 있을지 잘 생각해보세요). 정답을 아시는 분은 ljr@donga.com으로 9월 15일까지 ... ...
Part 2. 아름다운 한복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뫼비우스의 띠를 만든 뒤 자르지는 않아. 번거롭기도 하고 띠를 만든 뒤 자르면 큰사폭과
작은
사폭의 겉과 안이 바뀌게 되거든. 그래서 선조들은 마름질을 할 때 지혜를 발휘했단다. 서로 다른 직사각형을 대각선으로 자른 뒤 엇갈려서 붙이는 방법이지. 이렇게 엇갈려서 붙이면 겉감과 안감이 ... ...
이전
423
424
425
426
427
428
429
430
4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