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본"(으)로 총 4,975건 검색되었습니다.
- 물리- 증기보트 띄우기과학동아 l1994년 04호
- 배우거나 또는 책을 통해 이해했을 겁니다. 그러나 증기 에너지를 이용한 실험을 해본 적은 거의 없을 것입니다. 자, 이 달에는 증기 엔진을 만들어 보트를 띄워 봅시다.준비물● 직경 2㎜의 구리관 40㎝(과학 교구상에서 구입)● 얇은 합판과 스티로폴, 작은 톱, 병뚜껑, 송곳, 칼, 자, 솜, 알코올 ... ...
- 4. 새로운 과학인가 20세기 신화인가과학동아 l1994년 04호
- 수동적 존재로 만들 우려몇 가지 결함에도 불구하고 가이아 이론은 과학으로서의 기본성격을 지녔을 뿐 아니라 의미있는 생산적 내용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무엇보다도 지구 생명을 보는 거시적 시각을 새롭게 마련했다는 데에 커다란 의의를 부여할 수 있다.러브록은 또한 이러한 내용을 ... ...
- 그림 솜씨 보고 얼굴형 알 수 있다과학동아 l1994년 04호
- 그동안 한 개인에 대한 가능한 한 많은 것을 조사했다. 그 가운데는 그림그리기의 경향을 중심으로 여러 사람을 테스트해 본 결과 여기에서도 한국인의 대표적 세 얼굴 ... … 등등의 일본인에 대한 비난과 찬사가 실은 이 관동지방을 중심으로 생긴 근대 일본문화에 대한 일종의 편견이다 ... ...
- 인간은 수명 결정하는 유전자 지니고 있나과학동아 l1994년 04호
- 유즈하라 산촌에서는 야채가 주식이다. 기네스북에 따르면 최장수 기록보유자는 일본의 시게찌요 이즈미라는 사람이다. 1986년 폐렴으로 죽을 때까지 1백20년 2백37일을 살았다. 그는 장수한 까닭을 부처님과 태양에게 돌렸다 ... ...
- 지구과학- 지구의 크기 어떻게 측정했나과학동아 l1994년 04호
- 꼭대기에 위치하며 여기서 오는 광선은 지구에 평행하게 도달하므로 이 배 위에서 본 북극성은 정북쪽 지평선 부근에서 보이게 될 것이다. 북극성을 향해 똑바로 항해해 북극성 고도가 1˚ 높이로 보이는 지점까지 간다고 하자. 이것은 위도로 1˚ 만큼을 북쪽으로 간 것이므로 우리의 새 위치는 북위 ... ...
- PARTⅠ'20세기의 판도라 상자' 핵에너지, 어떻게 탄생됐나과학동아 l1994년 04호
- 아주 좁은 공간속에서만 작용하는 새로운 힘을 상정하지 않으면 안됐다. 1935년 일본의 유가와는 핵력이라는 존재를 처음으로 제안했다. 그에 따르면 양성자와 중성자는 파이중간자라는 입자를 교환함으로써 강한 인력을 발생시킨다는 것. 유가와는 이 공로로 1949년 노벨물리학상을 받았다 ... ...
- 밤하늘은 왜 어두운가과학동아 l1994년 04호
- ■ 별과 사람들일반인들을 위한 아마추어 천문 모임. 이 모임에서는 천체 관측의 기본부터 천체 사진촬영까지 아마추어 천문에 필요한 모든 것을 각자의 의지에 따라 배울 수 있다. 함께 망원경을 구입하여 함께 관측회도 다닌다.(02-453-8178 ... ...
- 3. 1996년 2단 중형 로켓발사의 디딤돌과학동아 l1994년 03호
- 최대고도가 약 1백70km까지 가능하므로 오존층 탐사뿐 아니라 이온층 탐사, X선 탐사 등 본격적인 대기탐사가 가능하다. 2단로켓은 낙하지역이 한정되므로 유도제어시스템을 장착할 예정이며, 나중에 탑재부를 다시 찾을 수 있도록 회수시스템을 도입할 예정이다. 2단 중형 로켓은 1996년에 시험 발사될 ... ...
- 지역별로 본 한국인 얼굴의 특징과학동아 l1994년 03호
- 경기도 지역 주민들에게는 북방계적 유전자를 가진 이들이 많고, 이것은 이들과 일본인들과의 사이에 체질적 유연관계가 많다는 사실로 받아들여도 될 것 같다 ... ...
- 하늘에 떠있는 별들의 절반은 짝별과학동아 l1994년 03호
- 점에서 역사적 의의가 크다. 1650년 사진으로 찍힌 최초의 이중성이며 분광기로 본 최초의 것이다.④ K(별) Pup(별자리) 4.5+4.6(광도) 9.9(분리각) 318(위치각) 1951(연도) : 아름다운 쌍둥이 자매표면이 매우 하얗다⑤ γ(별) Vir(별자리) 3.6+3.6(광도) 3.3(분리각) 297(위치각) 1980(연도) : 포리마 ...
이전4214224234244254264274284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