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본관
모범
무늬
본보기
bone
bonn
bonne
d라이브러리
"
본
"(으)로 총 4,975건 검색되었습니다.
"개발 이전에 반드시 환경평가 거쳐야"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본
두루미는 제 기억에 오래 남을 수확입니다. 어릴 때 고향 원주에서 황새나 두루미를
본
이래 공단이 들어서면서 새들이 모두 사라졌지요. 좀더 가까이서 봤으면 싶었습니다. 아쉬운 점은 날씨가 너무 궂어 탐사에 어려움이 많았다는 점입니다.방홍규―저는 이 날씨가 새를 탐사하는데는 오히려 ... ...
인체는 다양한 카오스 실험실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주기운동에 적절한 교란을 가하면 혼돈을 원하는 주기운동으로 안정화시킬 수 있다고
본
것이다. 이 때 필요한 교란을 계산하는 알고리즘이 OGY방법이다. OGY방법은 말 안장 위에서 공기돌의 균형을 잡는 방법과 유사하다. 공기돌이 안장 위의 중심이 아닌 부위에 놓여있다면 굴러떨어질 것이다. ... ...
PART.2 학습·오락용 특선 21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3천원고인돌 291년 당시, 복제
본
으로 소개돼 커다란 인기를 끌었던 '고인돌 1'의 후속편. 티
본
족의 용사 고인돌은 이곳저곳에 숨겨진 아이템을 찾아 고릴라에게 빼앗긴 식량을 되찾고 아들과 아내에게 먹여야 한다. 전편과 마찬가지로 고인돌의 코믹한 동작이 돋보인다. 모두 10레벨로 되어 있다.● ... ...
지구과학- 흑점수는 11.2년 주기로 증감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수 있다. 물론 운이 좋으면(맨눈으로 보일 정도의 흑점이 출현하면) 흑점도 볼 수 있다.
본
격적인 흑점 관측을 위해서는 천체망원경을 이용해야 한다. 태양 빛은 너무 밝기 때문에 천체망원경에 의한 관측에도 아이피스나 대물렌즈에 필터를 끼워 관측하는 직시법과 스크린에 태양의 투영상을 비쳐 ... ...
서해안철새도래지 보호관리 시급하다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위해서인데, 이렇게 쫓겨다니면 그 에너지를 낭비하게 된다"는 이재범 조교의 말. 그래서
본
래 철새보호구역인 이 지역에서 사냥은 금지돼 있다. 게다가 새들, 특히 철새는 대단히 민감해서 총소리가 주는 스트레스만으로 죽는 경우도 적지 않다고 한다.탐사를 자주 다니는 이재범 조교에 따르면 ... ...
화학- 고대 4원소설에서 원자설 태어나기까지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존재에 대한 논의를 한 차원 높인 것이다. 그리고 돌턴의 원자설은 이 이후 물질의
본
성과 물질의 변화를 설명하는 가장 강력한 무기가 됐다.주사위를 던지면 어떤 숫자가 나올지 정확하게 예측할 수 없다. 따라서 '주사위를 던지면 반드시 1이 나온다'는 말은 거짓이다. 이말을 맞게 고치면 '주사위를 ... ...
갈라파고스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주목을 끄는 것은 물론 희귀한 동식물이 많기 때문이다. 몇몇 흥미있는 생물을 소개해
본
다.남극지방 동물도 함께 지내 날카로운 발톰과 온 몸을 덮고 있는 갑옷같은 비늘껍질, 등과 머리 위로 서 있는 갈기, '쉿쉿' 소리를 내며 뜨거운 불을 내뿜는 이구아나. 가만히 살펴보면 마치 중생대의 공룡을 ... ...
나의 얼굴은 어느형인가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적어 보이고 흰머리가 특히 적다.이런 현상을 보면, 한국인의 얼굴은 이 세가지 형을 기
본
으로 결혼에 의해 서로의 중간형이 나오게 됨으로써 다양화한 것으로 생각된다.세 방향에서 들어온 조상들우리 조상들의 역사와 풍속으로 미루어 동네결혼을 해왔을 것이기 때문에 그 지방 사람들의 ... ...
(3) 로봇원격조종 앉아서 심해·달 탐사 가능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것이다. 이 기술이 보편화된다면 현재 부분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재택근무는 좀더
본
격화될 수 있다.우선 가상의 회의실을 만들어 실공간과 같은 조명조건을 주고 컴퓨터 그래픽스 기술을 이용, 실제공간에 있는 책상이나 의자 등의 연속성있는 공간을 만들어내 인물을 영사한다. 또 인물도 같은 ... ...
2. 형형색색 바이러스 세계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8년. 막 개발된 전자현미경으로 담배모자이크바이러스를
본
게 처음이다. 그 이래 인간이
본
바이러스는 1천종을 넘는다. 현미경안에서 작은 우주를 형성하고 있는 바이러스의 세계를 소개한다. 헤르페스바이러스가 동물세포에 들어가는 모습① 바이러스 외피가 플라즈마막에 부착된다.② ... ...
이전
422
423
424
425
426
427
428
429
4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