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 [현장 취재] 24시간 생물 탐사 대작전! 2017 바이오블리츠코리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낮뿐만 아니라 밤과 새벽까지 탐사가 진행됐어요. 이 과정에서 참가자들은 물까치, 황소개구리, 목이, 옥색긴꼬리산누에나방 등 도심에서 만나기 어려운 동식물들을 보고 찾는 즐거움을 누렸답니다.학술적인 성과도 있었어요. 24시간 동안 바이오블리츠를 진행한 결과, 선운산생태숲에서 총 836종의 ... ...
- [Focus News] 피내용과 경피용 뭘 맞아야 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달린 주사 도구를 이용해 두 번에 걸쳐 강하게 눌러 접종한다. 그래서 접종 직후 18개의 작은 자국이 남는다. 피내용 BCG 백신은 정확한 양을 주사할 수 있으며, WHO에서 추천하고 있다. 반면 경피용 BCG 백신은 흉터가 적게 남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백신의 효과에서는 피내용과 ... ...
- [과학뉴스] 너무 많은 양전자, 펄서 말고 어디 출신?과학동아 l2017년 12호
- Water Cherenkov) 감마선 관측소의 관측결과를 토대로 반론을 내놨다. 연구팀은 특정한 두 개의 펄서(Geminga, PSR B0656+14)가 방출하는 감마선을 측정했다. 감마선은 양전자가 소멸할 때 방출되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측정한 방출 특성을 바탕으로 펄서가 만들어낸 양전자가 우주를 통해 얼마나 멀리 확산될 ... ...
- [긴급진단] 전국이 흔들, 가슴이 철렁, 포항 지진 5대 이슈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지진으로, 규모가 5.8이었다. 40년 만에 가장 강력한 지진이 두 차례나, 그것도 불과 1년 2개월 사이에 40km가량 떨어진 지점에서 연달아 발생하면서 우리나라도 더 이상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우려가 커졌다. 1. 왜 경북 지역인가공교롭게도 두 차례의 강력한 지진이 경북 지역에서 일어났다. 왜 ... ...
- Part 1. 뇌는 어떻게 얼굴을 인식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교수팀은 하나의 세포가 하나의 얼굴을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얼굴 인식 세포 200여 개가 얼굴이나 표정에 따라 활성화되는 패턴이 다르고 이를 통해 얼굴을 인식한다는 열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셀’에 발표했다(doi:10.1016/j.cell.2017.05.011). 제니퍼 애니스톤 세포는 결국 여러 얼굴 인식 세포 활동의 ... ...
- [Issue] 고래사냥꾼 추적하는 ‘오션 워리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3페이지에 이르는 장문의 글을 보내왔다. 지면 사정상 원문을 축약해 독자들에게 소개한다. Defending the Oceans: Sea Shepherd’s Ocean WarriorWritten by Heather Stimmler, Media Director at Sea Shepherd GlobalPhoto by Sea Shepherd Glob ...
- Part 1. 연구개발(R&D) 평가 패러다임이 바뀐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과학자 100명에게 물었습니다Part 1. 연구개발(R&D) 평가 패러다임이 바뀐다Part 2. 100년 日기초과학 경쟁력의 상징[Interview] ‘융합형 창의’ 발휘되도록 학부생 ... ...
- [Interview] ‘융합형 창의’ 발휘되도록 학부생 지원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말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과학자 100명에게 물었습니다Part 1. 연구개발(R&D) 평가 패러다임이 바뀐다Part 2. 100년 日기초과학 경쟁력의 상징[Interview] ‘융합형 창의’ 발휘되도록 학부생 ... ...
- [Culture] 보리 게놈지도 마침내 완성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한편 이번연구는 맛과 영양이 높거나 추운 환경에 잘 견디는 새로운 보리 품종을 개발하는 데도 도움을 줄 전망이다. 이를 위해 국제 공동 연구팀은 대표적인 보리 품종 96종의 염색체를 분석해 보리의 유전형 다양성을 밝혔다. 최도일 서울대 식물생산과학부 교수는 “어떤 유전자 요인에 의해 ... ...
- [Origin] 그 많던 개미는 다 어디로 갔을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도심 놀이터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새끼 손톱만 한 검정색 개미의 정식 명칭은 일본왕개미(Camponotus japonicus)다. 그런데 겨울이 되면 그 흔했던 일 ... 겨울에 주로 바위 틈에서 발견되는 종이다. 이로써 네 가지 방법을 모두 이용해 겨울 개미를 찾는데 성공했다. 독자 여러분도 도전해 보시길 ... ...
이전4194204214224234244254264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