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취
출세
달성
완수
공로
훈공
공적
d라이브러리
"
성공
"(으)로 총 6,471건 검색되었습니다.
암울한 미래 디스토피아의 자화상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핵무기들은 사전 경고 없이 테러에 사용될 수 있다. 사이비 종교 단체가 인간 복제에
성공
했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생활의 일부가 돼버린 인터넷은 바이러스의 공격에 속수 무책이라는 것이 증명됐다.지구온난화는 어느 순간 급격하게 진행될 수 있다. 우리는 미래의 모습을 결정할 수 있는 현재를 ... ...
가장 무거운 수소 동위원소 발견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로 만들어진 고에너지빔을 극저온의 수소 원자에 쏴줌으로써 수소-7을 만드는데
성공
했다.2001년 수소-5가 발견된 이후 물리학자들은 이보다 더 무거운 수소 동위원소가 존재할 수 있다고 생각해 왔다. 하지만 더 무거운 수소 동위원소가 설령 존재하더라도 너무나 불안정하기 때문에 발견하기가 ... ...
살해 시기와 장소 밝혀내는 동위원소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스튜어트 블랙 박사가 체내 동위원소를 이용해 희생자의 사망시기와 장소를 알아내는데
성공
했다는 사실을 보도했다.실제로 블랙 박사는 흉기에 찔린 후 불에 타 사망한 시신의 재를 통해 이 사람이 옛소련 지역 근방에 살았고 약 1주일 전에 사망했음을 밝혀냈다. 그는 시신의 재에 납-210 ... ...
설사 걱정 없는 우유 특허 획득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있다.곽 교수는 “유당분해효소를 1-2㎛ 크기의 미세캡슐에 담아 우유 속에 넣는데
성공
했다”고 밝혔다. 이 우유를 마시면 몸에 들어온 미세캡슐이 위를 빠져 나와 십이지장과 소장에서 터지며 효소를 내보낸다. 이 효소가 우유의 당을 분해하기 때문에 우유를 잘 소화할 수 있게 해준다. 효소를 ... ...
컬럼비아호 잔해 2만개 조각맞추기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정전기적 이론을 개량, 결정전기장 이론이라 하여 결정의 색과 자성(磁性)을 설명하는데
성공
했다결정성물질에서 구성 단결정의 집합상태, 격자결함의 분포상태 등의 총칭 다결정을 구성하는 미소 단결정의 방위 배열에 규칙성이 있을 때는 조직을 가지거나 배향성이 있다결정의 방위를 투영하는 ... ...
가가린은 세계 최초 우주인 아니다?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계획도 실패하는 바람에 옛소련이 해체되기 전까지 공개되지 못했다. 따라서 임무의
성공
여부와 관계없이 우주비행사의 생존만으로 따져볼 때 실패로 끝난 우주비행은 계획 자체가 비밀에 붙여졌다. 하지만 뜻하지 않게 공개되기도 했다. 예를 들어 소유즈1호와 소유즈11호의 경우 선전을 위해 ... ...
진달래는 왜 초봄에 피어날까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간단히 말하면 자손을 최대한 많이 퍼뜨리기 위함이다.식물이 이러한 생식적 전략을
성공
시키기 위해 갖고 있는 또다른 개화유도 메커니즘이 있다. 바로 발달상태의 모니터링이다. 인간의 경우도 생식이 가능한 일정 연령이 있듯이 식물도 일정 연령이 지나기 전까지는 어떠한 환경요인에서도 꽃이 ... ...
휴대폰으로 TV 보는 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사용되는 공심 코일의 크기를 줄이고, 최신 납땜기술로 이 코일을 칩에 장착하는데
성공
했다. 대부분 부품들이 기존의 튜너와 다른 새로운 종류들이어서 방송전파 제대로 수신하게 만들기까지는 수많은 시행착오를 거쳐야 했다.삼성전기가 이같은 성과를 이룬데는 무엇보다도 그동안 쌓아온 튜너 ... ...
컬럼비아호 참사와 관련된 내열타일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동물들을 생산할 수 있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관심의 대상이 됐고 실제로 개구리복제가
성공
한 적이 있다고릴라는 등에 회식털이 나 있는(silverback이라고 함) 대장 수컷을 중심으로 40여마리 정도가 무리져 다니는 사회적 동물이다 초식동물인 고릴라는 과일, 쐐기풀, 야생샐러리, 대나무 가지를 ... ...
3. 난분해성 폐수 걸러내는 나노막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매우 클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폐수를 재활용하지 않는 회사와 주택의 수를 감안할 때
성공
적인 무방류 폐수 재활용 시스템의 개발은 막대한 경제적 파급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렇게 분리막 기술을 통한 나노소재기술은 환경보존과 개발이라는 두마리의 토끼를 동시에 잡을 수 있게 하는 중요한 ... ...
이전
421
422
423
424
425
426
427
428
4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