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율
한도
범위
노정
역정
여정
여행길
d라이브러리
"
정도
"(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달나라 옥토끼배 송편대첩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8호
세나라에서 떡을 즐기고 있답니다.달을 닮은 떡 월병중국 중추절은 중국 3대 명절로 불릴
정도
로 큰 명절이에요. 우리나라 추석과 마찬가지로 음력 8월 15일이지요. 중국에서는 농사가 잘 된 것이 달의 신이 달빛으로 변해 세상에 복을 내렸기 때문이라고 생각해, 중추절에 뜨는 보름달에 제사를 ... ...
치타 VS 표범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8호
달리기, 수영, 높이뛰기 어느 것 하나 빠지는 것이 없죠. 달리는 속도는 보통 시속 58km
정도
로, 치타보다는 느려요. 하지만 점프력이 대단해요. 한 번 점프하면 3m씩 뛰어오를 수 있거든요. 또 표범은 어깨뼈에 붙어 있는 근육이 발달해서 나무에 잘 오를 수 있어요. 먹이를 잡은 뒤 나무 위에 올려 놓고 ... ...
[출동! 명예기자] 에너지를 팝니다! 에너지 슈퍼마켙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8호
빛이 나기 때문에 몸에 해로운 자외선도 나오지 않고 수은도 쓰지 않아. CO₂ 배출량도 80%
정도
줄일 수 있어서 하루 12시간, 1년 사용을 기준으로 하면 나무 30그루를 심는 것과 맞먹는 효과가 있단다.이렇게 장점이 많은 LED 램프지만 딱 한 가지 단점이 있어. 바로 백열전구나 형광등보다 비싸다는 ... ...
올 추석엔 슈퍼문과 블러드문이 동시에?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8호
주위를 타원 모양으로 돌고 있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에요. 지구와 달은 평균 38만km
정도
떨어져 있지만, 타원 궤도 중 지구와 가까운 곳에 오면 지구와 달의 거리는 약 36만km까지 가까워지죠. 이때 지구에서는 달이 가장 커 보인답니다. 게다가 이때 태양이 지구를 중심에 두고 달 반대편에 있으면 ... ...
새끼 남극물개가 엄마를 찾는 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8호
우린 크릴 새우를 좋아해요. 남극물개 한 마리가 1년 동안 약 1톤의 크릴 새우를 먹을
정도
죠. 그리고 많은 남극물개가 살고 있는 사우스조지아 섬을 포함해 남극에는 우리가 좋아하는 크릴 새우가 넘쳐난답니다. 간혹 먹는 오징어나 물고기도 있고요.우린 이렇게 먹을 게 많은 남극을 사랑해요. ... ...
가장 번성한 동물 사회의 비결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8호
때문에, 대부분의 비혈연 이타주의는 팃포탯 전략에 바탕을 두고 있답니다.인간의 감
정도
호혜 이타주의 때문트리버스 교수는 인간의 감정이 호혜 이타주의와 깊은 관련이 있다고 주장해요. 예를 들어 우리는 남에게 도움을 받으면 감사를 느끼고 도움을 받은 상대에게 이를 되갚아 주려는 마음이 ... ...
종이나라 ‘ 오려라 공주’를 구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8호
거예요. 다찌저 왕자는 사실 제 남편 ‘다저저 왕자’랍니다.”썰렁홈즈는 눈물이 핑 돌
정도
로 감동을 받았다.하지만 배가 부르게 만찬을 즐길 수는 없었다. 종이나라 음식은 모두 종이였기 때문이다. 흑 ... ...
생체모방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8호
과학자들도 생체모방 기술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어요. 로봇이 사람을 대신할 수 있을
정도
로 더 정교하고 똑똑하게 개발하려면 다양한 기능들이 필요하거든요. 게다가 물속이나 사막 등 험난한 환경에서도 자유롭게 움직이게 하는 데에는 기술적인 한계가 있어요.과학자들은 그 해답을 자연 속 ... ...
곤충으로 삼시세끼? 미래식량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7호
미국 국립보건원(NIH)에서도 오염 위험 때문에 스피루리나에 대해 ‘안전할 것이다’
정도
로 판단을 애매하게 내렸답니다. 한편 우리나라의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아직 독성이 보고된 적은 없다고 밝혔어요. 미래에 먹게 될 음식들을 미리 본 소감이 어때? 아직은 생소하겠지만 가까운 미래에 곧 ... ...
천적 불가사리 잡아먹는 나팔고둥 포착!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7호
중에서도 몸집이 큰 나팔고둥만은 예외예요. 나팔고둥은 다 자라면 길이가 30cm에 달할
정도
로 커져요. 나팔고둥은 다른 고둥과 달리 천적관계가 뒤바뀌어 오히려 불가사리를 잡아먹는답니다.이처럼 나팔고둥은 우리나라 바다에서 유일하게 불가사리를 잡아먹고 사는 생물이에요. 하지만 바다 ... ...
이전
418
419
420
421
422
423
424
425
426
다음
공지사항