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d라이브러리
"
작은
"(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1993년 빅터 앰브로스 박사의 마이크로RNA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miR-’로 줄여 표시하고 뒤에 일련의 숫자를 붙이는 방식이다(예를 들어 miR-133). 따라서
작은
숫자가 큰 숫자보다 대체로 먼저 발견된 마이크로RNA다.마이크로RNA를 통한 번역 단계에서의 유전자 조절(전사 후 조절)은 진핵생물에서 광범위하게 작용하는 조절 메커니즘의 하나로 받아들여졌다. ... ...
한국 수학 필즈상에 도전장 내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문제를 쉽게 풀 수 있게 된다.응오 교수가 증명한 문제는 랭글란즈 프로그램의 아주
작은
부분으로, 랭글란즈는 이를 쉽게 풀 수 있다고 생각해 ‘기본보조정리’라고 이름 붙였다. 하지만 랭글란즈의 생각과 달리 기본보조정리는 40년 동안 풀리지 않은 문제로 남아 있었다. 많은 수학자들이 ... ...
3D 기술로 살아난 백제의 혼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최대한 활용해 과거의 도시, 문화재 등을 3차원 입체영상으로 복원해 내는 일이다.
작은
소품 하나에서부터 크게는 도시 하나를 완벽하게 재현하기도 한다.이런 복원기술을 이용하면 이미 사라져 버린 과거 유적을 마치 현장에 가 있는 듯 생생하게 즐길 수 있는 문화 상품을 개발할 수 있다. 또 무형 ... ...
초파리의 짝짓기에서 인간의 뇌를 보다 - 분자신경행동학 연구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않아요. 이유가 뭔지 아세요? 수컷 초파리의 정액 속에 있는 ‘섹스 펩타이드’ 즉
작은
성단백질 조각때문이에요."광주과학기술원(GIST) 생명과학부 분자행동신경학 연구실의 김영준 교수는 짝짓기 행동을 통해 초파리의 뇌를 연구하고 있다. 암컷에게서 짝짓기 때 나타나는 독특한 행동을 통해 뇌의 ... ...
‘바이러스’의 두 가지 정의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유전 정보에 끼어들어 나중에 복제된다). - 초기 감염된 곳에서 여러 장소로 퍼진다. -
작은
코드(암호)로 이뤄져 있다. ② 차이점 생물 바이러스 - 명확한 실체물이 있다. - 진화해 탄생됐다. - 진화해 새로운 종을 감염시키거나 새로운 증상이 나타난다. - 증식이 목적이다. 컴퓨터 바이러스 - 명확한 ... ...
꿈꾸미와 함께 떠나는 과학관 탐험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있었어(❷). 종이 꽃이 피어나는 모습이 신기하지?거름종이에 있는 섬유소의 틈은 아주
작은
관처럼 생겨서 물을 잘 빨아들여. 이때 잉크에 포함된 여러 색소가 물에 녹아 이동하는데, 색소마다 이동하는 속도가 달라. 그 결과 한가지 색으로 보이던 잉크가 여러 색깔로 나뉘어 퍼지는 거야(❸) ... ...
누가 피터팬의 그림자를 가져갔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부딪혀 더 이상 진행하지 못하기 때문에 그림자가 생기는 거랍니다. *빛을 이루는
작은
알갱이 : ‘광자’라고 불러요.이런 세 가지 사실에 비추어 볼 때, 피터 팬은 절대로 그림자를 떼어 낼 수 없었을 거예요. 왜냐하면 피터팬이 있는 곳에는 항상 빛이 있거든요. 만약에 피터팬이 동화처럼 ... ...
세계가 들썩이는 산업비타민 전쟁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뿜어 나오고 보는 각도에 따라 빛의 세기가 달라지는 현상도 줄어든다. 세륨 입자를
작은
구형으로 제작하면 반도체 표면에 광택을 낼 때 표면에 흠집이 생기지 않는다는 장점도 있다.김 박사팀은 이 기술로 중국 특허까지 얻었다. 중국정부가 김 박사팀의 기술을 사용하려면 희소금속의 ... ...
이대호 홈런, 류현진 삼진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크면 상체의 밸런스를 유지하기가 힘들다. 그렇기 때문에 밸런스를 잡기 쉬운 체구가
작은
사람에게 유리하다.최근에는 찰리 라우의 이론보다 테드 윌리엄스의 이론이 주목받고 있다. 투수들이 던지는 변화구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변화가 심해져 타자들이 밸런스를 잡을 수 있는 시간적 여유가 ... ...
바우어 새의 구애 방법은 ‘눈속임’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만들어 암컷이 집으로 오도록 유도한다. 진입로에 돌이나 뼈와 같은 물건을 크기가
작은
것부터 큰 것 순으로 늘어놓는다. 암컷은 진입로로 들어오다 이를 보고 집과 수컷이 실물보다 크다고 느낀다.존 엔들러 교수는 “새가 우연히 이런 행동을 했을 가능성을 생각해 연구팀이 배열한 물건을 흐트려 ... ...
이전
422
423
424
425
426
427
428
429
4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