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취
출세
달성
완수
공로
훈공
공적
d라이브러리
"
성공
"(으)로 총 6,471건 검색되었습니다.
② 난산 끝에 태어난 소 · 돼지 1백마리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주립대(UCLA) 이기영 박사도 지난해 열대어의 유전자를 조작한 뒤 이 열대어를 복제하는데
성공
한 바 있다.복제소 고기·우유 아직 사용 못해한국에서 처음 복제동물이 태어났을 때만 해도 학문적인 호기심과 함께 이른바 ‘우량 동물’에 대한 복제에 많은 관심이 모아졌다. 영롱이가 태어났을 당시 ... ...
이공계 위기를 열기로 바꾸는 과학 전도사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선생님, 그리고 학부모들까지 매우 진지하게 자신의 강연을 경청했고, 모두에게
성공
적이고 유익한 시간이 됐다”고 밝혔다. 그리고 강연에 참가한 학생들을 자신의 연구실로 초청해 실험실을 견학시켜주기로 약속까지 했다.울릉도, 꼭 갈겁니다“교수님, 죄송합니다. 이번에도 높은 파고로 배가 ... ...
베일 벗은 수정란 착상 메커니즘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방법을 개발해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25-40%에 머물고 있는 인공수정의 임신
성공
률을 크게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한다. 아울러 현재 쓰이고 있는 호르몬을 이용한 피임약이 아닌 수정란의 자궁 착상을 방해하는 새로운 피임약의 개발도 가능할 것이라고 피셔 박사는 덧붙였다 ... ...
가치 있는 기업을 꿈꾸는 컴퓨터 의사 안철수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내려다보면 까마득하고 위를 쳐다보면 봉우리가 구름에 가려 보이질 않습니다. 현재의
성공
은 결국 이 정도입니다. 그러니 멈추지 않고 계속 정상을 향해 가야죠 ... ...
① 일란성 쌍둥이와 복제인간 같은가 다른가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때는 핵과 함께 세포질에 포함된 일부 미토콘드리아도 함께 빠져나간다. 따라서 복제의
성공
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빠져나가는 미토콘드리아의 양을 최소화해야 한다.과학자들에 따르면 복제동물의 외모는 원본과 차이나는 경우가 흔하다고 한다. 황 교수는 “시시와 복제돼지 나돌이의 경우처럼 ... ...
반도체 나노소재기술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입혀 메모리 반도체의 단위 소자를 만들고 이를 이용해 상온에서 정보를 저장하는데
성공
하기도 했다. 물론 이 단위 소자를 밀집시키는 과정이 해결해야 할 문제다.탄소 나노소재뿐만 아니라 반도체 나노막대도 다양한 나노 전자소자를 만들 수 있다. 반도체 나노막대에 적당한 양의 불순물을 넣어 ... ...
정전기 이용해 글씨 자국 알아낸다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1927년 5월 21일 린드버그는 33시간 반만에 뉴욕에서 파리까지 대서양 무착륙 단독비행에
성공
했다. 25살의 린드버그는 뉴욕으로 돌아오자마자 오티그라는 이름의 상과 함께 2만5천달러의 상금을 받으면서 일약 국민적 영웅으로 떠올랐다. 그런 그의 아들이 유괴되자 세상은 발칵 뒤집어졌고, 이 사건은 ... ...
분뇨에서 노다지 캐는 환경공학자 박완철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농도로 이뤄진 합성폐수를 실험재료로 사용했다. 그런데 실험실에서는 분명히 정화에
성공
했지만, 막상 현장에서는 실패하기 일쑤였다.박 박사는 고심 끝에 실험재료를 진짜 똥으로 바꾸었다. 실험실은 마치 시골 터미널 화장실에 들어선 듯 암모니아 냄새로 가득해졌다. 덕분에 연구원 한가운데 ... ...
우주대포 제안자 쥘 베른 탄생 1백75주년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대포를 선택했던 것이다. 몇가지 약점에도 불구하고 대포는 1942년 독일의 로켓 V-2가
성공
적으로 비행하기 전까지 인공물체를 가장 높이, 가장 멀리 보낼 수 있는 발사체였다.무기와 우주개발 사이에서 좌절된 꿈쥘 베른의 우주비행법을 처음으로 진지하게 연구한 것은 1926년 독일의 우주여행협회(VfR ... ...
1 달 탄생 유력한 시나리오 대충돌설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가운데 1990년대 대충돌로 주변 궤도에 흩어진 부스러기로부터 달 자체를 탄생시키는데
성공
했던 로빈 캔업 박사의 시뮬레이션이 돋보였다. 하지만 미국 사우스웨스트 연구소의 캔업 박사가 수행한 초창기 시뮬레이션에는 문제가 있었다. 대충돌로 만들어진 대부분의 부스러기가 지구에 떨어지거나 ... ...
이전
423
424
425
426
427
428
429
430
4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